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1, 2016년, pp.89 - 108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QoL) of the elderly. The data in the 'Survey on the Elderly in 2011', were collected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노인의 개인적 차이를 반영하는 요인으로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 심리적 특성을 설정하였다. 경제적 특성 중 경제활동참여는 노인의 경제적 상태를 나타내주는 동시에 노인의 활동성 및 생산성을 의미하는 요소이므로, 경제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소득 효과와 자존감 및 우울을 조절시키는 효과에 의해 삶의 질이 증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특성으로는 노년기의 가장 큰 심리적 문제인 우울과 반대로 긍정적인 정서인 자존감을 설정하였다.
  • 이처럼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에 따라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밝히는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왔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거나 또는 낮추는 영향요인을 성별, 신체적ㆍ인지적 기능, 건강상태, 교육수준, 소득, 배우자의 존재 등 개인적 요인의 차이에서 찾아냄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년기의 적응 문제를 설명하고자 하는 활동이론과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는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관계가 은퇴 후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생활만족에 중요한 요인(Rowe & Kahan, 1997)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현상은 활동적으로 노년을 보내는 건강한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사회적 역할에서 배제된 쇠약하고 비활동적인 이미지를 벗어나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 긍정적 이미지로 인식되는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인의 다양한 배경과 인식을 반영하는 요인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고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노년기의 문제를 극복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활동이 중요하다고 보는 관점에서 특히 경제활동이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효과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노인의 경제활동은 소득효과를 통해 기본적인 삶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며, 생산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활동성은 삶에 활력을 주고 자존감 및 우울 등의 심리적 요인을 조절함으로써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로 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 심리적 특성의 상대적인 영향력과 심리적 특성의 매개변수로서의 효과 및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기 노인의 활동성을 반영하는 경제활동참여, 객관적 생활여건에 대란 주관적 인식, 심리적 특성 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과 그 경로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확인된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통해 노인의 노년기 삶에 대한 적응능력을 증진시키고 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적으로 노년기의 삶을 위한 준비의식과 구체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삶의 질을 노년기의 물질적 조건이나 객관적인 상황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평가의 결과로 나타나는 만족 정도로 보고, 유사한 객관적 상황에서도 개인에 따라 달리 인식되는 삶의 질 현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개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는 어떤 개인 차이가 조건으로 작용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요인에 초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직업은 일생에 있어서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개인적, 사회적 활동으로써 인간은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추구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년기에 있어 경제활동 참여와 적절한 소득은 최소한의 생존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허성호 외, 2011) 사회공헌, 건강유지, 사회적 소외와 고독감의 억제와 같은 긍정적 효과를 갖기(권중돈ㆍ조주연, 2000) 때문이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에 따라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밝히는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왔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거나 또는 낮추는 영향요인을 성별, 신체적ㆍ인지적 기능, 건강상태,교육수준, 소득, 배우자의 존재 등 개인적 요인의 차이에서 찾아냄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년기의 적응 문제를 설명하고자 하는 활동이론과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는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관계가 은퇴 후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생활만족에 중요한 요인(Rowe & Kahan, 1997)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노년기의 경제활동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부정적 정서로 알려진 우울 또한 노년기에 경험하는 여러 가지 상실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노년기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오창석, 2012; 임승희ㆍ노승현, 2011; 노병일ㆍ모선희, 2007). 노령으로 인한 실직은 불안감, 우울감, 고독을 가져다주게 되어 결국 자아존중감을 악화시키며(Koenig & Harold, 1995), 반대로 경제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지위와 자아존중감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삶의 만족수준을 높이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최성재ㆍ장인협,2003). 즉, 노년기의 경제활동이 자존감과 우울을 조절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2), 62-76. 

  2. 김동배.김상범.심수민(2012).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1), 289-303. 

  3. 김동배 박은영(2007).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일반, 비수급 빈곤, 수급 빈곤 여성노인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339-358. 

  4. 김미령(2006). 전기.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2-222. 

