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레마스 기호학을 이용한 서사 분석의 문제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Does Disney's Frozen offer a subversive feminine gender representation? Discussion based on Greimas's semiotic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6, 2016년, pp.7 - 30  

주형일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그레마스기호학 방법을 이용해 <겨울왕국>의 서사 분석을 한 기존 논문들의 오류를 지적하고 <겨울왕국>의 심층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행위소 모델과 기호사각형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잘못된 분석을 했다. 그레마스의 방법을 엄밀히 이용한다면 <겨울왕국>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주장된 것과는 달리 엘사가 아닌 안나의 영웅 서사임이 드러난다. 서사구조 안에서 안나와 엘사는 서로 대립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안나의 성공은 사실상 엘사의 실패이다. 따라서 <겨울왕국>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주장하듯이 남성 지배적 담론에 저항하는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젠더 재현에 있어서 전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겨울왕국>은 가족 안에서의 사랑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고 공동체가 부여한 역할을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하면서 기존의 체제 순응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criticize the articles that analyzed Frozen by using the semiotic method of Greimas. The study also aims to apply the semiotic method of Greimas correctly to find the deep structure of the narrative of Froze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analysis based 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울왕국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곳은 어디인가? <겨울왕국>은 미국의 대표적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것이다. 그동안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미국의 지배적 가치 체제에 순응하는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한다는 비판을 들어 왔다(선우현, 2008).
그레마스의 기호학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런데 그레마스의 기호학 방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주장을 펼치는 논문들의 경우는 다르다. 그레마스의 기호학 방법은 서사구조를 밝히는 독립적 분석틀이기 때문에 방법이 제대로 적용됐는지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에 방법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해서 분석에 오류가 있다면 그 분석 결과에 근거한 주장은 설 자리를 잃는다.
한국 커뮤니케이션학계에서 기호학 방법은 주로 어디에 사용하는가? 한국 커뮤니케이션학계에서 기호학 방법은 학부와 대학원 교육에서 다뤄지는 대표적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이다. 이 방법은 주로 신문기사, 영화, 광고, TV 프로그램과 같은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특히 바르트, 그레마스 등의 학자들에 의해 발전된 구조주의 기호학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은진 (2014). 디즈니 영화에 등장하는 마녀 캐릭터의 기호학적 분석: 과 . , 13권 2호, 33-54. 

  2. 강준수 (2015). 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 연구. , 37호, 173-192. 

  3. 김미숙 (2013).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 1: 여성 몸짓 언어를 중심으로. , 9권 4호, 51-76. 

  4. 김보현 (2015). 에 나타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야기 형태 연구. , 11권 1호, 7-20. 

  5. 김성도 (2002). .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6. 김태영.김정환 (2015).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장르 관습 변화에 관한 연구- 에 대한 20대 여성 수용자 연구를 중심으로. , 30권 1호, 47-88. 

  7. 선우현 (2008). 문화산업 논리의 구현체로서 디즈니 만화영화: 문제점과 극복방안. , 16호, 101-130. 

  8. 성례아.김혜성 (2014). 애니메이션 의 구조와 의미생성 연구. , 37호,197-219. 

  9. 신혜원.백선기 (2014).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젠더 표상과 이데올로기: 에 대한 그레마스 개념과 모형적용을 중심으로. , 28권 2호, 98-136. 

  10. 양세혁 (2014).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역동. , 37호, 159-195. 

  11. 오동일.최혜림 (2014).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담론에 관한 연구: 디즈니 애니메이션 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 15권 5호, 613-620. 

  12. 이란.백선기 (2015). 디즈니 애니메이션 의 여성 젠더 표상과 다층적 이데올로기-그레마스 기호학적 분석방법 적용을 중심으로. , 29권 6호, 172-205. 

  13. 이윤종 (2014). 마녀와 왕녀 사이: 의 흥행으로 보는 한국의 오늘. , 78호, 153-171. 

  14. 이준수 (2015). 겨울왕국의 엘사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변화: 퀴어 이론을 중심으로. , 38호, 1-28. 

  15. 이혜원.김민정 (2014). 을 통해 본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환상성. , 35호, 107-128. 

  16. 정기철 (2014). 자기성장 관점에서 본 . , 57호, 225-250. 

  17. 최유미 (2008).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의 성격과 역할 연구. , 4권 1호, 135-152. 

  18. Chandler, D. (2002). Semiotics for Beginners, 강인규 역(2006). . 서울: 소명출판. 

  19. England, D., Descartes, L. & Collier-Meek, M. (2011). Gender role portrayal and the Disney princesses. Sex Roles, 64(7), 555-567 

  20. Garabedian, J. (2014). Animating gender roles: How Disney is redefining the modern princess. James Madison Undergraduate Research Journal. 2(1). 22-25. http://commons.lib.jmu.edu/jmurj/vol2/iss1/4/ 

  21. Greimas, A. J. (1986). Semantique structurale. Paris: PUF. 

  22. Greimas, A. J. & Courtes, J.(1993). Semiotique: dictionnaire raisonne de la theorie du langage. Paris: Hachette. 

  23. Hall, S. (1973). Encoding and Decoding in the Television Discourse. Birmingham: Centre for Cultural Studies. 

  24. Herault, A. (1983). Narratologie, Semiotique generale. 홍정표 역 (2003). . 서울: 문학과 지성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