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암 여성 환자의 의생활 조사: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간의 비교
Survey of Clothing Behavior for Breast Cancer Women After Surgery: Comparison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and a Mastectomy Group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1, 2016년, pp.49 - 60  

오희경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68명)과 유방 전절제술(45명)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유방 절제 수술로 변형된 체형을 노출시키고 싶어 하지 않았고, 타인에게 본인이 유방암 환자인 것을 알아채주어 배려 해 주기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방 절제 범위가 큰 유방 전절제술의 대상자는 신체 이미지의 고양을 위하여 절제된 유방의 보완이 가능한 의복 및 보조물(인조 유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브래지어나 인조유방은 고가임은 물론, 낮은 감성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유방암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을 위한 전문 의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한국 여성 대상자를 위한 치유 복장, 브래지어나 인조유방 등의 개발에 있어, 이와 같은 감성 조사가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되어 신체이미지 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lothing habits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68 patients) and a mastectomy group (45 patients). In common, both parties expressed that they did not want to conspicuously display their altered body shape from the surgical pro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 간의 수술 후 의생활에 대한 감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절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의 일환으로 신체 이미지 증진을 위한 의복의 개발을 위해 유방 절제 수술 후의 의생활에 대한 감성을 조사하였다. 유방암 환자들이 수술 후 자기 존중감을 되찾고 긍정적 대인관계 및 사회 복귀를 위한 효과적이고 기능적인 치유 복장 개발하는데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효과적인 감성 정보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유방 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의 집단 간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와 의생활 감성 평가, 브래지어, 인조 유방의 조사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향후 유방암 절제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적절한 기능성 의복 및 브래지어, 인조유방 개발로 신체 이미지를 고양함에 있어 그들의 감성을 포용하는 치유 복장(Fashion Therapy)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유방 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의 집단 간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와 의생활 감성 평가, 브래지어, 인조 유방의 조사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향후 유방암 절제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적절한 기능성 의복 및 브래지어, 인조유방 개발로 신체 이미지를 고양함에 있어 그들의 감성을 포용하는 치유 복장(Fashion Therapy)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절제 수술로 인한 유방의 상실은 여성의 신체 및 정신에 어떤 손상을 야기할 수 있나? 이에 유방암 수술 후 1∼ 5년 동안 회복되었던 신체 이미지가 5년 생존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긍정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여성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여성다움과 아름다움, 모성을 대표하는 유방의 상실은 신체 이미지를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장기간 동안 갖게 하여,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매력 상실 등과 같은 자아 존중감의 저하 및 우울증과 수치심으로 인한 심 리적 손상에 의한 정신적 고통이 초래 된다(Jeong & Park, 2007). 유방암 절제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은 자신의 우울 정서가 높아지고, 대인관계에 문제가 심하게 야기되기 때문에(Ha, 2011; Kim, 2010; Kim et al.
암이란 무엇인가? 암은 세포의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나 성장이 조절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유방암의 경우, 종류가 다양하여 유방암 진행에 따라 크게 0기, 1기, 2기, 3기 4기의 병기를 구분한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유방암 수술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유방암 수술 방법은 크게 유방을 보존할 수 있는 부분 절제의 유방 보존술, 유두를 포함한 유방 전체 를 제거하는 유방 적출 및 유방 아래에 존재하는 근육을 제거하기도 하는 유방 전절제술, 그리고 유방을 새로 만들어 주는 유방 복원술로 나눌 수 있다. 과거 에는 유방암의 진행정도와 상관없이 유방 전체를 들어내는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기본치료로 인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sami, T. (2008). Epithese and Foundation Garment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24(2), 81-86. 

  2. Breast cancer(유방암). (2014, November 13). National Caner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October 26, 2015,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4757&menuSeq4773&viewTypeall&idcancer_020115000000. 

  3. Breast cancer white paper(유방암 백서). (2013, October).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Retrieved February 01, 2014,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3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4. Cho, H. S. & Lee, K. M.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stectomy bras and breast prostheses(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3), 5-18. 