  5.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6. 김미령(2012).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2(1), 145-161. 

  7. 김연희.김기순(2002).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7, 157-189. 

  8.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51-71. 

  9. 김윤정. 안정선. 강인(2008).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23-42. 

  10. 남기민.정은경(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11. 노병일.모선희(2007),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1) : 53-69. 

  12. 림금란.김희경.안정선(2011).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1(1), 33-47. 

  13. 박경희(2005).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순미(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연구, 53, 305-332. 

  15. 성혜영(2005). 성공적 노화 모델 연구 :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신경인(2009).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성일.김영희(2013).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4(6), 3673-3690. 

  18. 오창석(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 6(2), 79-191. 

  19. 윤명숙(2007). 도시.농촌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음주 및 삶의 질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281-310. 

  20. 윤명숙.이묘숙(2012).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2), 397-413. 

  21. 임승희.노승현(2011).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한국노년학, 31(1), 1-14. 

  22. 정경희(2012). 노인의 가족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0, 6-16. 

  23. 정순둘.이선희(2011).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1994, 2004, 2008년) 결과 비교. 한국노년학, 31(4), 1229-1246. 

  24. 정진경.김고은(2012). 노년기 부모-성인자녀간 지원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2(3), 895-912. 

  25. 최성재.장인협(2003). 노인복지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통계청(2011). 장래 인구추계. 통계청. 

  27. 한경혜.홍진국(2000). 세대 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28. 한형수(2008).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347-372. 

  29. 허성호.김종대.정태연(2011). 취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31(4), 1103-1118. 

  30. Aquino, J. A. & Russel, D. W.(1996). Employment status, social support, &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logy, 43(4), 480-489. 

  31. Ball, R., & Chernava, K.(2008). Absolute income, relative incime, and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8, 497-529. 

  32. Berg, A. I., Hassing, L. B., McClearn, G. E. & Johansson, B.(2006). What matters for life satisfaction in the oldest-old?. Aging & Mental Health, 10(3), 257-264. 

  33. Bowling, A. & Windsor, J.(2001). Towards the good life : A population survey of dimens ions of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 55-81. 

  34. Chou, K. L. & Chi, I.(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 1-14. 

  35. Edwards, J. N., & Klemmack, D. L.(1973). Correations of life satisfaction: A re-examination. Journal of Gerontlogy, 28(4), 497-502. 

  36. Hilleras, P. K., Jorm, A. F., Herliltz, A. & Winbald, B. (2001). Life satisfaction among the very old.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1(1), 71-90. 

  37. Neugarten, B. I., Havigu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1), 134-143. 

  38. Katz, S.(2000). Busy bodies : Activity, aging, and the management of everyday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14(2), 135-152. 

  39. Klemmack, D. L. & Roff, L. L.(1984). Fear of persona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39, 756-758. 

  40. Koening, H. G.(1995). Religion and health in later life. Minnesota: Fortress Press. 

  41. Riddick, C. C.(1985). Life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older males & females, Leisure Sciences, 7(1), 47-63. 

  42. Rogers, R. G.(199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ong-lived and healthy individual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1(1), 35-58. 

  43. Roh, S. H.(2010). The impact of religion, spirituality &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immigrant older adults, New 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44.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37, 433-441. 

  45. Shephard, R. J.(2002).Gender, Physical activity, and Ageing. London, CRC Press. 

  46. Steinkamp, M. W. & Kelly, J. R.(1987). Social integration, leisure activity, & life satis faction in older adults : Activity theory revisited.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25(4), 293-307. 

  47. Sugisawa, H., Shibata, H., Houhham, G. W., Sugohara, Y. & Liang, J.(2002). The impacts of socialities in depressive symptom in U. S. and Japanese Elderly, Journal of Social Issues, 58(4), 785-804. 

  48. Tran, T. V., Wright, R. & Chatters, L.(1991). Hearth, stress, psychological research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blacks, Psychology and Aging, 6, 100-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