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액정구조의 생성과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isturizing Effect and Preparation of Liquid Crystal Structures Using Sucrose Distearate Emulsifier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1, 2016년, pp.1 - 12  

곽명헌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한방화장품과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김인영 ((주)바이오뷰텍 기업부설연구소) ,  이환명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한방화장품과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박주훈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한방화장품과학과,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Sucro-DS)를 사용하여 친수형 O/W 에멀젼을 만들고, 이 에멀젼의 드로플렛(droplet)은 다중층의 구조를 가지는 액정생성에 관한 것이다. Sucro-DS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를 이용한 유화성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액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3wt%의 Sucro-DS, 5wt%의 글리세린, 5wt%의 수쿠알란, 5wt%의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3wt%의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wt%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78wt%의 정제수의 혼합계에서 안정한 다중층의 라멜라구조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응용하여 불안정한 활성물질을 봉입한 크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이 기술을 이용한 크림의 보습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인체 임상시험을 통한 피부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보고한다. Sucro-DS 를 사용하여 안정한 액정상을 생성하는 pH 범위는 5.2~7.5 에서 안정한 액정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액정의 안정성이 우수한 농도는 3wt%의 베헤닐알코올을 함유할 경우의 경도는 13kg/mm,min 이었다. 동일 함량의 점도는 25,000mPas/min 이었다. 유화제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Sucro-DS 의 농도는 5wt%가 적합하였고, 안정한 액정의 입경분포는 4~6mm 이었다. 이를 현미경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3 개월동안 액정변화의 안정성은 $4^{\circ}C$, $25^{\circ}C$, $45^{\circ}C$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시험으로, 바르기 전의 보습력은 $13.4{\pm}7%$ 이었다. 액정이 형성되지 않은 크림의 보습력은 $14.5{\pm}5%$로 바르기 전보다는 약 8.2% 보습력이 상승하였다. 반면, 액정크림의 경우 $19.2{\pm}7%$로, 도포 전보다는 43.3%보습력이 상승하였다. 응용분야로 Sucro-DS 유화제를 사용한 액정크림, 로션, 아이크림 등 다양한 제형개발이 가능하고, 화장품산업은 물론 의약품산업 및 제약산업에서 피부외용제의 유화기술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make the liquid crystalline structure using sucrose distearate (Sucro-DS) emulsifier to create the hydrophilic type oil-in-water (O/W) emulsion, the droplets of the emulsion having a structure of a multi-lamellar structure. We have studi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cr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세라마이드 소재나, 올리브오일의 에스테르형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계에서 안정한 액정이 이루어진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이들은 고온 하에서 그 안정성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좀 더 안정한 액정상을 만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Sucro-DS의 계면활성제를 증가시켜가면서 유화성능과 액정의 형성능력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 본 연구에서는 Sucro-DS를 사용하여 O/W 에멀젼을 만들고, 이 에멀젼 속에 다중층의 투명하고 작은 방울의 액정을 만드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여러 가지 불안정한 활성물질을 액정의 내부에 봉입한 크림을 만드는 방법과 임상적인 효능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Sucro-DS 를 사용하므로 구형의 액정상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pH 조건, 경도의 영향, 입자크기의 조건, 유화제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시도하였으며, 가장 우수한 처방조성에 대하여 액정의 형성여부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경도를 측정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여러 각도에서 액정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 계면활성인 Sucro-DS를 사용하여 안정한 액정형성에 대하여 구조적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안정한 액정을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액정 상의 크림의 보습력 임상평가에 대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ucro-DS를 사용하여 O/W 에멀젼을 만들고, 이 에멀젼 속에 다중층의 투명하고 작은 방울의 액정을 만드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여러 가지 불안정한 활성물질을 액정의 내부에 봉입한 크림을 만드는 방법과 임상적인 효능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계면활성제 Sucro-DS를 사용하여 안정한 액정상을 얻어내는 제조법으로 통상의 기술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피부에 안정하고, 자체성분만으로도 특별한 보습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하나의 드로플렛 주변에 2 중, 3 중 혹은 그 이상의 다중 라멜라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층의 라멜라 구조를 가지는 미셀은 Sucro-DS와 같이 하나의 친수그룹에 2개의 사슬이 알킬체인(alkyl chain)으로 연결된 계면활성제인 경우에서 나타나는 선택적인 현상을 본 연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구조는 연속 상에 친수기를 가지고 있고 분산상으로 오일 드로플렛의 주변에 다중라멜라구조가 빽빽이 패킹되어 있는 모양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Sucro-DS를 사용하였으며,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로 그리핀식(Griffin equation)에 따라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어진 Sucro-DS의 HLB값은 약 9~10정도의 범위로 안정한 친수성 유화상을 얻을 수 있다라고 가정하였다. 아울러 SucroDS의 임계패킹변수 (CPP: critical packing parameter)의 값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정이란? 액정이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라 할 수 있다[1]. 즉 고체나 결정과 같이 분자의 배열이 규칙적이지는 않지만, 액체보다는 비교적 규칙적인 상태를 액정 또는 메조페이스(meso-phase)라고 말하기도 한다[2~3]. 일각에서는 액정을 액체 혹은 고체도 아닌 제 3의 물질이라고도 말한다.
O/W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무엇을 사용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의 크림과 로션에 함유되는 지방 알코올은 점도 및 경도의 강화제로 잘 알려져 있다[1,3~5]. 이미 밝혀진 O/W (oil-in-water) 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써,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다는 보고가 있다[6]. 1977 년 일본의 Fukushima 등은 세틸/스테아릴알코올의 배합으로 3 차원의 입자구조를 형성시켜 액정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7].
Suzuki의 액정이론을 도입하여 응용한 화장품의 단점은? 친수성 에멀젼의 계면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위하여 1992년 일본의 Suzuki 는 에멀젼을 피부에 적당한 유분과 수분을 공급해 주는 방법으로 액정이론을 도입하여 화장품에 응용하였다[11]. 그러나 비평형계에서 안정성의 유지와 상의 점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들이 실행되고 있다 [11,12]. O/W 에멀젼에 관여하는 세탄올과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이 유화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과 동시에 계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유화계에서 여러 종류의 고급알코올류가 사용되고 있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rister Holmberg, Identification of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mesophases, Handbook of applied surface and colloid chemistry, 299-301 (2001). 

