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이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Youth University Graduates' Workplac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for Turnover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1 no.1, 2016년, pp.35 - 40  

박진아 (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 요소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준비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반적 직장만족, 개인의 발전가능성, 자율성/권한, 현 직장 월평균 근로소득(p<.001), 근무환경, 근무시간, 전공도움정도(p<.01), 인사체계, 고용안정성, 복리후생(p<.05) 순으로 영향력이 높았다. 또한 성별, 혼인상태, 학교유형(국공사립), 전공계열, 대학유형, 학교소재권역, 고용형태(종사상지위, 정규직여부) 등에 따른 이직준비 여부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년층 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고 안정적인 직장 정착을 높이기 위한 고용정책을 펼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youth university graduates' workplace satisfaction on preparation for turnover by analyzing panal dat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general workplace, possibility of personal development, autonomy/authority, monthly wage(p<.001), working environ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규모 패널자료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요소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년층 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고 안정적인 직장 정착을 높이기 위한 고용정책을 펼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패널자료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직장만족 요소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H10: 직무의 자율성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11: 직장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12: 주업무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13: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대비 현 직무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14: 현 직무에 대한 전공 적합도 및 도움 정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1: 임금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2: 고용안정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3: 근무환경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4: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5: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6: 직장내 인간관계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7: 복리후생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8: 인사체계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 H9: 직무의 사회적 평판에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직이란? 이직이란 ‘조직의 구성원이 조직으로부터 떠나고자 하려는 의도이며, 노동의 대가로 보상을 받고 있는 개인의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의 상실과 종결’을 의미한다고 하였다(Mobley, 1982)[8].
직장만족요소를 독립변수로 놓고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이직준비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반적만족, 개인의 발전가능성, 자율성/권한, 현 직장 월평균 근로소득(p<.001), 근무환경, 근무시간, 전공도 움정도(p<.01), 인사체계, 고용안정성, 복리후생(p<.05)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하고 잦은 청년층의 이직의 문제점은? 무분별하고 잦은 청년층의 이직은 개인의 경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신규직원의 채용 및 교육 훈련에 대한 사업체의 비용 손실을 야기하여 결국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가능한 한 이직을 최소화해야 하며, 이직이 불가피하다면 보다 나은 조직과 고용형태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청년층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직장만족도를 향상시켜 안정적인 직장 정착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Graduate Employees' Labor turnover Status and implications", Employment Trend Brief, May, 2015. 

  2. Soo-Yeol Yoo, "A Study for the Determination Factor of Workplace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3. Byung-Sook Kim, "Occupational Psychology", Parkmungak, 1999. 

  4. Do-Sik Lee, "The Effects of Workers' Job & Duty Satisfaction on Promotion Desi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5. Doo-Hyung Lee, "A Reformative Scheme for the Enhancement of Welfare and the Workplace Satisfac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8. 

  6. Joo-Yeon Cho, "Analysis of Non-regular Workers' Job Satisfaction : with focus on Commercial High School Graduat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7. Mowday, R. T., Porter, L. W. & Steers, R. M.,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Y : Academy, p.30. 1982. 

  8. Mobley, W. H., "Employee Turnover :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2. 

  9. Do-Myung Kang, "Job Satisfaction and Overturn Inten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Workers; Analysis of Job Resul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actors",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4. 

  10. Ki-Bong Hong,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 whth a focus on Korean Public Enterprises",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Doctoral Thesis, 2012. 

  11. Hyang-Sook Kim, "Th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of Large Discount Store Employees",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12. Byung-Moon Bang,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