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화제 종류에 따른 nanoemulsion의 형성과 Ostwald ripen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Ostwald ripening stability of nanoemulsion with various emulsifier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3, 2015년, pp.536 - 545  

박은정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이의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홍순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emulsifiers on the formation of nanoemulsions and their stability properties. MCT (medium chain triglyceride) nanoemulsions were prepared (10 wt% oil, 10 wt% emulsifiers, 20 mM bis-tris, pH 7) with emulsifier such as Tween 20 (Polyoxyethylene(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MCT 나노에멀션의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일련의 비이온계 혹은 이온성 유화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에멀션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Ostwald ripening 안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여러 가지 유화제를 병용 하여 초기 지방구 입자 크기가 100 nm 이하의 나노에멀션을 제조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입자크기 변화 및 터비스캔에 의한 후방 산란 강도 변화(△backscaterring intensity, △BS)를 측정하여 Ostwald ripening 안정도에 대한 유화제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화제 종류에 따른 나노에멀션 형성 및 이의 유화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 였다. Tween 20(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laurate), Almax 3800((Sorbitan monooleate), 대두 레시틴, SSL(sodium stearoy lactylate) 등의 유화제를 이용하여 MCT (medium chain triglyceride) 나노에멀션을 제조 (기름 10 wt%, 유화제 10 wt%, 20 mM bis-tris, pH 7)하고 저장 기간에 따른 지방구 크기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Turbiscan을 이용하여 각 나노에멀션의 유화안정도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MCT 나노에멀션의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일련의 비이온계 혹은 이온성 유화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에멀션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Ostwald ripening 안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여러 가지 유화제를 병용 하여 초기 지방구 입자 크기가 100 nm 이하의 나노에멀션을 제조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입자크기 변화 및 터비스캔에 의한 후방 산란 강도 변화(△backscaterring intensity, △BS)를 측정하여 Ostwald ripening 안정도에 대한 유화제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CT란 무엇인가? Medium chain triglyceride (MCT)는 소화 과정 중 간문맥을 통하여 직접 인체 내에 흡수되어 간에서 산화ㆍ분해되는 건강한 기름으로[15] 식ㆍ의약품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비교적 낮은 점도, 저분자량 특성으로 인하여 나노 에멀션 형성에 적합한 기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MCT는 비교적 높은 수용해성을 나타내어 전술한 Ostwald ripening 현상에 매우 취약하므로 MCT 나노에멀션의 저장 안정성 증진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16].
에멀션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최근 나노과학(nano science) 및 기술(nano technology)에 대한 연구가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식품 에멀션 분야에서도 한층 중요한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멀션은 분산상인 지방구의 크기에 따라 매크로에멀션 (100 nm-100 μm), 나노에멀션(10-1000 nm), 마이크로에멀션(2-100 nm)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중 후자는 분산상이 유화제의 미셀형태로 존재 하여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1]. 상기 언급한 에멀션 중 나노에멀션은 매크로에멀션에 비해 지방구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장점이 있다.
나노에멀션의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상기 언급한 에멀션 중 나노에멀션은 매크로에멀션에 비해 지방구의 크기가 작아 다양한 장점이 있다. 첫째, 물리적 측면에서 중력의 영향 보다 브라운 운동이 지배적으로 작용하여 크리밍 (creaming), 합일(coalescence), 상전환(phase inversion) 등의 유화 불안정화 현상이 적게 발생 하며 O/W 유화시스템에서 안정성이 매우 우수 하다. 둘째, 체내(피부와 몸속)에서 흡수율을 높여주며 따라서 식품분야 뿐만 아니라 화장품, 의약 산업 등에서 다양하게 연구 되고 있다[2-4]. 특히, 식품 분야에서는 β-carotene, curcumin 등의 생리기능성물질을 나노에멀션에 포함시켜 생체 이용률을 높이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J. Mcclements, and J. Rao, Food-grade Nanoemulsions: formation, fabrication, properties, performance, biological fate, and potential toxicity, Crit. Rev. Food Sci., 51(4), 285(2011). 

  2. T. G. Mason, J. N. Wilking, K. Meleson, C. B. Chang, and S. M. Graves, Nanoemulsions: formation,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J. Phys-Condens Mat., 18(41), R635(2006). 

  3. C. Solans, P. Izquierdo, J. Nolla, N. Azemar, and M. J. Garcia-Celma, Nano-emulsions, Curr. Opin. Colloid In., 10(3-4), 102(2005). 

  4. D. J. McClements, Nanoemulsions versus Microemulsions: terminolog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Soft Matter, 8, 1719(2012). 

