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환자의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iabetes Educational Need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301 - 4309  

박선영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교육요구도와 그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2021년 1월 2일부터 동년 2월 29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총 336명의 대상자가 구조화된 설문지(일반적 특성, 당뇨지식 및 당뇨교육요구도)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ANOVA, t-test,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및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당뇨교육요구도는 평균 3.03(범위: 1.09-4.00)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요구도가 높고(${\beta}$=-.25, p<.001), 가족이 당뇨병 교육에 참여 한 경우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beta}$=.21, p=.003), 질병관련 특성에서는 자가혈당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eta}$=-.13, p=.045). 이들 3개 변수가 당뇨교육 요구도의 총 11%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당뇨지식의 많고 적음에 따른 교육요구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교육은 당뇨진단은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여 이루어질 때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erceived educational needs of diabetes mellitus type 2(DM 2) pati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diabetes educational needs. The descriptive and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2, 2012 to February 29 10, 2012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뇨병은 혈당조절이 불량한 상태에서 유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질환과 심혈관 질환, 말초 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 등과 같은 대혈관 질환을 초래하여 수명 단축과 더불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4]. 따라서 당뇨병 치료 방법의 중요한 부분으로 당뇨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뇨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적극적인 생활양식의 변화를 초래하여 대사 이상의 교정과 합병증 예방 및 지연이라는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5,6].
  • 또한 가족은 당뇨치료 및 관리에서 중요한 지지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육요구도의 예측요인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당뇨교육 참여가 당뇨환자의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에 포함시켰다. 이러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당뇨 환자의 교육요구도와 그 영향 요인을 제시함으로 당뇨환자 중심의 교육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교육요구도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경제상태), 질병관련 특성(질병단계, 건강상태, 유병기간, 합병증), 교육관련 특성(교육수준, 당뇨교육 참여경험, 당뇨지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환자의 교육요구도 예측요인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및 교육관련 특성 변인을 포함하고자 한다. 또한 가족은 당뇨치료 및 관리에서 중요한 지지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육요구도의 예측요인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 본 연구는 346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교육요구도에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및 교육관련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 합병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당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요구도가 높고, 교육관련 특성에서는 가족이 당뇨병 교육에 참여 한 경우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질병관련특성에서는 자가혈당검사를 하지 않는 경우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교육의 요구도와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당뇨교육의 동기화를 제공하고 체계화된 환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당뇨병의 병인, 증상, 질병조절을 위한 처방지침에 대한 환자의 앎을 의미한다[23]. 본 연구에서는 Shim[24]이 문헌고찰과 난이도와 변별도 검증을 통해 개발된 당뇨지식 평가문제지를 통해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당뇨병은 완치되기 어려운 질병으로 치료의 의미는 대사 장애를 개선하여 증상을 조절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지속적인 관리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 참여가 필수적인데 이에 대한 선행은 당뇨병 환자가 요구하는 그리고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과 교육요구도 정도를 파악하고 교육 참여의 동기화를 유도하는데 필요한 교육요구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 점수는 20점 만점에 평균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치료의 의미는 무엇인가? 당뇨병은 완치되기 어려운 질병중의 하나로, 치료의 의미는 질병으로 인한 대사 장애를 개선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증상을 조절하고 나아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지속적인 조절 과정을 의미한다[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하면 30세 이상 성인의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 8.
당뇨병의 합병증에는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은 혈당조절이 불량한 상태에서 유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질환과 심혈관 질환, 말초 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 등과 같은 대혈관 질환을 초래하여 수명 단축과 더불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4]. 따라서 당뇨병 치료 방법의 중요한 부분으로 당뇨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뇨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적극적인 생활양식의 변화를 초래하여 대사 이상의 교정과 합병증 예방 및 지연이라는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5,6].
효율적인 당뇨교육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3, 40대 연령대에서 당뇨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오히려 연령이 많은 대상자의 경우 유병기간이 길어 합병증 발병 우려가 크므로 이들의 교육동기화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 당뇨지식의 많고 적음에 따른 교육요구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교육은 당뇨진단은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여 이루어질 때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education guide book, p.599, 2007.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December, 2011. 

  3.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http://www.idf.org/, Accessed 01 Feb 2012. 

  4. T. Deakin, C. E. McShane, J. E. Cade, & R. D. Williams, Group based training for self-management strategie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18(2), CD003417, 2005. 

