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문화는 인류의 발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생산되어 소비되어지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사람들이 특정한 곳으로 모이게 되면서 대중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대중이 향유하는 대중문화가 생성되게 되었다. 대중문화는 경제원리에 입각하여 자본을 만들어내기 위해 생산자들이 대중에 대해 분석하여 문화 산물을 만들어 낸다. 초기 대중문화는 생산자 중심으로 자본을 가진 기업이나 국가가 정해놓은 텍스트의 의미를 대중이 수용하는 형태였지만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중이 여론을 형성하며 정치력을 가지게 되면서 문화 산물을 능동적으로 선택하며 수용하게 되었다. 특히 팬덤은 문화 산물을 적극적으로 소비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문화 산물의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여러 가지 활동으로 문화생산자에게 영향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으로 형성된 문화 소비 집단인 팬덤이 팬 아트를 이용한 문화 재생산활동을 하게 되면서 참여적 집단으로 변화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문화 산물의 소비가 적극적인 모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문화제작자는 문화자본을 형성하는 집단으로만 여기던 팬덤을 문화 산물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좋은 척도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팬덤 문화 중 팬 픽션과 팬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으로 문화 소비가 이루어지고 재생산되는 팬 아트가 어떻게 문화 제작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Culture is being created and consumed as several form by human development. Populace is forming through movement of mass of people to specific place which influenc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cultural products are created on base of economic principles cultural content makers are make culture products after lot of study and analyze. In early days popular culture was accepted only by the meaning of the text which has settled already via country or company which was holding the capital. But today we can apply culture products freely by the power of public opinion and media art's growth. Especially fandom is giving the opportunity to consume the image of cultural products actively and offering the good influence to make it by several ways of activities to the culture producers. In this study, consumption as a cultural group formed by the fandom in public will be transformed into participatory groups by the influence of cultural activities with fan art reproduction. These changes in the consumption of culture products will make it in positive way. Thereby culture creator who thinks fandom as a group of culture capital maker only use it now for the indicator for predicting success of culture products. Will find out in this study how culture consumption is accomplishing by fan fiction and fan illustration in the fandom culture and how reproduced fan art is affects to culture creator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1세대 대중문화 | 1세대 대중문화는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 |
물질적으로 풍부한 문화 생산자가 주도적으로 문화 산물을 생산하고, 대중은 그것을 소비하는 것에 익숙하고 의존적이었다.
1세대 대중문화는 물질적으로 풍부한 문화 생산자가 주도적으로 문화 산물을 생산하고, 대중은 그것을 소비하는 것에 익숙하고 의존적이었다. 대중이 선택의 주도권을 포기하고 문화생산자가 자기중심적으로 만들어낸 문화 산물을 소비자는 소극적인 수용자의 모습으로 무책임하게 소비하는 모습이 러시아의 사회주의의 민중과 상치되는 요소가 있다. |
팬덤 | 팬덤은 무엇인가? |
특정한 스타나 엔터테이먼트 장르를 선호하는 팬들의 자발적인 모임 형태를 의미한다. 즉, 대중문화에 다양하게 퍼져있는 뮤지션, 배우, 서사물 장르들을 선택하여 자신들의 문화 속에 수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컫는다. 팬덤에서 ‘팬’(fan)은 ‘파나틱’즉 열정적인이라는 의미이고, 덤은 특정한 집단의 세력권을 의미한다. 따라서 팬덤은 특정한 대중음악 스타와 특정 문화 산물을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세력권을 뜻한다.
팬덤은 특정한 스타나 엔터테이먼트 장르를 선호하는 팬들의 자발적인 모임 형태를 의미한다. 즉, 대중문화에 다양하게 퍼져있는 뮤지션, 배우, 서사물 장르들을 선택하여 자신들의 문화 속에 수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컫는다. 팬덤에서 ‘팬’(fan)은 ‘파나틱’즉 열정적인이라는 의미이고, 덤은 특정한 집단의 세력권을 의미한다. 따라서 팬덤은 특정한 대중음악 스타와 특정 문화 산물을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세력권을 뜻한다. |
1세대 팬덤 | 1세대 팬덤 특징은 무엇인가? |
한 대상을 우상화하여 다른 스타에게는 배타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스타에 충성하며 끝없는 애정을 보였다.
1세대 팬덤은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반에 나타났다. 한 대상을 우상화하여 다른 스타에게는 배타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스타에 충성하며 끝없는 애정을 보였다. 한 연구에서 1세대가 팬덤에 속한 이를 인터뷰에서 동일한 색 풍선을 흔들며 잘 보이지도 않는 스타의 움직임에 반응하던 경험은 마치 공산당 같다고 표현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