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엉덩이 강화 운동의 효과
Effects of Hip Strengthening Exercise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3, 2016년, pp.276 - 282  

신원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오두환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장석암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  이장규 (단국대학교 대학원 운동의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엉덩이의 근력 및 족압 분포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발목에 최소 2회 이상의 발목 염좌를 진단받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대상자 19명을 대상으로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서 엉덩이 강화 운동으로 엉덩이의 외전근력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족압의 분포도와 증가비율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운동 후, 환측과 건측의 근력과 족압분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환측의 근력과 족압분포가 건측의 수준만큼 증가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발목의 불안정의 개선에 일정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들의 회복과 재발방지를 위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으로서 엉덩이 외전근력 강화와 족압 분포도에 대한 부분을 중요하게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8-weeks hip muscle training on the hip joint abductor muscle isokinetic strength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in elite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N=19). A total of 19 subjects had chronic ankle instability from at least 2 ankle sprains, and were g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런 국내외 선행연구에서는 단순한 발목부위의 재활만을 시도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발목손상의 재활에 대한 엉덩이 외전근과 발목 근력과의 상호작용 및 발목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엉덩이 근력 및 족압 분포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대상자들의 발목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 운동프로그램 작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족압분포의 측정으로 알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인가? 이러한 자세제어 결핍에 대한 생체역학적인 측정방법으로, 발목과 거골하 관절, 그리고 발의 상중하 부분의 전반적인 압력과 체중 분포를 분석하는 족압(foot pressure)측정법이 보고되고 있다[17,18]. 또한 족압분포의 측정은 발의 각 부분의 압력분포를 분석하여 족부의 통증 및 변형, 말초신경장애, 근력변화 그리고 보행패턴의 변형 등과 족압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발목 염좌의 일반적인 재활 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발목 염좌의 일반적인 재활방법은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에 중점을 둔 가벼운 관절 가동(mobilization)과 통증 관리, 고유수용신경근 조절운동을 통해 재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0]. 그러나 이런 국내외 선행연구에서는 단순한 발목부위의 재활만을 시도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발목손상의 재활에 대한 엉덩이 외전근과 발목 근력과의 상호작용 및 발목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엉덩이 근력 및 족압 분포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대상자들의 발목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 운동프로그램 작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고유수용성감각의 역할은 무엇인가? 자세제어결핍은 일시적인 발목손상에서 만성적 발목 불안정성으로 발전되는 중요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3, 14], 인체의 자세제어 및 유지에 많은 역할을 담당하는 고유수용성감각은 발목의 손상정도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근육의 전반적인 자세를 제어하고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유수용성감각은[16] 발목 손상으로 인해 활성이 저하되며 이는 전체적인 자세제어의 결핍을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자세제어 결핍에 대한 생체역학적인 측정방법으로, 발목과 거골하 관절, 그리고 발의 상중하 부분의 전반적인 압력과 체중 분포를 분석하는 족압(foot pressure)측정법이 보고되고 있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be Y, Tomoaki S, and Masaaki S. "The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ankle sprain during single-leg 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center of pressure and acceleration of the head and foot parameter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6(6): pp. 885-888, 2014. DOI: http://dx.doi.org/10.1589/jpts.26.885 

  2. Waterman B. R, Owens B. D, Davey S, Zacchilli M. A, and Belomont P. J. "The epidemiology of ankle sprai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92(13), pp. 2279-2284, 2010. DOI: http://dx.doi.org/10.2106/JBJS.I.01537 

  3. Fong D. T, Hong Y, Chan L. K, Yung P. S, and Chan K. M. "A systematic review on ankle injury and ankle sprain in sports", Sports Medicine, 37(1), pp. 73-94, 2007. DOI: http://dx.doi.org/10.2165/00007256-200737010-00006 

  4. Fong D. T. P, Chan Y. Y, Mok K. M, Yung P. S. H, and Chan K. M. "Understanding acute ankle ligamentous sprain injury in sports", Sports medicine, arthroscopy, rehabilitation, therapy and technology, 14(1), pp. 1758-2555, 2009. DOI: http://dx.doi.org/10.1186/1758-2555-1-14 

