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병원에 내원한 부비동염 환아의 연령 분석 및 임상 유형 분류
A Study on Sinusitis in Pediatric Patients : the Analysis of Age and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edical Clinical Typ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0 no.1, 2016년, pp.9 - 21  

이선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강경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박은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nusitis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O Korean medicine hospital by using their age and to classify the clinical type by Korean medical theor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178 cases that consisted of sinusitis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 ○○대학교 ○○한방병원 소아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단순촬영 (PNS water's view)을 통해 부비동염을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연령비율의 변화를 분석하여 영유아에서도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함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외 성별, 감기이환빈도, 이환주수, 변증, 가족력 등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에 저자는 ○○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단순촬영 (paranasal water's view, PNS water's view)을 통해 부비동염을 진단받은 환아 17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환아의 연령 분포와 성별, 감기 이환 빈도, 이환 주수, 가족력, 변증 유형 등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전의 연구결과와 비교해 연령 비율의 변화를 분석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비동염이 가장 흔히 침범하는 부위는? 부비동염은 소아기에 빈발하는 질병의 하나로, 비강을 둘러싸는 네 쌍의 구조물인 상악동, 사골동, 전두동, 접형동을 침범한 염증질환을 말하며, 상악동은 가장 흔히 침범되는 부위이다1). 부비동에서 생성된 점액은 섬모 운동으로 부비동의 입구를 통해 비강으로 배출하는데, 부비동의 입구가 폐쇄된 경우나 섬모 운동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부비동에 점액이 고이면서 부비동염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2).
부비동염이란? 부비동염은 소아기에 빈발하는 질병의 하나로, 비강을 둘러싸는 네 쌍의 구조물인 상악동, 사골동, 전두동, 접형동을 침범한 염증질환을 말하며, 상악동은 가장 흔히 침범되는 부위이다1). 부비동에서 생성된 점액은 섬모 운동으로 부비동의 입구를 통해 비강으로 배출하는데, 부비동의 입구가 폐쇄된 경우나 섬모 운동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부비동에 점액이 고이면서 부비동염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2).
鼻淵의 특징 증상은? 한의학에서 鼻淵은 부비동염에 해당되며, 病因은 風熱, 風寒 등의 外感, 肺氣虛寒, 肺腎陰虛 등 脾, 肺, 腎의 臟腑機能失調4-5), 및 飮食勞役6), 七情內鬱5,7-8)과 알레르기, 면역결핍, 섬모 운동 장애, 코의 기형, 비용(nasal polyp), 아데노이드 증식 등이다3-4). 특징 증상은 鼻漏, 鼻塞, 嗅覺減退, 後鼻漏, 頭痛, 咳嗽 등인데5), 수반 증상에 따라 風寒, 風熱, 脾肺氣虛, 肺腎陰虛로 辨證施治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ennis LK, Dan LL, Anthony SF, Stephen LH, Larry J, Joseph 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th Edition. Vol 1. United States: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2012:256. 

  2. An HS. HongChangEui Pediatrics. Seoul: Daehan Textbook Co. Ltd. 2007:631, 638. 

  3. Noh GT. Ear, Nose, Throat,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Seoul: Il Jo Gak Publishing Co. 1998:121, 184, 208, 212-4. 

  4.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eong HG,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sang).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29-32, 325-6, 363-6. 

  5. Park EJ, Jeong GM. A literature study on childhood rhinorrhea with turbid discharge. J Korean Orient Pediatr. 1989;3(1):23-40. 

  6. Lee DW. Dongwonsibseo. Seoul: Kyungheedaehakuihakbu. 1973:13. 

  7. Eom YH. Jesaengbang.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1980:136-9. 

  8. Lim PG. Liuzhengchijae. Hongkong: Shenguang Publishing Co. 1978:386-9. 

  9. Park EJ, Lee HJ. The clinical study of Biyun (sinusitis) in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1998;12(1):111-31. 

  10. Lee HJ, Park EJ, Yang MR. Clinical study for recurrence rate of the pediatric chronic sinusitis after herbal medicine therapy. J Korean Orient Pediatr. 2000;14(1):117-26. 

  11. Lee HJ, Park EJ, Jin GY. Clinical study for herbal medicine therapeutic effect on the pediatric chronic sinusitis using plain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J Korean Orient Pediatr. 1999;13(2): 187-224. 

  12. Kim JM, Kim YB, Nam HJ. Comparison between rhinitis and sinusitis in young patients diagnosed by PNS plain radiograph. J Korean Orient Med Ophthalomol Otolaryngol Dermatol. 2008;21(3):140-9. 

  13. Jeong GM. Allergy and Korean Medicine. Seoul: Je Il Ro Publishing Co. 1989:152-3, 322.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KR); 2015[updated 2015 April 22; cited 2015 sep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5407_NN005&conn_pathI2 

  15.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eong HG,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ha).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47, 224-30. 

  16. Jeong YH, Kim YH. The clinical study of a children's sinusitis. HyeHwa Med. 1998;7(1):109-29. 

  17. Lee KW.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First Volume. Yeo Kang Publishing Co. 2007:566-70. 

  18. Noh SS. Anibiinhugwahak. Seoul: Il Joong Sa Publishing Co. 1999:73. 

  19. Lee KW.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Second Volume. Yeo Kang Publishing Co. 2007:969-72. 

  20. Son SM. Chengeumyobang. Seoul: Haenglim Publishing Co. 1976:270-1. 

  21. Heo J. Donguibogam. Hadong: DongUiBoGam Publishing Co. 2010:566. 

  22. Beijing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Zhon YiLinChuangDaXi. Vol.21. Kyoto: Yukon Inc. 1982: 42-57. 

  23. Ye TS. Limjungjinamuian. Seoul: Jeong Dam Publishing Co. 1998:704-7. 

  24. Ju S. Bojebang. Seoul: Hanseongsa Publishing Co. 1987:279-80, 296-8. 

  25. Ju JH. Dangyeuijip.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1995:398-9. 

  26. Lee C. Euihakipmun. Seoul: Hanseongsa Publishing Co. 1977:363. 

  27. Hwang DY. Euijongsonik. Seoul: Euiyaksa Publishing Co. 1976:216-7. 

  28. So WB. Jebyungwonhoorongyoseok. Vol 2.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1983:1342-3. 

  29. Kim CG. The diagnosis of pediatric sinusitis. Korean J Pediatr. 2007;50(4):323-7. 

  30. Michael J. The diagnosis of sinusitis in infants and children: x-ra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agnostic imaging of pediatric sinusitis. J Allergy Clin Immunol. 1992;90(3):442-4. 

  31. Han MY. The management of sinusiti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7;50(4):328-34. 

  32. Yang MR, Park EJ, Lim TH, Jin KS. Clinical study for mucociliary clearance of pediatric chronic sinusitis after Kamihyunggyeyungotang therapy. J Korean Orient Pediatr. 2003;17(1):1-16. 

  33. Chae BY. Clinical study on theraphy on the Beeyeun (chronic sinusitis). J Korean Med. 1985;6(1):98-103. 

  34. Hur JK.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10;53(1):5-9. 

  35. Sin MG.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Young Lim Sa Publishing Co. 2006:247, 285-6, 312, 332, 335-6, 369, 400, 411, 445-6, 574, 668-9, 763, 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