  5. K. Ahmed, Y. Li, D. J. McClements, and H. Xiao, Nanoemulsion- and emulsion-based delivery systems for curcumin: Encapsulation and release properties, Food Chem., 132(2), 799(2012). 

  6. N. Anton, J. Benoit, and P. Saulnier, Design and production of nanoparticles formulated from nano-emulsion templates-A review, J. Control Release, 128(3), 185(2008). 

  7. P. Izquierdo, J. Esquena, T. F. Tadros, C. Dederen, M. J. Garcia, N. Azemar, and C. Solans. Formation and stability of nano-emulsions prepared using the phase inversion temperature method. Langmuir. 18(1), 26(2002). 

  8. J. W. Tim, G. Matt, and S. Peerasak, Impact of oil type on nanoemulsion formation and Ostwald ripening stability. Langmuir, 24(22), 12758(2008). 

  9. Y. Li, S. L. Maux, H. Xiao, and D. J. McClements, Emulsion-based delivery systems for tributyrin, a potential colon cancer preventative agent. J. Agr. Food Chem., 57(19), 9243(2009). 

  10. S. S. Lim, M. Y. Baik, E. A. Decker, L. Henson, L. M. Popplewell, D. J. McClements, and S. J. Choi. Stabilization of orange oil-in-water emulsions: A new role for ester gum as an ostwald ripening inhibitor. Food Chem., 128(4), 1023(2011). 

  11. S. Mun, and D. J. McClements, Influence of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n ostwald ripening in hydrocarbon oil-in-water emulsions, Langmuir, 22(4), 1551(2006). 

  12. D. J. McClements a, "Food emulsions: principles, practices, and techniques", 2nd ed., p 333-335, CRC press, Florida, USA(2005). 

  13. X. Xin, H. Zhang, G. Xu, Y. Tan, J. Zhang, and X. Lv. Influence of CTAB and SDS on the properties of oil-in-water nano-emulsion with paraffin and span 20/Tween 20, Colloid Surface A., 418, 60(2013). 

  14. T. Aoyama, N. Nosaka, and M. Kasai, Research on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edium chain fatty acids, J. Med Invest., 54(3,4), 385(2007). 

  15. T. J. Wooster, H. F. Andrews, and P. Sanguansri, Nanoemulsions, U. S. Patent, 20100305218 (2010). 

  16. D. Allende, A. Cambiella, J. M. Benito, C. Pazos, and J. Coca, Destabilization enhanced centrifugation of metalworking oil-in-water emulsions: Effect of demulsifying agents, Chem. Eng. Technol., 317(7), 1007(2008). 

  17. J. Weiss, N. Herrmann, and D. J. McClements, Ostwald ripening of hydrocarbon emulsion droplets in surfactant solutions, Langmuir, 15(20), 6652(1999). 

  18. P. Taylor, Ostwald ripening in emulsions, Adv. Colloid Interfac., 75(2), 107(1998). 

  19. O. Mengual, G. Meunier, I Cayre, K. Puech, and P. Snabre, Turbiscan MA 2000: multiple light scattering measurement for concentrated emulsion and suspension instability analysis. Talanta. 50(2), 445(1999). 

  20. A. H. Saberi, Y. Fang, and D. J. McClements, Effect of glycerol on formation, stability, and properties of vitamin-E enriched nanoemulsions produced using spontaneous emulsification. J. Colloid Interf. Sci., 411(1), 105(2013). 

  21. L. Mao, D. Xu, J. Yang, F. Yuan, Y. Gao, and J. Zhao, Effects of small and large molecule emulsifi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ta}$ -carotene nanoemulsions prepared by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Food Technol. Biotechnol., 47(3), 336(2009). 

  22. D. J. McClements b, "Food emulsions: principles, practices, and techniques", 2nd ed., p 131-133, CRC press, Florida(2005). 

  23. S. Rebolleda, M. Teresa, J. M. Benito, S. Beltan, I. Escudero, and M. L. Gonzalez San-Jose, Formul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wheat bran oil-in-water nanoemulsions. Food Chem., 167. 16(2015). 

  24. M. M. Affandi, T. Julianto, and A. Majeed, Development and stability evaluation of astaxanthin nanoemulsion, Asian J. Pharm. Clin. Res., 4(1), 142(2011). 

  25. R. J. Whitehurst, "Food Emulsifiers in Food Technology", 1st ed. p 206-225, Blackwell publishing. Oxford(2004). 

  26. J. Weiss, C. Canceliere, and D. J. McClements, Mass transport phenomena in oil-in-water emulsions containing surfactant micelles: Ostwald ripening. Langmuir, 16(17), 6833(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