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팀워크에 따른 간호사의 안전통제감
Nurses' Safety Control according to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2, 2016년, pp.199 - 208  

김경자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on the safety control of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with 141 nurses who worked in a tertiary hospital with over 1,000 beds in 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팀워크가 안전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는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팀워크에 따른 간호사의 안전통제감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팀워크가 안전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간호사의 안전통제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환자안전의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잘 구조화된 팀워크가 간호업무에 있어서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환자안전문화는 환자안전이라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문화의 특화된 형태로서[1,10],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공유된 인식을 의미한다[2].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조직의 경우, 긍정적인 안전행위가 강화되고, 부정적인 안전결과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11,12]. Feng 등은 환자안전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 관계 내에서 형성되고, 발현되며, 환자안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태도, 권력구조 내의 매일의 업무, 동료 및 팀원의 태도와 행동의 지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12]. 특히 간호사는 환자를 중심으로 한 다학제적 치료팀의 일원으로서 독자업무 뿐 아니라 타 직종과 치료목표를 공유하고, 협조적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동료 및 다학제 팀과의 협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잘 구조화된 팀워크는 간호업무에 있어서 필수적이다[13].
안전통제감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가운데, 환자안전에 대한 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인지적 변수를 다루어 온 선행연구들은 간호사들의 안전통제감이 안전행위 이행의 선행요인이라고 지적하여 왔다[4,5]. 안전통제감은 직무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통제감을 환자안전에 적용한 것으로서[6], 간호업무를 수행할 때 안전한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과 관련되어 업무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지각된 능력을 뜻한다[4]. 안전통제감은 간호업무와 같이 과업완수에 대한 요구가 크고 업무에 대한 책임이 큰 직종에서 안전행위 이행에 큰 영향을 주며[7], 안전 업무수행과의 관련성이 매우 높다[4,5].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조직의 경우, 긍정적인 안전행위가 강화되고, 부정적인 안전결과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11,12]. Feng 등은 환자안전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 관계 내에서 형성되고, 발현되며, 환자안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태도, 권력구조 내의 매일의 업무, 동료 및 팀원의 태도와 행동의 지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12]. 특히 간호사는 환자를 중심으로 한 다학제적 치료팀의 일원으로서 독자업무 뿐 아니라 타 직종과 치료목표를 공유하고, 협조적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동료 및 다학제 팀과의 협응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pp. 1-312. 

  2. Zohar D. Thirty years of safety climate research: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10;42: 1517-1522. http://dx.doi.org/10.1016/j.aap.2009.12.019 

  3. Levinson DR. Adverse events in hospitals: Methods for identifying events. Washington, DC: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Inspector General. 2010.March. Report No.: OEI-06-08-00221. Available online at: http://oig.hhs.gov/oei/reports/oei-06-08-00221.pdf 

  4. Jung SK. A structural model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mpliance of hospital organization employe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pp. 1-115. 

  5. Jang HE. Impact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university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Chosun University; 2013, pp. 1-47. 

  6. Anderson L, Chen PY, Finlinson S, Krauss AD, Huang YH. Roles of safety control and supervisory support in work safety. In: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2004. 

  7. Turner N, Stride CB, Carter AJ, McCaughey D, Carroll AE. Job demands-control-support model and employee safety performanc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12;45:811-817. http://dx.doi.org/10.1016/j.aap.2011.07.005 

  8. Huang YH, Ho M, Smith GS, Chen PY. Safety climate and selfreported injury: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afety contro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06;38:425-433. http://dx.doi.org/10.1016/j.aap.2005.07.002 

  9. Snyder LA, Krauss A, Chen PY, Finlinson A, Huang YH, Occupational safety: Application of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008;40:1713-1723. http://dx.doi.org/10.1016/j.aap.2008.06.008 

  10.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Rockville, MD:AHRQ, 2004 September. Report No.: AHRQ publication, No, 04-0041.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hospital/resources/hospcult.pdf 

  11. Pronovost PJ, King J, Holzmueller CG, Sawer M, Bivens S, Micheal M, et al. A web based tool for the comprehensive unit based safety program (CUSP).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06;32(2):119-129. 

