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허약노인의 기능 상태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Functional Status and Bone Density of the Socially-Vulnerable and Frail Elderl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1, 2016년, pp.51 - 59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광옥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sease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and group exercise program for three months to the moderately frail elderly whose physical functions have deteriorated,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in order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허약의 주원인인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요법과 영양물질 제공, 그리고 질환교육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신체의 기능손상 및 경제적 손실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칼슘섭취군과 우유섭취군을 따로 중재군으로 둔 이유는 칼슘만이 아닌 우유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철분 등의 영양소가 칼슘제만 제공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허약노인의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며, 이를 토대로 허약노인 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일반화시키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약은 무엇인가?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화에 따른 신체적 기능저하 특히 근육 및 골격계의 변화는 노인에게 나타나는 가장 현저한 변화로 일상생활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일상생활 기능에 장애를 갖게 될 경우 전반적 건강수준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허약은 의학적, 기능적, 인지적, 신체적 기능 저하 상태로, 상해가 발생할 위험에 처해있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일종의 에너지상실증후군(loss of reserve syndrome)으로볼 수 있다[2]. 미국 노인학회가 권장하는 허약의 임상적 정의는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일어나는 체중감소, 근육위축 또는 쇠약, 걷는 속도가 느린 것, 탈진, 육체적 활동력의 감소 등 5개 항목 중 3항목의 증세가 있는 경우로 보고 있다[2].
근육세포의 특징은? 이들 증세는 근육세포 위축, 골밀도 저하, 심장박출량 감소 등의 생리현상에서 비롯된다. 근육세포는 형태와 기능이 특이하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일반세포보다 월등히 많다. 근육세포 위축으로 근형질 구조단백질의 감소와 미토 콘드리아 수가 감소하는 것을 근형질감소(sarcopenia)라고 하며 허약의 일차적 원인이다[3].
허약의 증세는? 미국 노인학회가 권장하는 허약의 임상적 정의는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일어나는 체중감소, 근육위축 또는 쇠약, 걷는 속도가 느린 것, 탈진, 육체적 활동력의 감소 등 5개 항목 중 3항목의 증세가 있는 경우로 보고 있다[2]. 이들 증세는 근육세포 위축, 골밀도 저하, 심장박출량 감소 등의 생리현상에서 비롯된다. 근육세포는 형태와 기능이 특이하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 수가 일반세포보다 월등히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art attempt to estimate future population 2013-2040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6 February 1] Available from: http://kosis.kr/ 

  2. Shin YH. Nursing intervention for frail elderl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6;10(1):25-30. 

  3. Rennie MJ, Wackerhage H, Spagenburg EE, Booth FW. Control of the size of the human muscle mass. Annual Review Physiology. 2004;66:799-828. 

  4. Gill TM, Baker DI, Gottschalk M, Peduzzi PN, Allore H, Van Ness PH.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functional decline: Effect on higher-level physical fun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7):1043-1049. 

  5. Mitniski AB, Graham JE, Mogilner AJ, Rockwood K. Frailty, fitness and late-life mortality in relation to chronological and biological age. BMC Geriatrics. 2002;2(1):1-8. http://dx.doi.org/10.1186/1471-2318-2-1 

  6. Jung KH, Oh YH, Lee YK, Son CK, Park BM, Lee SY, et al. Senior surve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Report No.: 2012-04. 

  7. Jung KH, Oh YH, Kim EN, Kim JH, Sun WD, Oh MA, et al. Senior surve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Report No.: 2014-61. 

  8. Yoo JS, Jeon MY, Kim CG.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falls in frail elders living at home in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613-625. 

  9. Cusimano MD, Kwok J, Spadafora K. Effectiveness of multifaceted fall-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Injury Prevention. 2008;14:113-122. http://dx.doi.org/10.1136/ip.2007.017533 

  10. Kwon MS.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unctions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2011;41(2):165-174. 

  11. Michel JP, Alfonso J, Cruz-Jentoft, Cederholm T. Frailty, exercise and nutrition.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015:31(3); 375-387. 

  12. De Boer IH, Tinker LF, Connelly S, Curb JD, Howard BV, Kestenbaum B, et al. Calcium plu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k of incident diabetes i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Diabetes Care. 2008;31(4):701-707. 

  13. Boonen S, Vanderschueren D, Haentjens P, Lips P. Calcium and vitamin 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 clinical update.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6; 259(6):539-552. 

  14. Lee IS, Ko Y, Lee KO, Yim ES.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frailty preventing multi-factorial program concentrated on local commucities for high-risk younger and olde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2):201-211. 

  15. Kwon SM, Park JS.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3;25(2):194-206. 

  16. Lee HY, Choi SM, Choi SH. The effects of Korean DASH diet education with Calcium/Vitamin D supplements on nutrient intakes, food consumption,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Korea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94-105. 

  17. Kim HS, Jung GH, Jang DM, Kim SH, Lee BK. Increased calcium intake through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elderly women living in asa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5;11(2):242-250. 

  18. Lee IS, Park YI, Park EO, Lee SH, Jeong IS.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classify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 22(3):302-314.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Report No.: 843. 

  20.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1. Yang DW. Production and computerization of dementia screening tool for Korean. Research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2. Cranney A, Horsley T, O'Donnell S, Weiler H, Puil L, Ooi D, e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vitamin D in relation to bone health.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2007;158:1-235. 

  23. Park MH, Ha JC, Shin IH, Kim HG, Lee SY, Cho JH, et al. 2008 survey for the elderly-national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s surve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d Keimyung University; 2009. Report No.: 11-1351000-000316-12. 

  24. Yirmiya R, Bab I. Major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low bone mineral density: A meta-analysis. Biological Psychiatry. 2009; 66(5):423-432. 

  25. Mun JH, Og JS, Park U. The effect of 12 week exercise program on muscle fitness, flexibility and balance in the fall down female elderly. Exercise Science. 2004;13(1):77-86. 

  26. Kim SM. A study of self exercise program for the health of aged. Sport Science in Donga University. 2006;24(1):31-45. 

  27. Min YK.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2008;15(2):99-108. 

  28. Shin HA, Om AS.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s of calcium and vitamin D and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Technology. 2009;27(2):17-23. 

  29. Hitz MF, Jensen JE, Eskildsen PC.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arkers in patients with a recent low-energy fracture: Effect of 1y of treatment with calcium and vitaminD.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6(1):251-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