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간볼기근 강화운동이 만성 발목염좌 환자의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luteus Medius Strength Training on Ankle Stability in Patient with Chronic Ankle Sprains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4 no.2, 2018년, pp.59 - 67  

김윤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수형 (M.S.T운동센터) ,  송현승 (첨단우암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uteus medius strength exercise on the ankle s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 with chronic ankle sprains. Methods: A total of 30 participants were divided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15 participants applied gluteus medi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발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볼기근 강화운동을 적용하여 발목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발목관절 손상 예방 및 재활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 염좌의 특징은? 발목 염좌는 흔히 발목관절이 발바닥 굽힘 상태에서 안쪽번짐이나 내전력을 받아 가쪽인대가 손상되며, 그 중 앞목말종아리인대가 가장 많이 손상 되고, 발목관절 염좌를 경험한 환자들 중에서 10%∼50%가 만성적인 통증이나 재 손상 등의 만성 발목염좌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Karlsson과 Lansinger, 1992; Peters, 1991). 발목염좌의 일반적인 경우는 외력에 의해 발목의 근육 섬유의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손상이 일어나며(강호연, 2011), 주요 원인에는 종아리근의 약화, 고유수용성감각의 결함, 기계적인 불안정성, 균형의 결함뿐만 아니라 발목 관절의 발바닥 굽힘근의 원심성 수축력의 약화 등으로 알려져 있다(Fox 등, 2008).
발이 높은 손상 비율을 가지는 이유는? 발은 지면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며, 일반적인 스포츠 활동은 발의 구조에 매우 많은 스트레스를 준다. 이로 인해 발은 높은 손상 비율을 가지고 있다(Birrer, 2004; Hunter, 2004; Norwig, 1998).
발목염좌의 원인은 무엇인가? 발목 염좌는 흔히 발목관절이 발바닥 굽힘 상태에서 안쪽번짐이나 내전력을 받아 가쪽인대가 손상되며, 그 중 앞목말종아리인대가 가장 많이 손상 되고, 발목관절 염좌를 경험한 환자들 중에서 10%∼50%가 만성적인 통증이나 재 손상 등의 만성 발목염좌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Karlsson과 Lansinger, 1992; Peters, 1991). 발목염좌의 일반적인 경우는 외력에 의해 발목의 근육 섬유의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손상이 일어나며(강호연, 2011), 주요 원인에는 종아리근의 약화, 고유수용성감각의 결함, 기계적인 불안정성, 균형의 결함뿐만 아니라 발목 관절의 발바닥 굽힘근의 원심성 수축력의 약화 등으로 알려져 있다(Fox 등, 2008). 다른 연구들에서는 발목의 주위근육들의 보호반응은 손상을 당하는 순간 보다 늦게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엉덩이 근육의 움직임 조절이 중요하며 발목관절 중재 시 고려해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Konradsen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호연. MR유체를 이용한 발목 염좌 방지 보행 보조 기구의 설계 및 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2. 고다현, 박대성, 신원섭 등. 아급성기 발목염좌에 대한 고유수용운동과 보존적 치료가 발목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8:26(2):167-174. 

  3. 김기종. 근력 및 고유수용성 통합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4. 김기종.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5. 김윤환, 박종항, 최원제, 등. 탄력밴드를 이용한 고관절 외전근 근력강화운동이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15(1):49-57. 

  6. 김지선. 요통을 동반한 요실금 여성에서 실시간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골반저근 조절 훈련이 골반저근의 기능과 요통 수준, 인체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7. 권춘숙. 점진적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만성통증을 동반한 참전군인의 통증, 신체수행능력, 심리사회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8. 류우정, 김다민, 김은성, 등. 초등학교 여자 축구선수들에게 탄력밴드를 이용한 엉덩관절 벌림 운동과 발목관절테이핑 적용이 정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5;19(2):5-12. 

  9. 박성진. 슬링을 이용한 옆 교각 운동이 중둔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10. 이병훈. 치료적 테이핑 적용양식에 따른 부위별 균형지수의 변화.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1. 이상욱. 수정된 고관절 외전근 강화운동이 중둔근 약화를 동반한 만성요통환자의 요통수준 및 고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12. 이현주, 이승주, 태기식 등. 신발 굽 높이와 착용 습관화에 따른 균형 능력 비고.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0;31(2):106-113. 

