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를 경험한 '엄마'의 양육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mothers experienced child 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48 - 56  

박지선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양육지식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영유아 교사를 수행한 경험이 실제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이를 통해 예비부모시기에 필요한 양육지식에 관한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7월 둘째 주부터 8월 셋째 주까지 총 7주에 걸쳐 참여자별로 심층면담 5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출신 엄마의 양육과정에서는 대화가 중심이 되고, 아이 방을 유치원 교실과 같이 활동 영역을 준비해주는 환경구성을 중시하였으며, 내 아이는 달라야 한다는 부담감과 아는 만큼 엄마로서 스스로를 평가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부였다. 이는 경험의 재창조를 통해 양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알고 긍정적인 양육을 실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framework to provide the necessary caring knowledge in preparental perio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n experience of being a child-care teacher in a field based on child-care knowledge from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 in-depth interviews for 7 weeks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양육지식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영유아 교사를 수행한 엄마의 양육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이를 통해 부모 및 예비부모 교육에 필요한 양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출신 엄마의 양육과정에서는 내 자녀에게 맞추어진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고, 아이 방을 유치원 교실과 같이 활동 영역을 준비해주고 이전 경험 속에서 알고 있는 활동을 재실현하는 등 준비된 환경과 준비된 양육자의 모습을 보였다.
  •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 양육하는 남편과 양육지식을 공유하고 같은 방향으로 실행하기 위한 특성을 보였다. 자녀 양육은 부부가 같은 방향으로 함께 노력할 때 좋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음을 알기에 남편뿐만 아니라 주위에 양육지식에 대한 공유가 필요함을 알고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17]이 제시한 교사의 발달 단계 중 ‘성숙기’에 해당되는 5년 이상의 교사경력을 가지고 현재 영유아기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행함으로써 부모 및 예비부모 교육에 필요한 양육지식 및 양육신념에 관한 틀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나은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는 ‘어머니됨’ 즉, 어머니 역할에 대해 배우고 알게 되면서 어머니로서의 새로운 역할과 관계 및 아기에 대한 인지적 재구성을 통하여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2]을 지연시키고 자녀 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이와 같은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은 적절한 양육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자녀가 무엇을 원하는지, 자녀의 행동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처음 부모가 되거나 부모를 준비하는 예비부모들에게 자녀양육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양육지식과 정보가 필요하다.
유아교사를 경험한 엄마들이 양육 과정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녀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엄마가 먼저 자녀의 특성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20]. 또한, 부모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사회적인 상황과도 연관시켜 적절한 방식으로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21]는 연구와 연결지어 볼 때 이는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 발달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참여자들과 같이 내 자녀의 발달에 맞추어진 방법에 내용에 따라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에서 각 연령의 발달 특성과 그에 따른 효율적인 상호작용 방법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양육지식이란 무엇인가? 양육지식은 자녀를 양육할 책임을 지고 있는 부모가 자녀의 발달을 어떻게 지원해 줄 것인지 그 방향을 위한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대한 지식과 정보이다[4]. 과거의 가족 형태에서는 먼저 부모 역할을 해 본 윗세대가 아랫세대가 함께 생활하면서, 아이를 낳아 키우는 과정에 필요한 부모 역할을 가르쳐주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었지만, 현대와 같은 핵가족 내에서는 부모 이외에는 부모 역할을 대신해 줄 존재가 없기에 처음 부모가 된 후 갖는 어려움은 스스로 감당하며 시행착오를 반복해야 하는 실정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 J. Baik., M. J. Kang, & S. A. Han, Difficulties in parenting influenced by the mother's characteristics and child's tempera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1), 65-78. 2012.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2.50.1.065 

  2. Mercer, R. T.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ship, 36, 226-232.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4.04042.x 

  3. H. J. Chae, & S. Kim. Effects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on becoming a mother.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7(1), 52-63.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1.52 

  4. J. S. Kim. A narrative study on child-rearing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majors. The Korean Society for Child Education and Care, 12(2), 121-145. 2012. 

  5. M. A. Lee. The effects of parenting knowledge and child rearing involvement on their parenting 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6. T. I. Kim. Development and test of effectiveness of prenatal role education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2, 104-113. 2006. 

  7. H. E. Oh., J. S. Sim.,& J. S. Kim.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on primiparas'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Woman Health Nursing, 8(2), 268-277. 2002. 

  8. Y. S. Song, & Y. J. Kim.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3), 181-203. 2008. 

  9. Y. H. Yee, & M. Y. O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n the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9(3), 47-62. 2006. 

  10. Grusec, J. E., & Goodnow, J. J. Impact of parental discipline methods on the child's intermalization of values: A reconceptualization of current point of view. Development Psychology, 30, 4-19. 1994.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30.1.4 

  11. Y. J. Kim., & Y. S. Song,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bout infants and parental stress.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475-493. 2007. 

  12. S. J. Seo.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 model of child rear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9(3), 47-62. 2004. 

  13. Mondell, S., & Tyler, F. B.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 paly with children. Development Psychology, 17, 73-78. 1981.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17.1.73 

  14. Bandura, A.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982.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37.2.122 

  15. K. H. Lee., & S. J. Seo. Effects of infant and matern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3), 87-102. 2009. 

  16. M. J. Kim.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liefs, Expectations and Parenting Intellig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3), 311-332. 2013. DOI: http://dx.doi.org/10.13049/jofw.2013.18.3.311 

  17. Katz. L., G. Developmet of stage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p50. 1972. DOI: http://dx.doi.org/10.1086/460731 

  18. Lincoln, Y. S., & Guba, E. 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Sage. 1985. 

  19. K. J. An., S. K. Jang., Y. S. Park., Y. H. Son., J. H. Kim. A Story of Infants and children - a teacher interaction(pp. 19-22). Knowledge community. 2013. 

  20. Y. C. Kim. Qualitative Methodology. Seoul: Moon Eum Sa. 2006. 

  21. S. O.Hong., & S. H. Kim.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6), 55-71. 2008. 

  22. J. S. Lee., & O. B.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1), 17-35. 2002. 

  23. G. W.Kim., Y. H. Kim., & M. S. Choi. Theoretical study on social class culture and child development. Korean Culture Research Foundation, 89(2), 1-22. 1989. 

  24. Y. M. Lee. A study on a child's daily life, parenting, and a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1. 

  25. Y. S. Song. & Y. J. Kim. A Study on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elf-Efficacy between Parenting Belief.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6(4), 107-117. 2007. 

  26. S. R. Han., & H. I. Hwang. A study on changes in teaching behavior by preschool teacher's reflective experience.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2), 161-18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