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과 제품 속성에 대한 사용자 반응
User Responses to the Formats and Product Properties of Contents Advertised on Facebook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1, 2016년, pp.111 - 126  

우수진 (공주대학교 영상학과) ,  김유진 (공주대학교 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페이스북 광고의 마케팅 가치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들은 브랜드 및 상품 홍보를 위해 성공적인 페이스북 광고제작 방안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변인 요인을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접목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 포맷(Text, Text in Image, Movie)과 광고 제품 속성(관여도, 이성/감성)이 사용자 반응(시지각 인지,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콘텐츠 포맷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의 시지각 인지 패턴과 구매 행동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광고 제품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행동 반응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 콘텐츠 제공자 혹은 개발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SNS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arketing value of Facebook advertisements increases, companies seek to create successful Facebook advertisements in order to promote their brands or product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Facebook advertising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eye movements and attention, and thereby to inv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의 콘텐츠 포맷과 광고 제품 속성이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통해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시선추적 실험 장비와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들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SNS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알고 싶은 정보들을 지인들의 SNS 게시물을 통해 찾아보고(Search),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는(Share) 행동을 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AISAS 모델을 기반으로 페이스북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을 측정하고자 한다.
  •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Facebook 광고 또한 제품군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광고 포맷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FCB그리드 모델에 근거하여 실험 제품을 선정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시지각 인지 및 광고에 의한 사용자 구매 행동 반응을 고찰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여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페이스북 팬페이지에 게시된 다양한 광고 콘텐츠의 유형들이 사용자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과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페이스북 광고 콘텐츠의 시지각 구성요소들의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네트워킹서비스란 무엇인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는 온라인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 간의 관계 맺기를 지원하고, 축적된 지인 관계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의 확산, 정보 공유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이다(Jung & Bae, 2007). 최근 이러한 SNS 채널의 다양화(예: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 사용자층이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FCB 그리드 모델에서 제품군을 나누는 두 가지 기준은 무엇인가? FCB 그리드 모델은 Table 2와 같이 두 가지 기준에 의해 제품군을 네 가지 공간으로 분류하여 각 공간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관여도(Involvement)는 소비자들이 구매결정을 내릴 때 느끼는 관련성과 중요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두 번째 기준으로는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 즉 광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식을 이성(Thinking)과 감성(Feeling)으로 나누는 두뇌이론(Brain theory)을 채택하였다.
AISAS 모델이 AIDMA 모델과 차별화된 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다양화로 소비자들이 더 이상 기업의 일방적인 광고 메시지에만 의존하지 않고, 직접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게 된다는 점을 반영하여, Akiyama(2004)는 전통적인 광고 효과 측정 이론인 AIDMA 모델을 기초로 AISAS 모델(Attention: 주목․집중, Interest 관심: Search: 검색, Action: 행동, Share: 공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AISAS 모델은 기존 모델의 구매과정이 Search(검색), Share(공유) 개념으로 변경하였으며, 매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특정 단계를 뛰어넘어 전개되는 경우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Seo,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kiyama, R. & Sugiyama, T. (2004). Holistic Communication (ホリスティックコミュニケ一ション), Tokyo: 宣傳會議. 

  2. Bae, J. A., Kim, Y. J., & Jeon, B. H. (2008). The Effect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n Lectures Using a Virtual Studio: With Analyses Focusing on the different lecture templates and materials(가상스튜디오를 활용한 강의의 정보전달 효과: 배경 템플릿과 강의보조자료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25(3), 41-84. 

  3. Bae, J. A. & Lee, H. J. (2013). Attention on the pop-up ads in TV show: Focused on techniques and elements of ad expression(TV 프로그램 내 팝업 광고에 대한 주목: 광고의 표현 기법 및 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4(7), 195-216. 

  4. DMC Media. (2011). Facebook Characteristic and Advertising, Retrieved September 11, 2015 from http://www.dmcreport.co.kr/content/ReportView.php?typeMarket&id1708&gid3. 

  5. Doo, J. H. & Kim, J. H. (2012). A Study on the Effects According to Facebook Advertising Formats-Persuasive Knowledge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페이스북 광고 유형에 따른 효과 연구-설득 지식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2), 300-330. 

  6. Emilee, R. & Rebecca, Gray. (2015). Understanding User Beliefs About Algorithmic Curation in the Facebook News Feed. CHI 2015, Crossings, Seoul, Korea, 173-182. 

