$\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투여가 국소 대뇌관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about Effects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Korea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7 no.1, 2016년, pp.64 - 71  

양영희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  황준원 (강원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붕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강혜진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이재성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이동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조수철 (국군수도병원 정신건강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on changes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PECT를 이용하여 국소 대뇌관류(regional cerebral blood flow)의 변화를 측정하여 ADHD 아동청소년에서 약물치료 전후의 뇌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의 SPECT 뇌영상과 비교분석하여 ADHD에서 약물치료로 변화를 보이는 뇌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환자군에서 약물치료 전후의 SPECT 영상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여 ADHD 아동에서의 약물치료로 인한 국소 대뇌혈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ADHD군과 대조군의 비교 시 전두엽, 두정엽과 소뇌 등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고, ADHD 환자의 약물치료 전후 비교 시에는 전두엽, 측두엽과 피질하 구조물(subcortical structure)에 변화가 관찰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ADHD 환자에서 약물치료 전후 국소 대뇌관류의 변화를 SPECT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약물 치료와 관련된 뇌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시 ADHD 환자군은 약물 치료 전 전두엽, 두정엽, 전대상회에서 혈류의 증가를, 소뇌에서 혈류의 감소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SPECT를 이용하여 국소 대뇌관류(regional cerebral blood flow)의 변화를 측정하여 ADHD 아동청소년에서 약물치료 전후의 뇌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의 SPECT 뇌영상과 비교분석하여 ADHD에서 약물치료로 변화를 보이는 뇌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아동청소년기에 진단되는 주요 정신장애 중의 하나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 집중의 어려움, 충동성, 과잉행동 및 실행기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학적 장애로 학습 부진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한다.1) 메칠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는 ADHD의 약물치료 중 하나로 ADHD아동의 약 70%에서 효과를 나타내며, 나머지 30%에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DHD군은 methylphenidate-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약물치료 후에 뇌의 혈류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이러한 양상은 약물치료전 영상만을 촬영한 ADHD 환자군 12명을 포함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에도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유지되었다. 약물 치료 후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류가 증가한 부분은 없었고, 왼쪽 소뇌 후엽의 혈류 감소영역이 약물치료 전에 비해서 면적이 줄어들었으며, 왼쪽 시상의 혈류 감소가 관찰되었다. 약물치료 전의 일차 운동 영역의 혈류 증가는 ADHD의 과잉행동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는 이와 같은 혈류의 증가는 약물치료 이후에 정상화되었다.
메칠페니데이트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1) 메칠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는 ADHD의 약물치료 중 하나로 ADHD아동의 약 70%에서 효과를 나타내며, 나머지 30%에서는 치료효과가 불분명하다고 알려져 있다.2) 현재까지 알려진 메칠페니데이트의 작용 기전은 전두엽과 기저핵에 있는 도파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운반체의 작용을 억제하여 시냅스 내의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3) ADHD의 진단과 약물치료 효과 평가는 주로 병력과 임상 증상 변화 관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뇌영상이나 혈액분석 등과 같은 실험실검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2. Greenhill L, Beyer DH, Finkleson J, Shaffer D, Biederman J, Conners CK, et al. Guidelines and algorithms for the use of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tten Disord 2002;6 Suppl 1:S89-S100. 

  3. Engert V, Pruessner JC. Dopaminergic and noradrenergic contributions to functionality in ADHD: the role of methylphenidate. Curr Neuropharmacol 2008;6:322-328. 

  4. Bush G, Valera EM, Seidman LJ. Functional neuroimaging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Biol Psychiatry 2005;57:1273-1284. 

  5. Seidman LJ, Valera EM, Makris N. Structural brain imaging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 Psychiatry 2005;57:1263-1272. 

  6. Lou HC, Henriksen L, Bruhn P. Focal cerebral hypoperfusion in children with dysphasia and/or attention deficit disorder. Arch Neurol 1984;41:825-829. 

  7. Kim BN, Lee JS, Cho SC, Lee DS. Methylphenidate in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subjec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Yonsei Med J 2001;42:19-29. 

