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도출된 식물계절과 기온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Based Plant Phenology and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1, 2016년, pp.30 - 42  

최철현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식물계절주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로 인해 유기적인 상호관계 하에 있는 생태계 내 다른 생물들까지도 피해를 받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식물계절 조사 자료의 구축이 미흡하여 기후와 식물계절간 관계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국내 산림의 생육개시일을 도출하였다. 또한 생육개시일-기온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생육개시일 변동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산림지역의 생육개시일은 4월 평균기온 그리고 TSOGmin($3^{\circ}C$, 12일)과 가장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통해 식물계절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are known to have had enormous impacts on plant phenology and thus to have damage on other species which are interacted within ecosystem. In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phenology due to the limitation of measurement data of plant p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후 미래의 기후변화에 의한 식물의 계절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광역적인 지역에 대한 정량적인 식물계절 자료의 구축과 함께 기후에 대한 영향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물계절주기 모니터링에 사용되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전체 산림의 식물계절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온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광역적인 범위의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식물계절에 대한 현장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위성영상 기반의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기온요인과의 상관성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 신뢰도가 높은 지역별, 수종별 식물계절 조사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세부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 이에 식물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식물계절 주기는 기후변화 지표로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방법의 개발과 자료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계절현상에 대한 현장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위성영상을 이용한 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산림의 식물계절적 특성을 분석하고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기온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기온변수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국내 전체의 산림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의 기반이 되는 위성영상의 공간적 관측범위 내로 한정하여 산림생태계의 식물계절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모의를 통해 앞으로 기온의 증가현상이 명백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기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육개시일 역시 변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육개시일에 대해 어떠한 기온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계절주기의 급격한 변화는,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13). 식물계절주기의 급격한 변화는 생물종 간 생물계절 불일치 현상을 초래하고 먹이사슬의 구조를 변화시키게 된다(Stenseth and Mysterud, 2002; Both et al., 2006; Jones and Cresswell, 2010). 또한 생태계 내의 각 생물들은 서로 밀접한 유기적 관계에 있기 때 문에 어느 한 생물에서 관찰된 계절학적 변화는 다른 생물종의 계절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될 경우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계절 주기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생태적 관점에서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MODIS 식생지수가, GIMMS NDVI와 비교해 가지는 장점은? 반면, MODIS 식생지수 자료는 2000년부터 운용되어 자료의 구축기간은 짧지만 전지구적 차원에서 다양한 조건의 지상 관측망 자료를 통해 자료가 검증된다. 또한 다양한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16일 주기로 식생지수 자료가 제공되고 있으며, 공간해상도가 250m로 GIMMS NDVI보다 월등히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더 정확한 생육개시일 분석을 위해 MODIS EVI 자료를 사용하였다.
GIMMS NDVI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위성영상 자료는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GIMMS Studies) NDVI와 MODIS 식생지수이다. GIMMS NDVI는 15일 주기로 자료가 제공되고 공간해상도는 약 8km이며, 1981년부터 현재까지 자료가 구축되어 있어 장기간 동안의 식생지수 변화추세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반면, MODIS 식생지수 자료는 2000년부터 운용되어 자료의 구축기간은 짧지만 전지구적 차원에서 다양한 조건의 지상 관측망 자료를 통해 자료가 검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deck, F.W, A. Bondeau, K. Bottcher, D. Doktor, W. Lucht, J. Schaber and S. Sitch. 2004. Responses of spring phenology to climate change. New Phytologist 162(2):295-309. 

  2. Both, C., S. Bouwhuis, C.M. Lessells and M.E. Visser. 2006.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declines in a long-distance migratory bird. Nature 441(7089):81-83. 

  3. Cannell, M.G.R. and R.I. Smith. 1983. Thermal time, chill days and prediction of budburst in picea sitchensis. Journal of Applied Ecology:951-963. 

  4. Chmielewski, F-M. and T. Rotzer. 2001. Response of tree phenology to climate change across Europ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8(2):101-112. 

  5. Chmielewski, F-M., A. Muller and E. Bruns. 2004. Climate changes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y, 1961-2000.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1):69-78. 

  6. Choi, C.H. 2015.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ve model on forest ecology using MODIS. Ph.D,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최철현. 2015. MODIS를 활용한 산림생태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예측모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Choi, C.H. and S.G. Jung. 2014. Analysis of the MODIS-based vegetation phenology using the HANTS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 20-38 (최철현, 정성관. 2014. HANTS 알고리즘을 이용한 MODIS 영상기반의 식물계절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3):20-38). 

  8. Daly, C., J.W. Smith, J.I. Smith and R.B. McKane. 2007. High-resolution spatial modeling of daily weather elements for a catchment in the Oregon cascade mountains, United Stat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6(10):1565-1586. 

  9. Frich, P., L.V. Alexander, P. Della-Marta, B. Gleason, M. Haylock, A.M.G. Klein Tank and T. Peterson. 2002. Observed coherent changes in climatic extrem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Climate Research 19(3):193-212. 

  10. Ho, C.H., E.J. Lee, I. Lee and S.J. Jeong. 2006. Earlier spring in Seou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6 (14):2117-2127. 

