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based Multiface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2, 2019년, pp.119 - 129  

박연희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오희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multiface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가소성 이론을 기틀로 하여 다학제 전문가의 협력을 바탕으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실험설계 연구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인지기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다면적 인지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신경의학의 신경가소성이론(neuroplasticity)에 의하면 인지훈련과 같은 환경적 자극이나 운동은 뇌기능을 활성화시 키고, 신경세포 생성(neurogenesis) 및 연접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을 증가시킨다[7]. 따라서 치매 발병이나 증상의 진전을 막기 위해서는 뇌세포 퇴행이나 손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뇌세포에 자극을 주고, 신경가소성을 증가시키는 예방관리적 중재가 필요하다.
경도인지장애란 무엇인가 0%인 70만 명에 이르며[1] 치매의 전 단계라 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를 보이는 노인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 된다. 경도인지장애란 동일 연령대에 비해 기억력 저하는 있으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나 전반적 인지기능은 정상 수준인 경우를 의미하며, 2013년 미국 정신의학 협회에서 합의된 DSM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5에서의 경증신경인지장애와 같은 개념이다[2]. 2017년 기준 국내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65세 이상 노인에서 약 22.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서 치매 발생률이 어떻게 다른가 5%로 전체 노인의 1/5이 넘는 분포를 보인다[1]. 인지기능이 정상인 65세 이상 노인에서 치매 발생률은 1~2%인데 반해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은 치매로 진전될 위험이 10~15%로 더 높아[3]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발병의 심각한 경고증상 이라 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대다수가 치매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이들을 위한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m HJ, Hwang SH, Kim YJ, Kim KW.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8. Research Report. Sungn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8 December. Report No.: NIDR-1802-0023. 

  2. Oh E, Lee AY.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16;34(3):167-175. https://doi.org/10.17340/jkna.2016.3.1 

  3. Petersen RC, Smith GE, Waring SC, Ivnik RJ, Tangalos EG, Kokmen E.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1999;56(3):303-308. https://doi.org/10.1001/archneur.56.3.303 

  4. Morgan DG. The dopamine and serotonin systems during aging in human and rodent brain. A brief review.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1987;11(2-3):153-157. https://doi.org/10.1016/0278-5846(87)90053-4 

  5. Dodge HH, Kadowaki T, Hayakawa T, Yamakawa M, Sekikawa A, Ueshima H. Cognitive impairment as a strong predictor of incident disability in specific ADL-IADL task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The Azuchi Study. The Gerontologist. 2005;45(2):222-230. Epub 2005/04/01. https://doi.org/10.1093/geront/45.2.222 

  6. Sadock BJ, Sadock VA. Delirium, dementia, amnestic and other cognitive disorders. In: Mitchell CW. Howes SE, Dougherty B, editors. Kaplan & Sadock's concise textbook of clinical psychiatry. 3rd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p. 52-60. 

  7. Demarin V, Morovic S. Neuroplasticity. Periodicum Biologorum. 2014;116(2):209-211. 

  8. Lin JS, O'Connor E, Rossom RC, Perdue LA, Eckstrom E. Screening for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3;159(9):601-612. https://doi.org/10.1002/gps.2086 

  9. Kurz A, Pohl C, Ramsenthaler M, Sorg C.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9;24(2):163-168. https://doi.org/10.1002/gps.2086 

  10. Kim CM, Park MS, Kim SH. Analysis of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studies for elders with dementia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129-141. 

  11. Han JW, Kim TH, Jhoo JH, Park JH, Kim JL, Ryu SH, et al.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its short form (SMMSE-DS)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10;14(1):27-37. 

  12. Kim MS. Development and effect of a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process of behavior change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University; 2014. 135 p. 

  13. Kim KA, Kim OS. The effects of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5;27(6):707-717. https://doi.org/10.7475/kjan.2015.27.6.707 

  14. Kim HJ, Park S, Kim JH, Chou EH, Oh JS, Lee O, et al. Effect of pilates-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lood marke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13;21(4):287-292. https://doi.org/G704-SER000001759.2010.14.1.008 

  15. Kim TW, Lee KW, Lee K, Kwak KP. Efficacy of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solitary elderlie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iatirc Psychiatry. 2017;21(2):99-105 

  16. Chu SK, Yoo JH, Lee JR.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7):1049-1060. https://doi.org/10.4040/jkan.2007.37.7.1049 

  17. Ham MJ, Park HW. Thinking addition (Intermediate). Daejeon: Daejeon Metropolitan Dementia Center; 2014. 214 p. 

  18. Ji HR. The effects of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ocial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73 p. 

  19. Ji EJ, Kim OS. Effect of the laughter therapy combined with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26(1):34-45. https://doi.org/10.7475/kjan.2014.26.1.34 

  20. Kim YK. The effect of group theraplay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day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1;12(5):1527-1544. 

  21. Kim HJ. The efficacy of the combined program of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08 p. 

  22. Chang YK, Nien YH, Chen AG, Yan J. Tai Ji Quan, the brain, and cogni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Sport and Health Science. 2014;3(1):36-42. https://doi.org/10.1016/j.jshs.2013.09.003 

  23.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198.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24. Kim TH, Jhoo JH, Park JH, Kim JL, Ryu SH, Moon SW, et al.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Psychiatry Investigation. 2010;7(2):102-108. https://doi.org/10.4306/pi.2010.7.2.102 

  25.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6.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7. Lawton MP, Brody EM.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1969;9(3):179-186.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28. Won CW, Rho YG, Sun WD, Lee Y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2002;6(4):273-280. 

  29. Seo KW, Song YS.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6;19(2):71-81. https://doi.org/10.7587/kjrehn.2016.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