  8. Lee JS, Kim BN, Kang E, Lee DS, Kim YK, Chung JK, et al.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arison before and after methylphenidate treatment. Hum Brain Mapp 2005;24:157-164. 

  9. Anderson CM, Polcari A, Lowen SB, Renshaw PF, Teicher MH.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relaxometry of the cerebellar vermis in boys with ADHD. Am J Psychiatry 2002;159:1322-1328. 

  10. Cho SC, Hwang JW, Kim BN, Lee HY, Kim HW, Lee J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response to 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arison between non-responders to methylphenidate and responders. J Psychiatr Res 2007;41:459-465. 

  11. Schweitzer JB, Lee DO, Hanford RB, Tagamets MA, Hoffman JM, Grafton ST, et al.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of methylphenidate in adults with ADHD: alterations in resting blood flow and predicting treatment response. Neuropsychopharmacology 2003;28:967-973. 

  12. Schweitzer JB, Lee DO, Hanford RB, Zink CF, Ely TD, Tagamets MA, et al.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ormalization of behavior but not related brain activity. Biol Psychiatry 2004;56:597-606. 

  13. Schulz KP, Fan J, Bedard AC, Clerkin SM, Ivanov I, Tang CY, et al. Common and unique therapeutic mechanisms of stimulant and nonstimulant treatment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2012;69:952-961. 

  14. Rubia K, Alegria AA, Cubillo AI, Smith AB, Brammer MJ, Radua J. Effects of stimulants on brain func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l Psychiatry 2014;76:616-628. 

  15.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K-SADS-PL-K). Yonsei Med J 2004;45:81-89. 

  16. Chang LT. A method for attenuation correction in radionuclide computed tomography. IEEE Trans Nucl Sci 1978;25:638-643. 

  17. Varghese GI, Purcaro MJ, Motelow JE, Enev M, McNally KA, Levin AR, et al. Clinical use of ictal SPECT in secondarily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Brain 2009;132:2102-2113. 

  18. Talairach J, Tournoux P. Co-planar stereotaxic atlas of the human brain: 3-dimensional proportional system: an approach to cerebral imaging. Stuttgart: Georg Thieme;1988. 

  19. Clark DL, Boutros NN, Mendez MF. The brai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neuroanatomy. 3rd e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2010. 

  20. Cherkasova MV, Hechtman L. Neuroimaging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eyond the frontostriatal circuitry. Can J Psychiatry 2009;54:651-664. 

  21. Haznedar MM, Buchsbaum MS, Hazlett EA, Shihabuddin L, New A, Siever LJ. Cingulate gyrus volume and metabolism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Schizophr Res 2004;71:249-262. 

  22. Castellanos FX, Giedd JN, Berquin PC, Walter JM, Sharp W, Tran T, et al. Quantitativ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girl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2001;58:289-295. 

  23. Kim BN, Lee JS, Shin MS, Cho SC, Lee DS.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bnormalities i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analysis.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2;252:219-225. 

  24. Hill DE, Yeo RA, Campbell RA, Hart B, Vigil J, Brooks W.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rrelate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Neuropsychology 2003;17:496-506. 

  25. Bledsoe JC, Semrud-Clikeman M, Pliszka SR. Neuroanatomical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cerebellum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combined typ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1;50:593-601. 

  26. Middleton FA, Strick PL. Cerebellar projections to the prefrontal cortex of the primate. J Neurosci 2001;21:700-712. 

  27. Melchitzky DS, Lewis DA. Tyrosine hydroxylase- and dopamine transporter-immunoreactive axons in the primate cerebellum. Evidence for a lobular- and laminar-specific dopamine innervation. Neuropsychopharmacology 2000;22:466-472. 

  28. Park MH, Kim JW, Yang YH, Hong SB, Park S, Kang H, et al. Regional brain perfus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may be associated with the G1287A polymorphism of the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Neurosci Lett 2012;514:159-163. 

  29. Park S, Bae JH, Kim JW, Yang YH, Oh S, Hong SB, et al. Regional brain perfus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according to the MspI polymorphism of the alpha-2A adrenergic receptor gen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3;24: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