  13. 장필호. 대둔근 및 중둔근 강화에 도움을 주는 20가지 운동에 대한 근전도 분석.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14. 전진. 엉덩이 강화운동이 만성 발목불안정성을 가진 엘리트 선수들의 고관절 외전근 등속성 근력 및 족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15. 주정열, 서병도, 박규현, 등. 슬링운동이 중간볼기근 안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4;12:149-154. 

  16. 황명중. 4주간의 근력 운동과 평형 운동이 발목 불안정성 지표와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7. Arnold BL, Wright CJ, Ross SE.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Athl Train. 2011;46(6):634-641 

  18. Barker HB, Beynnon BD, Renstron PA. Ankle injury risk factors in sports. Sports Medicine. 1997;23:69-74. 

  19. Beckman SM, Buchanan TS. Ankle inversion injury and hypermobility: Effect on hip and ankle muscle electromyography onset latenc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138-1143. 

  20. Bernier J, Perrin D. Effect of coordin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of the functionally unstabl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7:264-275. 

  21. Birrer RB: Ankle injuries. In Birrer RB, editor: Sports medicine for the primary care physician, ed 2. BocaRaton FL 2004. CRC press. 

  22. Bullock-Saxton J, Bullock M. Repeatability of Muscle Length Measures Around the Hip, Physiotherapy Canada. 1994;46:105-109. 

  23. Fong DTP, Chan YY, Mok KM, et al. Understanding acute ankle ligamentous sprain injury in sports. Sports Medicine Arthroscopy Rehabilitation Therapy Technology. 2009;1:14. 

  24. Fox J, Docherty CL, Schrader J, et al. Eccentric plantar-flexor torque deficits in participants with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2008;43(1):51-54. 

  25. Friel K, McLean N, Myers C, et al. Ipsilateral hip abductor weakness after inversion ankle sprain. J of Athletic Training. 2006;41(1):74-78. 

  26. Ganesan M, Pasha SA, Pal PK, et al. Direction specific preserved limits of stability in early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A dynamic posturographic study. Gait Posture. 2012;35(4):625-921. 

  27. Hunter S, Prentice W: Rehabilitation of ankle injuries. In Prentice WE. editor: Rehabilitation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and athletic training. 4th ed, St. Louis. McGraw-Hill. 2004. 

  28. Jordan D, Raugust B. The Effect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on peroneal reflex latency. University of Alberta Health Sciences. 2006;3(1):16-19. 

  29. Karlsson J, Lansinger O.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Clinical Orthopedics and Related Research. 1992;276:253-261. 

  30. Konradsen L, Voigt M, Hojsgaard C. Ankle nversion injuries: The role of the dynamic defense mechanism. Am J Sports Med. 1997;25(1):54-58. 

  31. Kristen B, Cara C, Jennifer LC,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2011;63:206-216. 

  32. Kumagai M, Shiba N, Higuchi F, et al. Functional evaluation of hip abductor muscles with us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J Orthop Res. 1997;15(6):888-893. 

  33. Lentell G, Bass B, Lopez D, et al. The contributions of proprioceptive deficits, muscle functions, and anatomic laxity to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1:206-215. 

  34. MacKinnon CD, Winter DA.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 Biomech. 1993;26:633-644. 

  35. Norwig J. Recognizing and rehabilitating the high ankle sprain. Athletic Therapy Today. 1998;3(4):12. 

  36. Peter W, Trevvino SG, Renstrom PA.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 Ankle. 1991;12(3):182-191. 

  37. Phillip A Gribble, Eamonn Delahunt, Christopher M Bleakley,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controlled research: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14;49(1):121-127. 

  38. Sawkins K, Refshauge K, Kilbreath S, et al. The placebo effect of ankle taping in ankle instability. Med Sci Sports Exerc. 2007;39:781-787. 

  39. Selkowitz DM, Beneck GJ, Powers CM. Which exercises target the gluteal muscles while minimizing activation of the tensor fascia lata? Electromyographic assessment using fine-wire electrod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3;43(2):54-64. 

  40. Van Cingel. Repeated Ankle Sprains and Delayed Neuromuscular Response: Acceleration Time Parameters.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