  12. Feng X, Bobay K, Weiss M.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A dimensional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3(3):310-31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728.x 

  13. Manser T. Teamwork and patient safety in dynamic domains of health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2009;53:143-151. http://dx.doi.org/10.1111/j.1399-6576.2008.01717.x 

  14. Morey JC, Simon R, Jay GD, Wears RL, Salisbury M, Dukes KA, et al. Error reduc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rough formal teamwork train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MedTeams project. Health Service Research. 2002;37:1553-1581. http://dx.doi.org/10.1111/1475-6773.01104 

  15. Salas E, Sims DE, Burke CS. Is there a big five in teamwork? Small Group Research. 2005;36(5):555-599. http://dx.doi.org/10.1177/1046496405277134 

  16. Hwang JI, Ahn J.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2015;9: 14-20. http://dx.doi.org/10.1016/j.anr.2014.09.002 

  17. Lingard L, Espin S, Whyte S, Regehr G, Baker GR, Reznick R, et al.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Quality of Safe Health Care. 2004;13:330-334. http://dx.doi.org/10.1136/qshc.2003.008425 

  18. Kalish BJ, Lee KH. The impact of teamwork on missed nursing care. Nursing Outlook, 2010;58:233-24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0.06.004 

  19. Weller J, Boyed M, Cumin D. Teams, tribes and patient safety: Overcoming barriers to effective teamwork in healthcare.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14;90:149-154. http://dx.doi.org/10.1136/postgradmdej-2012-131168 

  20. Battles J, King HB, TeamSTEPPS Teamwork Perceptions Questionnaire (T-TPQ) Manual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2010.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rofessionals/education/curriculumtools/ teamstepps/instructor/reference/teampercept.html 

  21. Kim J, An K, Yun SH.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Korea.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4;10(1): 130-135. 

  22. Abstoss KM, Shaw BE, Owens TA, Juno JL, Commiskey EL, Niedner MF. Increasing medication error reporting rate while reducing harm through simultaneous cultural and systemlevel interventions in an intensive care unit. BMJ Quality & Safety. 2011;20:914-922. http://dx.doi.org/10.1136/bmjqs.2010.047233 

  23. Kim J, Bates DW. Results of a survey on medical error reporting systems in Korean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06;75:148-155.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5.06.005 

  24. Marks MA, Mathieu JE, Zaccaro SJ. A temporally based framework and taxonomy of team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01;26(3):356-376. http://dx.doi.org/10.5465/AMR.2001.4845785 

  25. Latam CL, Hogan M, Ringl K, Nurse supporting nurses: Creating a mentoring program for staff nurses to improve the workplace environment.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8; 32(1):27-39. 

  26. McComb SA, Lemaster M, Henneman EA, Hinchey KT. An evaluation of shared mental models and mutual trust on general medical units: Implications for collaboration, teamwork, and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5;24. http://dx.doi.org/10.1097/PTS.0000000000000151 

  27. Tang CJ, Chan SW, Zhou WT, Liaw SY. Collaboration between hospital physicians and nurse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3;60(3):291-302. http://dx.doi.org/10.1111/inr.12034 

  28. Martinez-Corcoles M, Gracia FJ, Tomas I, Peiro JM, Schobel M. Empowering team leadership and safety performance in nuclear power plants: A multilevel approach. Safety Science. 2012;51(1):293-301. http://dx.doi.org/10.1016/j.ssci.2012.08.001 

  29. Martinez-Corcoles M, Gracia F, Tomas I, Peiro JM, Leadership and employees' safety behaviors in a nuclear power pla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afety Science. 2011;49(8-9):1118-1129. http://dx.doi.org/10.1016/j.ssci.2011.03.002 

  30. Haig K, Sutton S, Whittington J. SBAR: A shared mental mode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s.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06;32(3): 16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