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고혈압·당뇨병 예방관리 인력의 건강증진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Educational Needs for Health Promotion Core Competencies among Personnel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Control in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7 no.3, 2016년, pp.87 - 101  

김은지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  김명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for analysis the educational needs of personnels who works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centers in community in order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ersonnels who wokrs for hyp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고혈압·당뇨병 예방관리에 대한 연구는 고혈압·당뇨병 등록 관리사업에 대한 연구,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교육 요구에 대한 연구, 고혈압·당뇨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상담을 받는 환자 혹은 사업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이혜진과 감신, 2010; 이해진 등, 2012; 이순영, 2016), 환자에게 교육상담을 제공하는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인력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센터 인력의 건강증진 핵심역량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만성질환 예방관리 전문인력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은 어떤 사업인가? 전국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은 고혈압 당뇨병의 지속치료율 제고와 건강행태 개선을 위하여 질환 위험요인 관리를 통한 포괄적인 고혈압 당뇨병 관리, 젊은 층까지 포괄하는 사업으로 사전적 예방관리 강화,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 강화를 주요 전략으로 하고 있다(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A, 2016). 이는 UN과 세계보건기구의 만성질환예방관리를 위한 국제전략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UN 은 2011년 만성질환예방관리에 대한 고위급회의에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전략으로 건강증진 정책의 개정, 건강증진적 접근, 건강증진 연구 및 평가, 건강증진인력 차원의 전략을 제안하였고(UN, 2011), 세계보건기구는 만성질환 예방관리에서 건강증진이 중요한 이유로 높은 비용의 치료가 필요한 단계에 도달하기 이전에 질환을 예방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WHO, 2010)
우리나라의 전국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은 UN과 WHO의 국제전략에 부응하기 위한 것인데 이 국제전략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전국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은 고혈압 당뇨병의 지속치료율 제고와 건강행태 개선을 위하여 질환 위험요인 관리를 통한 포괄적인 고혈압 당뇨병 관리, 젊은 층까지 포괄하는 사업으로 사전적 예방관리 강화,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 강화를 주요 전략으로 하고 있다(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A, 2016). 이는 UN과 세계보건기구의 만성질환예방관리를 위한 국제전략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UN 은 2011년 만성질환예방관리에 대한 고위급회의에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전략으로 건강증진 정책의 개정, 건강증진적 접근, 건강증진 연구 및 평가, 건강증진인력 차원의 전략을 제안하였고(UN, 2011), 세계보건기구는 만성질환 예방관리에서 건강증진이 중요한 이유로 높은 비용의 치료가 필요한 단계에 도달하기 이전에 질환을 예방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WHO, 2010)
최초로 시작된 우리나라 고혈압 당뇨병 예방관리사업은 무엇이었는가? 우리나라 고혈압 당뇨병 예방관리사업은 2007년 대구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09년 광명시, 2010년 남양주시, 하남시, 안산시가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를 시작하였고, 2011년에 신규 5개소, 2012년에 신규 10개소를 추가하여 전국 19개 지역에서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을 시작하였다. 19개 지역은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고혈압 당뇨병)으로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혈압 당뇨병 등록 교육센터’를 설치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B,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수영. 2016년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성과분석. 2016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성과평가 공유대회 발표자료. 2016. 

  2. 김영복.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에서 요구하는 필요능력과 보건교육사의 직무 강화 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4;31(5):135-146 

  3. 김진학, 송민선.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서비스 수행빈도 및 교육요구. 가정간호학회지 2015;22(1):22-37 

  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A. 2016년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표준 실무지침. 2016. 

  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B. 2016년 시도 심뇌혈간질환 예방관리사업 안내. 2016. 

  6. 아주대학교.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교육운영종합계획 수립 보고서. 2013. 

  7. 양숙자, 신영학, 윤영희, 김지희, 안창영, 김점자, 이종무, 이순연, 김명헌. 보건분야 공무원 교육훈련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3):533-545. 

  8. 오영아A.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5;16(1):93-105. 

  9. 오영아B. 지역사회 건강증진인력 직급별 핵심역량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보건연구 2015;41(1):95-106. 

  10. 유효현, 임준, 박귀화. 건강증진사업인력의 개인적 특성,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양식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015;39:97-114. 

  11. 이순영. 고혈압 및 당뇨병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접근전략과 발전방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6;33(4):67-77. 

  12. 이혜진, 감신.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인 고혈압.당뇨병 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 및 지식수준에 대한 비교 분석. 농촌의학지역보건, 2010;35(2):177-192 

  13. 이혜진, 이중정, 황태윤, 감신.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지역사회 단계별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평가. 농촌의학지역보건, 2012;37(3):167-180 

  14. 정영호, 고숙자, 김은주.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1 

  15. Barry MM, Barbara BK, Colette D. The CompHP core competencies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in Europe.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12;39(6):648-662. 

  16. Dempsey C, Battel-Kirk B, Barry MM, the CompHP Project partners. The CompHP Core Competencies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IUHPE, Paris. 2011. 

  17. Neiworth LL, Allan S, D'Ambrosio L, Coplen-Abrahamson M. Charting a Course to Competency An Approach to Mapping Public Health Core Competencies to Existing Trainings. Health Promotion Practice 2014;15:33-38. 

  18. McQueen D.V. Global Handbook on Noncommunicable Disease and Health Promotion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19. Trust for America's Health. Prevention for a Healthier America : Investments in disease prevention yield significant savings, stronger communities. 2008 

  20. United Nations. Political declarationn of the high-level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o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 New York(NY):United Nations 2011 

  21. WHO. UN High-level Meeting on NCDs, General Assembly, United Nations, New York, 19-20 September 2011 

  22. WHO. Global Action Plan 2013-2020. 2013. 

  23. WHO.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