  2. N. Krog, Structures of emulsifier-water mesophases related to emulsion stability, 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77(7), 267-271 (1975). 

  3. K. Liu, D. Chen, A. Marcozzi, L. Zheng, J. Su, D. Pesce, W. Zajaczkowski, A. Kolbe,W. Pisula, K. Mullen, N. A. C., and A. Herrmann,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from biomacromolecules, PNAS, 111(52), 18596-18600 (2014). 

  4. Ben J. Boyd, Darryl V. Whittaker, Shui-Mei Khoo, Greg Davey,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phases formed from glycerate, surfactants as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09, 218-226 (2006). 

  5. E. Sepulveda, D. O. Kildsig, E. S. Ghaly,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phase volume and emulsion stability: the cetyl alcohol/stearyl alcohol system, 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8(3), 263-275 (2003). 

  6. Gillian Eccleston, Multiple-phase oil-inwater emulsions, J. Soc. Cosme Chem., 4(1), 1-22 (1990). 

  7. S. Fukushima, M. Yamaguchi, F. Harusawa, Effect of cetostearyl alcohol on stabilization of oil-in-water emulsion: II. Relation between crystal form of the alcohol and stability of the emulsio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59 (1), 159-165 (1977). 

  8. C. K. Zhoh, K. Y. Lee, D. N. Kim, The influences of fatty alcohol and fatty aci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03-110 (2009). 

  9. Y. Liu, G. H. Nancollas, Crystallization and colloidal stability of calcium phosphate phases, J. Phys. Chem. B, 101 (18), 3464-3468 (1997). 

  10. Keiki Kishikawa, Control of superstructures of liquid-crystalline molecules using lateral intermolecular interactions, TCIMAIL, 143, 1-11 (2009). 

  11. M. Pernetti, K. V. Mallssen, D. Kalnin, E. Floter, Structuring edible oil with lecithin and sorbitan tri-stearate, Food Hydrocolloids, 21, 855-861 (2007). 

  12. W. Zhang, L. Liu, Study on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emulsion in cosmetic, Journal of Cosmetics, Dermatological Sciences and Applications, 3, 139-144 (2013). 

  13. T. Suzuki, M. Nakamura, H. Sumida, and A. Shigeta, Liquid crystal make-up remover: conditions of formation and its cleansing mechanisms, J. Soc.Cosmet. Chem.,43, 21-36 (1992) 

  14. M. C. Kim, C.S. Lee, and H. K. Park, Emulsion stability of water/oil emulsified fuel by associated with emulsifiers,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5(3), 395-403 (2008). 

  15. I. Y. Kim, C. K. Zhoh, H. C. Ryu, Liquid crystalline technology of cosmetic indust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skin, J . Soc., Cosmet. Scientist Korea, 30(2), 279 (2004). 

  16. Abolfazl A., Rogaie R. S., Soodabeh D., S. W. Joo, Nosratollah Z., Younes H., Mohammad S., Mohammad K. and Kazem N. K, Liposome: classification,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Nanoscale Research Letters, 8, 102 (2013). 

  17. S. Higashi, M. Shimizu and T. Nakashima etc., Arterial-injection chemo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monodispersed poppy-seed oil microdroplets containing fine aqueous vesicles of epirubicin. Initial medical application of a membrane-emulsification technique, Cancer, 75(1) 1245-1254 (1995). 

  18. Y. Sekine, Y. Moritani, Y. Sasaki etc., A hybrid hydrogel biomaterial by nanogel engineering: bottom-up design with nanogel and liposome building blocks to develop a multidrug delivery system,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1(6), 722-728 (2012). 

  19. M. J. Lee, N. H. Jeong, B. S. Jang,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oybean lecithin liposome using supercritical 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7(4), 391-398 (2010). 

  20. H. Kunieda, M. Horii, M. Koyama, K. Sakamoto, Solubilization of polar oils in surfactant self-organized structure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36 (1), 78-84 (2001). 

  21. Tharwat F. Tadros, Colloid aspects of cosmetic formulation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olymeric surfactants, Colloids and Interface Science Series, 4, 1-34 (2008). 

  22. M. Y. Hyun, Y. H. Lee, W. J. Oh, K. H. Yoo, K. Y. Park, M. N. Kim, C. K. Hong, and B. J. Kim, Effects of topical moisturizers on the skin of healthy full-term infants and toddlers, J. Soc. Cosmet. Sci. Korea, 41(1), 63-71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