  5. Thomas James L, and Brandon M.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Canale view for displaced talar neck fractures." The Journal of Foot and Ankle Surgery, 51(2), pp. 187-190, 2012. DOI: http://dx.doi.org/10.1053/j.jfas.2011.10.037 

  6. Hintermann B. "Biomechanics of the Unstable Ankle Joint and Clinical Implication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1(7), pp. 459-469, 1999. DOI: http://dx.doi.org/10.1097/00005768-199907001-00007 

  7. Cerny K. "Pathomechanics of stance: clinical concepts for analysis". Physical Therapy, 64(12), pp. 1851-1859, 1984. 

  8. Friel K, McLean N, Myers C, and Caceres M. "Ipsilateral Hip Abductor Weakness after Inversion Ankle Sprai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1(1), pp. 74-78, 2006. 

  9. Beckman S. M, and Buchanan T. S. "Ankle Inversion Injury and Hypermobility: Effect on Hip and Ankle Muscle Electromyography Onset Latenc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6(12), pp. 1138 -1143, 1995.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95)80123-5 

  10. Blckburn, J. T, Marshall, S. W. and Padua, D. A.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39(7), pp. 532-540, 2009. DOI: http://dx.doi.org/10.2519/jospt.2009.2796 

  11. MacKinnon C. D, and Winter D. A.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ournal of Biomechanics, 26(6), pp. 633-644, 1993. DOI: http://dx.doi.org/10.1016/0021-9290(93)90027-C 

  12. Leem M. Y, Park M. S, and Lim S. K. "Strength of hip and ankle muscles in taekwondo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19(4), pp. 371-380, 2010. 

  13. Knapp D, Lee S. Y, Chinn L, Saliba S. A, and Hertel J. "Differential ability of selected posturalcontrol measures in the prediction of chronic ankle instability statu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6(3), pp. 257-262, 2011. 

  14. Wikstrom E. A, Fournier K. A, and McKeon P. O. "Postural control differs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Gait Posture, 32(1), pp. 82-86, 2010.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0.03.015 

  15. Feuerbach J. W, Grabiner M. D, Koh T. J, and Weiker G. G. "Effect of an Ankle Orthosis and Ankle Ligament Anesthesia on Ankle Joint Proprioception",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2(2), pp. 223-229, 1994. DOI: http://dx.doi.org/10.1177/036354659402200212 

  16. Bonnel F, Toullec E, Mabit C, and Toume Y. "Chronic ankle instability: biomechanics and pathomechanics of ligaments injury and associated lesions." Orthopaedics & Traumatology: Surgery & Research, 96(4), pp. 424-43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otsr.2010.04.003 

  17. Angin S, Ilcin N, Yesilyaparak S. S, Simsek I. E. "Prediction of postural sway velocity by foot posture index, foot size and plantar pressure values in unilateral stance", Eklem hastaliklari ve cerrahisi Joint diseases & related surgery, 24(3), pp. 144-148, 2012. DOI: http://dx.doi.org/10.5606/ehc.2013.32 

  18. Lee B. H, Jeong J. G, and Kim C. K. "Effects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in the Gait ability and Foot Pressure of Hemiplegia Patients", Jou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pp. 7259-7265,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7259 

  19. Pitei D. L, Lord M, Foster A, Wilson S, Watkins P. J, and Edmonds M. E. "Plantar Pressures Are Elevated in the Neuroischemic and the Neuropathic Diabetic Foot", Diabetes Care, 22(12), pp. 1966-1970, 1999.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2.12.1966 

  20. Bleakley C. M, O'Connor S. R, Tully M. A, Rocke L. G, Macauley D. C, Bradbury I, Keegan S, and McDonough S. M. "Effect of accelerated rehabilitation on function after ankle spra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10, pp. 1964, 2010 DOI: http://dx.doi.org/10.1136/bmj.c1964 

  21. Paul G. and William E. P. "Techniques in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p. 565-600, New York: Medical publishers division, 2001. 