  5. C. M. Renders, G. D. Valk, S. J. Griffin, E. H. Wagner, J. T. Van Eijk, & W. J. Assendelft,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diabetes in primary care, outpatient and community settings: A systemic review, Diabetes Care, 24(10), p.1821-1833, 2001.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4.10.1821 

  6.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32(1), p.1514-1522, 2009. 

  7. K. I. Choi, & D. Y.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diabetes, barrier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of diabetic patients. Nursing Science, 22(2), p.13-26, 2010. 

  8. S. L. Norris, J. Lau, S. J. Smith, C. H. Schmid, & M. M. Engelgau, Self-managemnet education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glycemic control, Diabetes Care, 25(7), p.1159-1171, 2002.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5.7.1159 

  9. J. H. Kim, & S. A. Jang,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33(6), p.518-525, 2009. 

  10. J. H. Park, K. W. Kim, E. J. Kang, T. Y. Kim, S. R. Lee, S. C. Bae, M. K. Kim, S. H. Choi, J. H. Park, Evaluation of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have been treated in genera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8(3), p.208-218, 2004. 

  11. C. J. Kim, H. K. Hur, & J. K. Lee, A study on knowledge about myocardial infarction in Korean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2), p.288-297, 1999. 

  12. N. H. Jeon, A study on the diabetes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2007. 

  13. M. R. Lee,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Role Behavior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Kwang ju, 2008. 

  14. Y. S. Kang, Correlation between hemoglobin A1C of elderly diabetic patients, self-care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2011. 

  15. M. K. Kim, Factors affecting the self-care behavior of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1. 

  16. S. H. Moon, Y. W. Lee, O. K. Ham, S. H. Kim,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p81-92,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81 

  17. J. A. Lee, The relationships between Diabetic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HbA1c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t publ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3. 

  18. N. New, Teaching so they hear: Using a co-creat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pproac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2(6), p316-325,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10.00514.x 

  19. F. F. Saleh, S. J. Mumu, F. Ara, H. A. Begum, L. Ali,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s regarding diabetes among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ics in Bangladesh: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 12(1), 1112, 2012. DOI: http://dx.doi.org/10.1186/1471-2458-12-1112 

  20. R. R. Tahmasebi, A. A. Noroozi, S. S. Tavafian, Determinants of self-management among diabetic patients: A path analysis. Asia- 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013. http://aph.sagepub.com/ 

  21. N. R. Kim, A study on the knowledge for coronary artery and educational needs of diabete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3. 

  22. L. Haas, M. Maryniuk, J. Beck, C. E. Cox, P. Duker, L. Edwards, E. Fisher, L. Hanson, D. Kent, L. Kolb, S. McLaughlin, E. Orzeck, J. D. Piette, A. S. Rhinehart, R. Rothman, S. Sklaroff, D. Tomky, G. Youssef,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The Diabetes Educator, 38, p619-629, 2012. DOI: http://dx.doi.org/10.1177/0145721712455997 

  23. M. O. Ku, A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2. 

  24. W. S. Shim, S. B. Hong, Y. S. Choi, Y. J. Choi, S. H. Ahn, K. Y. Min, E. J. Kim, E. B. Park, M. S. Nam, Y. S. Kim, Development of two parallel diabetes knowledge tests, Diabetes, 30(6), p.476-486, 2006. 

  25. R. B. Murry, & J. P. Zentner, Nursing concepts for health promotion, 3rd. ed., p.165, 1985. 

  26.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p.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7. Y. I. Kim, Medical education evaluation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xam items, Seoul University Press, p.138, 1986. 

  28. Y. A. Lim,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the educational demand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96. 

  29. B. Smide, L. Ekman, & K. Wikblad, Diabetes self-care and educational needs in Tanzanian and Swedish diabetic patients: A cross-cultural study, Tropical Doctor, 32(4), p.212-216, 2002. 

  30. M. S. Song, & H. S. Kim, Difference in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3). p.323-330, 2007. 

  31. D. R. Nam,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998. 

  32. T. S. Tang, M. B. Brown, M. M. Funnell, R. M. Anderson, Socialsupport, quality oflife, and self-care behaviors among african americans wity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34(2), p.266-276, 2008. DOI: http://dx.doi.org/10.1177/0145721708315680 

  33. Y. J. Choi, H. B. Kim, M. K. Kim, M. S. Shim, J. S. Lee, M. J. Kim, C. H. Jung, Family support and life quality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3(3), p.270-279,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