  7. Facebook. (2015). Facebook Reports Third Quarter 2015 Results. Retrieved November 20, 2015 from http://newsroom.fb.com/news/2015/11/facebook-reports-third-quarter-2015-results. 

  8. Jeon, B. H., Bae, J. A., & Kim, Y. J. (2009). Students' Visual Perceptions of Virtual Lectures as Measured by Eye Tracking. The Proceeding of HCI 2009, 85-94. 

  9. Jung, Y. J. & Bae, K. J. (2007). Trend and Prospec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동향과 전망). Emerging Issue Report 2007, 1-58. 

  10. Kang, S. M. (2013). An Eye-tracking Study on the Ways of Visual Image Composition of CATV Homeshopping Programs(CATV 홈쇼핑 프로그램의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시선추적 연구).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7(6), 502-526. 

  11. Kim, J. H., Choi, N. R., & Kwon. S. W. (2010). How Consumers See TV Home shopping?-A Case Study of Eyetracking CJ O-shopping(소비자들은 TV 홈쇼핑을 어떻게 보는가-CJ 오쇼핑의 아이트래킹 사례연구).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2010 Spring Conference, 242-248. 

  12. Kim, T. Y. & Shin, D. H. (2014). User Experience(UX) of Facebook: Focusing on Users' Eye Movement Pattern and Advertising Contents(Facebook의 사용자 경험 연구: 사용자의 시선경로와 광고콘텐츠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7), 45-57. 

  13. Kim, Y. H. (2015). SNS(Social Network Service) An analysis of utilization development and behavior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 STAT REPROT, 15(3), 1-12. 

  14. Lee, E. S., Kim, Y. J., & Ahn, J. S. (2013). Effects of Brand Self-Disclosure and User Social Connectedness on Response to Facebook Brand Fan Pages(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브랜드의 자기노출정도와 이용자의 사회적 연결감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8), 60-71. 

  15. Lee, H. J. & Kim, Y. J. (2010). Analyses of users' responses and eye-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internet advertising purposes and forms(인터넷 광고 목적 및 유형에 따른 사용자 반응과 시선 패턴 분석).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4), 195-206. 

  16. Lee, J. H. (2008). Present Condition and Main Issue of Internet Advertising(인터넷광고의 현황과 주요 이슈). KISDI Publication, 20(14), 1-21. 

  17. Lee, J. H. & Lee, K. P. (2010).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Initial Stage of Emotion in Use Context(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1), 111-120. 

  18. Lee, T. W. (2012). Business and Product Example Analysis According to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기업 및 제품 마케팅 사례 분석).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4(1), 31-39. 

  19. Lee, U. C. & Park, K. R. (2008). A Study on Manipulating Method of 3D Game in HMD Environment by using Eye Tracking HMD(Head Mounted Display)에서 시선 추적을 통한 3차원 게임 조작 방법 연구).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45(2), 49-64. 

  20. Motahhare, E., Aimee, R., Kristen, V., Amirhossein, A., Andy, V., Karrie, K., Kevin, H., & Christian, S. (2015). "I always assumed that I wasn't really that close to [her]": Reasoning about Invisible Algorithms in News Feeds. CHI 2015, Crossings, Seoul, Korea, 153-162. 

  21. No, J. M. & Kim, Y. J.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et Services of Desktop and Mobile Platforms Using an Eye Tracking Technique: Cases of Korean Portal Sites(시선 추적 기법을 활용한 데스크 탑과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인터넷 서비스 비교 연구-국내 포털사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4), 217-229. 

  22. Paul, L., Apoorve, C., Sheelagh, C., & Saul, G. (2015). News Feed: What's in it for Me? CHI 2015, Crossings, Seoul, Korea, 163-172. 

  23. Seo, S. E. (2011). Online WOM Communication of Crossmedia Storytelling(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온라인 구전 양상).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 60-71. 

  24. Shim, H. M., Son, Y. J., Yoo, C. K., Jeon, J. S., & Lee, W. H. (2014). User Interface Evaluation Method For Mobile Contents Using Eye Tracking(아이 트래킹을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UI 평가 방법).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7(3), 219-225. 

  25. Shin, D. M., Park, J. H., & Jeon, Y. D. (2008). A Study on Utilization of Internet Banner Advertising Using Visual Amusement(시지각 유희를 이용한 인터넷 배너 광고의 활용도에 관한 연구). Autumn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solidated Symposium, 64-65. 

  26. Vaughn, R. (1980).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5), 27-33. 

  27. Vaughn, R. (1986).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Revisite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6(1), 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