  22. McConnell, Jenny. "The Physical Therapist's Approach to Patellofemoral Disorders", Clinics in Sports Medicine, 21(3), pp. 363-387,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278-5919(02)00027-3 

  23. Hertel J. "Functional Anatomy, Pathomechanics, and Pathophysiology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pp. 364-375, 2002. 

  24. Van-Cingel R. E, Kleinrensink H. G, Uitterlinden E. J, Rooiiens P. P, Mulder P. G, Aufdemkampe G, and Stoeckart R. "Repeated Ankle Sprains and Delayed Neuromuscular Response: Acceleration Time Parameters",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36(2), pp. 72-79, 2006. DOI: http://dx.doi.org/10.2519/jospt.2006.36.2.72 

  25. Yang J, Lee W. H, Kang K. S, and Kim H. S. "The Effect of the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Focussed on Strengthening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s on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and Muscle Architectur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6)3, pp. 1904-1919,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3.1904 

  26. Bullock-Saxton J. E, "Sensory Changes Associated with Severe Ankle Sprain",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7(3), pp. 161-167, 1995. 

  27. Cutter N. C. and KerVorkian C. G. "Handbook of manual Muscle testing", New York: McGraw-Hill, 1999. 

  28. Renstrom P, and Johnson R. J. "Overuse Injuries in Sports. A Review", Sports Medicine, 2(5), pp. 316-333, 1985. DOI: http://dx.doi.org/10.2165/00007256-198502050-00002 

  29. Stormont D. M, Morrey B. F, An K. N, and Cass J. R. "Stability of the Loaded Ankle. Relationbetween Articular Restraint and Primary and Secondary Static Restraint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3(5), pp. 295-300, 1985. DOI: http://dx.doi.org/10.1177/036354658501300502 

  30. McHugh M. P, Tyler T. F, Tetro D. T, Mullaney M. J, and Nicholas S. J. "Risk factors for noncontact ankle sprains in high school athletes the role of hip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3), pp. 464-470, 2006. DOI: http://dx.doi.org/10.1177/0363546505280427 

  31. Kaminski T. W, and Heather D. H. "Factors Contributing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trength Perspective",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pp. 394 -405, 2002. 

  32. Osborne M. D, Chou L. S, Laskowski E. R, Smith J, and Kaufman K. R. "The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Muscle Reaction Time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5), pp. 627-632, 2001. 

  33. Shambes G. M. "Influence of the Fusimotor System on Stance and Volitional Movement in Normal Ma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48(5), pp. 225 -236, 1969. 

  34. Diener H. C, Dichgans J, Guschlbauer B, and Mau H. "The Significance of Proprioception on Postural Stabilization", as Assessed by schemia, Brain Research, 296(1), pp. 103-109, 1984. DOI: http://dx.doi.org/10.1016/0006-8993(84)90515-8 

  35. de Oliveira C. B, de Medeiros I. R, Frota N. A, Greters M. E, and Conforto A. B.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5(8), pp. 1215-1226, 2008.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7.09.0150 

  36. Hendrickson J, Patterson K. K, Inness E. L, McIlroy W. E, and Mansfield A."Relationship between Asymmetry of Quiet Standing Balance Control and Walking Post-Stroke", Gait & Posture, 39(1), pp. 177-181, 2014.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3.06.022 

  37. Zifchock R. A, Davis I, Hillstrom H, and Song J. "The Effect of Gender, Age, and Lateral Dominance on Arch Height and Arch Stiffness", Foot & Ankle International, 27(5), pp. 367-372. between Articular Restraint and Primary and Secondary Static Restraint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3(5), pp. 295-300. 2006. 

  38. Yu B. K, and Kim E. H, "The effects of the correction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stretching and elastic band exercise on femoral intercondylar distance, Q-angle, plantar pressure in undergraduate with genu varu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pp. 2064-207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3.20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