  5. Cho, N. H., Shin, D. S., & Park, S. Y. (2009).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by types and time-series of breast surgery.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10(2), 19-35. 

  6. Chung, S. H. & Lee, H. J. (2006). A research on the design preferences among and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lothing designs for disabl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6), 58-71. 

  7. Ha, E. H. (2011). The influenc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depressive symptoms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6(4), 499-515. 

  8. Han, M. O. & Park, J. G. (2014). Body image and physical suffering during radi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following breast conserving operations. Asian Oncol Nurs, 14(3), 155-161. 

  9. Hwang, E. K. & Yi, M. S. (2014).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hormone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111), 108-117. 

  10. Hwang, J. S. (1998).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3), 293-302. 

  11. Iwanami, K.(1998). Clothing and attire in disabled persons(身障者の衣服とおしゃれ). Sen'i Gakkaishi, 54(8), 272-275. 

  12. Jeong, K. S. & Park, G. K. (2007).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astectomy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7(1), 36-46. 

  13. Kawabata, H. & Yatagai, M. (2012). Inconveniences and Consciousness: Clothes worn by breast cancer patients and survivors-QOL and body image analysis-. Journal of Home Economics of Japan, 63(2), 93-102. 

  14. Kim, J. G. (2004). Body as others, the body of the community(타자로서의 몸, 몸의 공동체), Seoul:Konkuk University Press. 

  15. Kim, M. S. (2011). Evaluation of Scoliotic Change in Patients with Mastectomy: Chest Wall Volume Analysis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Gang University, Korea. 

  16. Kim, S. H., Jun, E. Y., & Lee, W. H. (2006).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Korean Oncol Nurs, 6(2), 133-142. 

  17. Kim, Y. L. (2010). The complexity of body image in post-mastectomy women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1), 129-147. 

  18. Kang, H. W.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의상사회심리학), Kyounggido: KyoMoonSa. 

  19. Kwon, E. J. & Yi, M. S. (2012).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 in Korea. Asian Oncology Nursing, 12(4), 289-296. 

  20. Kown, G. D. (1999). A study on the body image(2)-Focusing on Body, self, and social realations(신체상에 관한 연구(2)-신체, 자아, 사회 관계를 중심으로-).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rach, 6(3), 109-123. 

  21. Kwon, K. S., Lee, G. S., & Han, Y. S. (1989). Study of clothing and it's construction for disable(지체 장애자의 의복연구 및 구성). Research of Home Economics, 5, 55-71. 

  22. Lee, K. M. (2000). A Study on Breast Shape for Middle Aged Women and Sizing Systems for the Mastectomy Brassiere and Prosthesis. Unpublished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Lee, K. M. & KBS 제작팀. KBS production team (2010). Breast Cancer(유방암) Seoul: KyoungHyang Media. 

  24. Lee, K. M. & Choi, H. S. (2001).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of mastectomy bras and breast prosthe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4), 697-706. 

  25. Lee, I. J., Lee, K. H., & Shin, H. J. (2001). Phychology of dress(의상심리), Kyounggido: KyoMoonSa. 

  26. Lee, Y. S. (2007). Psychosocial experience in postmastectomy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3), 99-124. 

  27. Miyoshi, M. (2001). Clothing Science Studies(복장 조형학), Tokyo: Bunka zoushi University. 

  28. Park, G. J. & Choi, J. S. (2008).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mast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8(2), 86-92. 

  29. Rlee, Y. J. & Lee, E., O.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clothing benefits sought by breast cancer survivo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5), 823-833. 

  30. Suzanne, M. M. (2003). Patient education for women being fitted for breast prosthes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7(2), 194-199. 

  31. Yoo, M. S. & Lee, S. Y. (2010).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ody image after breast cancer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1), 65-81. 

  32. Ymaguchi, M. & Tsutusui, H. (2001).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hanges of the breast's position in the fuction of the shoulder complex. The Shoulder Joint, 25(3), 475-4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