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해양 범죄 및 해양사고 대응력 강화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enhance the reinforcement of marine crime and accident using geographical profiling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48, 2016년, pp.147 - 176  

순길태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종합훈련지원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출입 물동량의 97% 이상을 해양을 통하여 교류하고 있으며, 세계화 국제화 추세에 따라 외국적 선박 및 국제 여객선을 통한 외국여행객들의 출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국민소득 향상과 해양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해양 레저객이 급증하고 있어 해양에서의 사건, 사고가 연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해양에서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경비안전본부의 관할 면적은 국토의 약4.5배에 달하며, 해안선의 길이는 도서지역 포함하여 14,963km, 안전센터 1개소 당 94km를 관장하고 있으며, 경비함정 1척당 $24,068km^2$를 담당하고 있어 효율적인 순찰 및 방범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아래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취급하는 해양 범죄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순찰, 방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증가하는 해양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1900년대 초 미국에서 개발되어 활용하고 있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지리적 프로파일링은 공간분석과 지도화를 응용하여 범죄 위험 지역을 예측하고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특별관리 하는 핫스팟 분석 등 다양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경찰청에서 2008년부터 도입하여 죄종별, 시간대별, 지역별, 범죄 다발지, 범죄 발생 우려지 등으로 구분하여 일상화된 순찰 개념이 아닌 고도화된 분석에 의한 순찰과 방범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해양에서도 도입하여 해양 범죄를 유형별, 장소별, 시기별, 기간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 "해양 범죄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살인, 강도, 절도, 실종, 변사, 충돌 등 중요범죄에 대한 위험발생 지역을 "범죄 지점" 일명, 크리미널 포인트(Criminal Point)로 지정 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시기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경비함정을 배치하고 정기 또는 수시 경비활동과 방범활동 등을 전개한다면 해양 범죄 및 해양 사고 대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by ocean on three sides. Because of this geographical quality over 97% of export and import volumes are exchange by sea. Foreign ship and international passenger vessels carries foreign tourist and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creases this trends. Leisure p...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김영오, 윤종성 (2012).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연쇄강간살인범에 대한 수사심리학적 기법(Liverpool) 적용. 사회과학연구, 51(2), 189-224. 

  2. 김일평 (2007). 우리나라 해상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유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재권 (2007). 사이버테러 범죄수사를 위한 Forensics 기법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창윤 (2004). GIS를 활용한 경찰의 범죄 통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노호래 (2011). 해양 범죄의 유형분석과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2, 15-20. 

  6. 박광배, 배현정 (2001). 범죄자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의 유용성: 수사 실무를 위한 미시적 활용과 정책 평가를 위한 거시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1), 1-24. 

  7. 박명규 (2003).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예측지도의 구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지선 (2012). 범죄심리학, 서울: 그린. 

  9. 박지선, 최낙범 (2012).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413-423. 

  10. 박형식 (2010). 연쇄살인사건 수사에 있어서 공간적 프로파일링에 대한 연구: 연쇄살인범 유영철, 정남규, 강호순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9(1), 83-110. 

  11. 손학기 (2007). GIS와 공간통계에 기초한 부동산 가격 변동지역의 동태적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송병호, 최관(2006). 국제성해양범죄에대한해양경찰의대응실태고찰. 경찰학연구, 6(3), 39. 

  13. 송호림 (2008). 한국 경찰 과학수사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상화 (2009). 연쇄강간범에 대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4(2), 125-160. 

  15. 유영현, 유영재 (2008). 경찰활동상 GIS의 확대보급에 따른 쟁점과 과제, 사회과학연구. 14(2), 55-79. 

  16. 유은혜 (1999). GIS의 통계적 공간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윤영진 (2007). GIS를 이용한 범죄다발지역 공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서울시 4개구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임준태 (2005).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통한 연쇄 살인사건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 449-494. 

  19. 임준태 (2009). 프로파일링, 서울 : 대영문화사. 

  20. 임창수 (2010). 유전자감식정보의 수사상 활용과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차훈진, 정우일 (2011). 해양 범죄의 현황 및 그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연구, 7(1), 208. 

  22. 최정호 (2012). 해양경찰 과학수사 발전방안. 해양경찰 연구용역. 

  23. 황선영 (2001). GIS를 이용한 범죄의 공간패턴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Bartol, Cuft R. & Bartol, Ann M (2005). Criminal Behavior: A Psychological Approach(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Hall, 329. 

  25. Innes, Brian(2005). 프로파일링: 범죄심리와 과학수사(역 : 이경식). 서울 : Human & Books. (2003) 

  26. Lebeau, J., L (1992). Four case studies illustrating the spatial-temporal analysis of serial rapists, Police Studies, 15, 124-145. 

  27. Paulsen, Derek J. & Robinson, Matthew B (2004). Spatial aspects of Crime: Theory and Practice, Boston: Pearson, 120. 

  28. Rossmo, D. Kim (2000). Geographic Profiling. New York et al: CRC Press, 1-15. 

  29. Rossmo, D. Kim (2001). Geographic Profiling, in: Offender Profil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d. by Jackson and Debra A. Bekerian. New York et al., : John Wiley & Sons.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