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W형 유화상에서 pH변화에 따른 액정구조의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Structure depend on pH Change in O/W Emulsio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3, 2017년, pp.545 - 554  

김지섭 (양영디지털고등학교 바이오화학과) ,  홍진호 (양영디지털고등학교 바이오화학과) ,  전미경 (양영디지털고등학교 바이오화학과) ,  김인영 ((주)바이오뷰텍 바이오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산화 한 액정형성 유화제에 대하여 선진사의 액정형성제를 사용하여 pH변화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것이다. 국산화한 액정유화제는 SugarCrystal-LC ((주)바이오뷰텍, 한국)를 사용하였고, 비교시료는 Nikkomulese-LC (니코캐미칼즈, 일본)와 Alacel-LC (Croda 캐미칼즈, 영국)를 사용하여 액정형성의 생성력을 실험하였다. 액정형성은 산성 (pH=4.2)에서, 중성 (pH=7.0) 그리고 알칼리성 (pH=11.7)에서 액정구조가 생성되는지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반 속도에 따른 액정의 형성 입자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교반 시간은 모두 동일하게 3분 동안 Homo-mixer로 교반하였고, 교반속도는 2500rpm, 3500 rpm, 4500rpm으로 증가시켜 액정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계면활성제가 2종의 외국산 보다 안정하고, 선명한 액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국산의 경우 유화입경이 분균일하여 불안정한 상태를 보였다. 일본산의 경우, 한국산과 유사한 구조와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 계면활성제는 외국산과 비교하여 우수한 유화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용분야로 국산화한 Sugar Crystal-LC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액정크림, 로션, 아이크림 등 다양한 제형개발이 가능하고, 화장품산업은 물론 의약품산업 및 제약산업에서 피부외용제의 유화기술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tability of liquid crystal forming emulsifier with localized depend on change of pH using liquid crystal forming agent of advanced company. The liquid crystal emulsifying agent was localized using Sugar Crystal-LC (bio-tech Co., Ltd., Korea), and comparative samp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산화한 Sugar Crystal-LC가 비교군의 선진사의 액정형성 유화제와 비교하여 액정형성구조를 관찰하고, 안정성을 관찰하여 어떤 차별화가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우선 각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O/W에멀젼을 만들고, 작은 드롭의 액정을 만들었다.
  • 우선 각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O/W에멀젼을 만들고, 작은 드롭의 액정을 만들었다. 액정의 성능평가로 pH변화에 따른 안정성, 호모의 속도 변화에 따른 액정입자가 어떻게 생성하는가에 대하여 편광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멀젼을 피부에 적당한 유분과 수분을 공급해 주는 방법으로 액정이론을 도입하여 화장품에 응용했을 때의 단점은 무엇인가? 친수성 에멀젼의 계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에멀젼을 피부에 적당한 유분과 수분을 공급해 주는 방법으로 액정이론을 도입하여 화장품에 응용하였다[14]. 그러나 비평형계에서 안정성의 유지와 상의 점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들이 실행되고 있다[15]. 액정기술은 일본에서 많은 이론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독일, 영국, 프랑스, 미국 등에서 고성능의 기술들이 보고되고 있다[16,17].
현미경관찰에서 액정의 유화입경이 쉽게 관찰된 범위는 무엇인가? 셋째; 호모속도의 변화에 따른 액정 형성능은 Sugar Crystal-LC = Nikkomulese-LC > Alracel-LC 순이었으며 2500rpm, 3500rpm, 4500rpm으로 증가할수록 그 입경이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액정의 유화입경은 3~10mm범위에서 현미경관찰이 쉬웠으며, 선명하고 안정한 입경범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정은 무엇인가? 액정이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상태라 한다[1~3]. 고체나 크리스탈(crystal)과 같이 분자의 배열이 일관성 있게 규칙적이지 안으며 액체보다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액정이라 한다[4~7]. 이것은 반고형(semi-solid)의 gel 형태로 산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R. Hwang, J. O. Nam, B. J. Lee, W. H. Song, and C. S. Lee, Recent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7, 207-214 (2012). 

  2. I. Y. Kim, C. K. Zhoh, H. C. Ryu, Liquid crystalline technology of cosmetic industry and moisturizing effect of skin, J . Soc., Cosmet. Scientist Korea, 30(2), 279 (2004). 

  3. Kim, In-Young, Choi Wha-Sook, Lee So-Ra, Choi Seong-Ho, Self Assembly and Formation of Bi-continuous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31(3), 478-485 (2014). 

  4. Wanping Zhang, Lingyan Liu, Study on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emulsion in cosmetic, Journal of cosmetics, dermatological sciences and applications, 3, 139-144 (2013). 

  5. S. A. Lavaselli, C. I. Pedemonte, J. I. Mazon, G. J. Lillini, R. C. Pasquali, B. Riquelme, Rheological behavior of liquid-crystalline emulsion of topic application with econazole nitrate, Series on Biomechanics, 27(3-4), 34-38 (2012). 

  6. Krister Holmberg, Identification of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mesophases, Handbook of applied surface and colloid chemistry, 299-301(2001). 

  7. M.J. Choi, Y.M. Lee, B. S. Jin, Study on the liquid crystal and stability in w/oemulsion systems using beeswax and Silicone surfactants, J. of Korean Oil Chemists', 21(4), 279-288 (2004). 

  8. Park, In Ae and An, In Sook, The study for the emulsifier and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 Korean Esthetics and Cosmetology, 5(22), 119-128 (2007). 

  9. M. Y. Hyun, Y. H. Lee, W. J. Oh, K. H. Yoo, K. Y. Park, M. N. Kim, C. K. Hong, and B. J. Kim, Effects of topical moisturizers on the skin of healthy full-term infants and toddlers, J. Soc. Cosmet. Sci. Korea, 41(1), 63-71 (2015). 

  10. N. Krog, Structures of emulsifier-water mesophases related to emulsion stability, 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77(7), 267-271 (1975). 

  11. Kim, Bun-Hee / Bae, Kun-Hye, Formation of Essencial oil-Liquid Crystal by Solubilization, Korean Esthetics and Cosmetology, 3(3), 133-141 (2005). 

  12. K. Liu, D. Chen, A. Marcozzi, L. Zheng, J. Su, D. Pesce, W. Zajaczkowski, A. Kolbe,W. Pisula, K. Mullen, N. A. C., and A. Herrmann, Thermotropic liquid crystals from biomacromolecules, PNAS, 111(52), 18596-18600 (2014). 

  13. Ben J. Boyd, Darryl V. Whittaker, Shui-Mei Khoo, Greg Davey,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phases formed from glycerate, surfactants as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09, 218-226 (2006). 

  14. E. Sepulveda, D. O. Kildsig, E. S. Ghaly,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phase volume and emulsion stability: the cetyl alcohol/stearyl alcohol system, 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8(3), 263-275 (2003). 

  15. M. J. Lee, N. H. Jeong, B. S. Jang,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oybean Lecithin Liposome using Supercritical 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7(4), 391-398 (2010). 

  16. C. K. Zhoh, K. Y. Lee, D. N. Kim, The influences of fatty alcohol and fatty aci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03-110 (2009). 

  17. W. Zhang, L. Liu, Study on the Formation and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emulsion in cosmetic, Journal of Cosmetics, Dermatological Sciences and Applications, 3, 139-144 (2013). 

  18. M. C. Kim, C .S. Lee, and H. K. Park, Emulsion stability of water/oil emulsified fuel by associated with emulsifiers,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5(3), 395-40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