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주민의 종합병원 응급실 이용 환자에 관한 특성
Characteristics about Patients using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of a partial area Resi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7 no.3, 2016년, pp.61 - 70  

조현태 (김해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about characteristics about patients using the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of a partial area residents.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used by SAS program(ver. 9.2). Chi-square test was used in analyzing degree of emergency of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응급실 이용 환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응급성질환의 관리와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의 응급의료서비스와 응급의료전달체계에 있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법과 대책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응급의료체계는 언제 도입되었는가? 응급환자의 특징은 즉각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사망을 초래하거나 주요 장기의 영구적 기능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율적인 응급처치 및 응급후송을 시행할 수 있는 응급의료전달체계가 필요하다.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응급의료체계의 도입은 1991년도에 도입되었으며 그 이후 이의 정립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윤종근 등, 2004). 국민들의 응급의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수요는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응급의료의 양상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응급의료기관의 권역화와 등급화에 따른 부작용은 무엇이 있는가? 응급환자는 의료법 시행규칙 제 2장 제 10조에서 정의한 대로, 불의의 재해나 기타 위급한 상태 하에서 즉시 필요한 처치를 하지 아니하면 그 생명을 보호할 수 없다거나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환자를 의미한다 (수문사,2015). 우리나라에서는 대형병원의 응급의료센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동네 의원이나 병원에서도 충분히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비 응급환자들이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하여 혼잡도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각 병원의 응급실이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자신이 응급환자라는 판단 하에 병원에 오지만 의학적으로나 의료법적으로 응급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김옥준 등, 1993). 이와 같이 응급의료기관의 권역화와 등급화가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이지 못하여 위중한 정도에 따른 집중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조수형 등, 1996).
응급환자의 특징은? 최근 각종 사고와 심혈관계 질환의 증가, 그리고 질병양상의 변화로 인해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와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이병은, 2005). 응급환자의 특징은 즉각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사망을 초래하거나 주요 장기의 영구적 기능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율적인 응급처치 및 응급후송을 시행할 수 있는 응급의료전달체계가 필요하다.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응급의료체계의 도입은 1991년도에 도입되었으며 그 이후 이의 정립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윤종근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기경. 임규성. 응급실 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과 제언. 대한응급의학회지 1990;1(1):95-101. 

  2. 김경환, 김흥용. 응급실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5;6(2):381-387. 

  3. 김광환, 한상태, 강현철. 보건정보를 활용한 요일별 응급실 내원환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지 2004;6(5):1403-1413. 

  4. 김옥준, 최옥경, 구홍두, 김승환, 김승호. 응급의 료센터로의 외상환자 전원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4(1):112-121. 

  5. 민용일. 최근 1년간 응급실 내원환자 21,700 명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4;5(2):356-364. 

  6. 보건의료관계법규. 개정증보. 서울: 수문사, 2015. 

  7. 심재란, 김영희, 김여옥, 조은희, 최정란, 전양희, 임경수. 일개 종합병원 응급실 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의 임상 타당성 비교연구 : mESI와 mCTAS 중심으로. 대한응급의학회지 2012;23(6):776-783. 

  8. 소권섭. 병원의 입지와 내원환자수 규모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전: 건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9. 

  9. 안현철. 지방 2차병원 응급실 내원환자의 특성. 순천향의대논문집 2001;7(1):19-26. 

  10. 이병은. 119 구급대를 통해 내원한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 분류[석사학위논문]. 경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11. 이인숙. 보건의료원 응급실 내원환자의 특성 분석[석사학위논문]. 부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12. 이장영, 민진홍, 박정수, 정성필, 박준석, 정시경, 양영모. 요일 및 날씨 특성이 응급센터 내원환자 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2005;16(2):287-291. 

  13. 임경수, 정구영, 민용일, 이상범, 김세경. 응급환자의 현황과 응급의료실태-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응급의학회지 1997;8(3):441-459. 

  14. 유계선. 응급실 내원 환자의 질병 중증도에 관한 조사 연구. 응급간호학회지 1996;5(1):3-21. 

  15. 윤상섭, 최승혜, 박일영, 이성, 박승만, 임근우. 2차 의료기관 응급실 내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7;8(2):21-32. 

  16. 윤종근, 김건남, 김경완, 정용태. 119 구급대를 이용하여 야간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현황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004;8(1):117-126. 

  17.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18. 조수형, 조남수, 임경준. 응급실 내원 환자 14,836 례의 통계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6;7(1):7-19. 

  19. 정홍주, 안승재, 임희상, 조은준, 정종훈. 종합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의 진료내용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1;12(9):24-29. 

  20. 천숙진.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체류 시간 및 관련 요인 분석[석사학위 논문]. 대구: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21. 최길순, 권혜란. 주 5일제 시행 후 일 지역 응급실 환자 특성 변화.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007;11(1):53-64. 

  22. 하상욱, 임경수, 김원, 오범진. 응급실에서 중증도가 낮게 평가된 undertriage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나쁜 예후 발생 : 일개 대학병원 관찰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11;22(6):701-708. 

  23. Brown RT, Steinman MA.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older versus younger homeless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3;103:1046-1051. 

  24. Fatovich DM, Nagree Y, Sprivulis P. Access block causes emergency department overcrowding and ambulance diversion in Perth, Western Australia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05;22:351-354. 

  25. McCarthy ML, Aronsky D, Jones ID, Miner JR, Band RA, Baren JM, et al. The emergency department occupancy rate: a simple measure of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8;51:15-24. 

  26. McConnell KJ, Richards CF, Daya M, Bernell SL, Weathers CC, Lowe RA. Effect of increased ICU capacity on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and ambulance diversion.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5;45:471-478. 

  27. Sprivilis PC, Da Silva JA, Jacobs IG, Frazer ARL, Jelinek GA. The association between hospital overcrowding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admitted via Western Australian emergency departments.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2006;184:208-2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