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의 발전으로 사람에 의해 기기를 제어하는 기존의 단일기기 제어방식 P2M(People to Machine)이 아닌, 기기와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의 간섭 없이 서로 정보전달이 가능한 M2M(Machine to Machine)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IoT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Io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IoT 기술의 동작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사용자, 센서, SNS 등 이벤트 발생 시 기기들 간의 관계를 맺고 협업하는 과정에 대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를 위해 각각의 기능을 API로 만들어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의 발전으로 사람에 의해 기기를 제어하는 기존의 단일기기 제어방식 P2M(People to Machine)이 아닌, 기기와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의 간섭 없이 서로 정보전달이 가능한 M2M(Machine to Machine)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IoT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Io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IoT 기술의 동작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사용자, 센서, SNS 등 이벤트 발생 시 기기들 간의 관계를 맺고 협업하는 과정에 대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를 위해 각각의 기능을 API로 만들어 제안하였다.
Without the interference of man in traditional single-device control system P2M way to control the device by a pers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was changing the way the M2M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ossible. The attention of the user on the IoT to this development, but thi...
Without the interference of man in traditional single-device control system P2M way to control the device by a pers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was changing the way the M2M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ossible. The attention of the user on the IoT to this development, but this increase was caused problems the system is insufficient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oT technologies to meet them. Therefore,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IoT technology system that can easily expressed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imulation system that can monitor the process of relationships between devices, such as when a user event occurs, the sensor, SNS and the XML-based collaboration to meet users' needs. Further, the respective functions for the maintenance and updating of the simulation system is proposed to make API.
Without the interference of man in traditional single-device control system P2M way to control the device by a pers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was changing the way the M2M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ossible. The attention of the user on the IoT to this development, but this increase was caused problems the system is insufficient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oT technologies to meet them. Therefore,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IoT technology system that can easily expressed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imulation system that can monitor the process of relationships between devices, such as when a user event occurs, the sensor, SNS and the XML-based collaboration to meet users' needs. Further, the respective functions for the maintenance and updating of the simulation system is proposed to make AP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는 IoT시스템에 적용될 기기들의 동작과정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리성과 동작과정의 이해를 돕고 새로운 기기를 추가할 수 있는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정 내부의 구성요소를 이미지 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시에 상태창에 작업의 동작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IoT 시스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제안하는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MFC를 이용하여 직접 가정 내부를 설계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기기들 간의 데이터 네트워킹을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4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실행시킨 화면이다. 가전기기는 선풍기, 청소기, 디지털온도계, 창문, 에어컨, 오디오, 디지털시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온도조절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작업에 필요한 가전기기들을 찾게 된다.
제안 방법
현재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여 관리한다. 최초 발생된 이벤트로부터 받은 Task번호와 Device_Info 스키마 내부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Task에 사용될 수 있는 기기를 재탐색 한다. 재탐색 된 기기의 상태를 체크하고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대기 상태에 들어가며 사용이 가능하다면 해당 기기 중 첫 번째로 작업할 기기를 탐색하게 된다.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여러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각 기능을 함수로 만들어 구현하였다. 그림 3은 시뮬레이션 시스템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API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장에서는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만드는데 있어 요구되는 API를 설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XML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리성과 동작과정의 이해를 돕고 새로운 기기를 추가할 수 있는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정 내부의 구성요소를 이미지 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시에 상태창에 작업의 동작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IoT 시스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프로토타입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 하여 구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프로토타입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 하여 구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각 가전기기의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통해 동작해야 할 기기와 그렇지 않은 기기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동작과정에 있어서 혼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은 MFC를 활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함수 단위로 구현하였다.
각 가전기기의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통해 동작해야 할 기기와 그렇지 않은 기기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동작과정에 있어서 혼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은 MFC를 활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함수 단위로 구현하였다. 각 함수들을 API 형태로 정리하였고 추후 수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은 MFC를 활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함수 단위로 구현하였다. 각 함수들을 API 형태로 정리하였고 추후 수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사용된 스키마는 본 연구실에서 설계한 스키마를 활용하였다. Device_Info, Task_Info, Relation 3가지 스키마를 사용하였으며 Device_Info에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Task_Info에는 작업을 실행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 Relation에는 기기간의 협업을 위한 정보를 갖는다.
성능/효과
이는 IoT시스템에 적용될 기기들의 동작과정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IoT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기능들을 API화하여 추후 수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가정 내부의 구성요소를 이미지 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시에 상태창에 작업의 동작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IoT 시스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프로토타입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 하여 구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각 가전기기의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통해 동작해야 할 기기와 그렇지 않은 기기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동작과정에 있어서 혼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후속연구
향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들을 선택하거나 해당 기기들로 시나리오를 만들고 시나리오가 시작되는 이벤트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수정 및 보완 한다면 더욱 유동적인 협업 관계를 표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XML기반의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무엇을 이용하여 내부를 설계하였는가?
제안하는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MFC를 이용하여 직접 가정 내부를 설계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기기들 간의 데이터 네트워킹을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M2M이란?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의 발전으로 사람에 의해 기기를 제어하는 기존의 단일기기 제어방식 P2M(People to Machine)이 아닌, 기기와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의 간섭 없이 서로 정보전달이 가능한 M2M(Machine to Machine)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IoT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Io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의 XML기반의 IoT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처리모듈 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두 가지 구조를 갖는다. Main_ Dialog는 각 함수마다 다른 기능들을 가지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되어 사용되며 Schema_Dialog는 각각의 스키마를 보여주며 스키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Main_Dialog은 순차적인 구조로 버튼 이벤트 발생 시 Main_Dialog에서는 All_Device_Search()에서 스키마 내부의 모든 기기 정보를 탐색하고, Task_Device_ Search()에서 버튼 이벤트에서 넘어온 작업에 대한 기기를 탐색한다.
참고문헌 (7)
M Bergman, "Product and Technology Trends from the 2015 International CES," - 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 vol. 4, no. 3, pp. 99-100, Jul. 2015.
J. H. Kang, H. J. Kim, M. S. Jun, "Market and Technical Trends of internet of thing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3, no. 1, pp. 14-17, Mar. 2015.
G. T. Kim, K. S. Lee, K. J. Lee, "IoT Technology Trends based on Wearable devic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3, no. 1, pp. 25-30, Mar. 2015.
D. H. Kim, "IoT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trends,"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vol. 24, no. 4, pp. 20-26, Jul. 2013.
C. S. Pyo, H. Y. Kang, N. S. Kim, H. C. Bang, "IoT (M2M)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prospects,"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0, no. 8, pp. 3-10, Jul. 2013.
U. S. Jung, S. H. Kim, G. S. Min,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for the IoT Industry,"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4, no. 5, pp. 119-128, Oct. 2013.
J. H. Kang, J. C. Kim, J. H. Lee, S. S. Park, D. S. Jang, "A Patent Trend Analysis for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IoT and Wearables,"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5, no. 3, pp. 306-311, Jun. 201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