  11. Huete, A.R. and H.Q. Liu. 1994. An error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atmospheric-and soil-correcting variants of the NDVI for the MODIS-EO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IEEE Transactions on 32(4):897-905. 

  12. Huete, A., C. Justice and H. Liu. 1994. Development of vegetation and soil indices for MODIS-EO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9(3):224-234. 

  13. Jeong, S.J., C.H. Ho and J.H. Jeong. 2009. Increase in vegetation greenness and decrease in springtime warming over East As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2):L02710. 

  14. Jeong, S.J., C.H. Ho, S.D. Choi, J.W. Kim, E.J. Lee and H.J. Gim. 2013. Satellite data-based phenological evaluation of the nationwide reforestation of South Korea. PloS One 8(3):e58900. 

  15. Jo, H.K. and T.W. Ahn. 2008. Differences in phenological phases of plants subsequent to micro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221-229 (조현길, 안태원. 2008. 미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계절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221-229). 

  16. Jones, T. and W. Cresswell. 2010. The phenology mismatch hypothesis: Are declines of migrant birds linked to uneven global climate change? Journal of Animal Ecology 79(1):98-108. 

  17. Julien, Y. and J.A. Sobrino. 2009. Global land surface phenology trends from GIMMS databas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0(13):3495-3513. 

  18. Jung, J.E., E.Y. Kwon, U. Chung and J.I. Yun.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2):148-155 (정재은, 권은영, 정유란, 윤진일. 2005. 생물계절 모형을 이용한 벚꽃 개화일 예측. 200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7(2):148-155). 

  19. Kang, H.S. 2013. Review: Ecological responses of plants to climate change: Research trends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3):319-331 (강혜순. 2013.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생태적 반응: 연구동향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생태와 환경. 46(3):319-331). 

  20. Kim, M.K., M.S. Han, D.H. Jang, S.G. Baek, W.S. Lee, Y.H. Kim and S. Kim. 2012.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ation grid data of 1km resolu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55-68 (김맹기, 한명수, 장동호, 백승균, 이우섭, 김연희. 2012. 1km 해상도의 관측 격자자료 생산 기술. 기후연구 7(1):55-68). 

  21. Kim, N.S., Y.C. Cho, S.H. Oh, H.J. Kwon and G.S. Kim. 2014. A phenology modelling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3):186-193 (김남신, 조용찬, 오승환, 권혜진, 김경순. 2014. MODIS 시계열 자료 및 Timesat 알고리즘에 기초한 남한 지역 식물계절 분석. 생태와 환경 47(3):186-193). 

  22. Kim, G.S. and H.G. Park. 2010. Estimation of drought index using CART algorithm and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28-141 (김광섭, 박한균. 2010. CART기법과 위성자료를 이용한 향상된 공간가뭄지수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28-141). 

  23. Linderholm, H.W. 2006. Growing season changes in the last century.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1):1-14. 

  24. Mendez-Alonzo, R., F. Pineda-Garcia, H. Paz, J.A. Rosell, and M.E. Olson. 2013. Leaf phenology is associated with soil water availability and xylem traits in a tropical dry forest. Trees 27(3):745-754. 

  25. Menzel, A., T.H. Sparks, N. Estrella, E. Koch, A. Aasa, R. Ahas, K. ALMKUBLER, P. Bissolli, O. Braslavska and A. Briede. 2006. European phenolog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matches the warming pattern. Global Change Biology 12(10):1969-1976. 

  26. Myneni, R.B., C.D. Keeling, C.J. Tucker, G. Asrar and R.R. Nemani. 1997. Increased plant growth in the northern high latitudes from 1981 to 1991. Nature 386(6626):698-702. 

  27. Nuttonson, M.Y., A.E. Murneek and R.O. Whyte. 1948.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of phenological data as a tool in the study of photoperiodic and thermal requirements of various plant material. Vernalization and Photoperiodism: 129-143. 

  28. Roerink, G.J., M. Menenti and W. Verheof. 2000. Reconstructing cloudfree NDVI composites using fourier analysis of time se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9):1911-1917. 

  29. Schwartz, M.D., R. Ahas and A. Aasa. 2006. Onset of spring starting earlier across the Northern hemisphere. Global Change Biology 12(2):343-351. 

  30. Shin, H.J., M.J. Park, E.H. Hwang, H.S. Chae and S.J. Kim. 2015.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for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45-157 (신형진, 박민지, 황의호, 채효석, 김성준. 2015.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봄 가뭄 연구 - 소양강댐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145-157). 

  31. Stenseth, N.C. and A. Mysterud. 2002. Climate, changing phenology, and other life history traits: Nonlinearity and match-mismatch to the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13379-13381. 

  32. Tucker, C.J., D.A. Slayback, J.E. Pinzon, S.O. Los, R.B. Myneni and M.G. Taylor. 2001. Higher northern latitud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growing season trends from 1982 to 1999.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5(4):184-190. 

  33. White, M.A., De Beurs, M. Kirsten, K. Didan, D.W. Inouye, A.D. Richardson, O.P. Jensen, J. O'keefe, G. Zhang and R.R. Nemani. 2009. Intercomparison, interpretation, and assessment of spring phenology in North America estimated from remote sensing for 1982-2006. Global Change Biology 15(10):2335-2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