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이 허약노인의 구강건조와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ubjective Xerostomia and Salivary pH i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n Frail Elderly Wom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1, 2016년, pp.72 - 80  

임선영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이금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진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bjective xerostomia and salivary pH i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n frail elderly women. Methods: The research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 2015 to September 30, 20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 프로그램이 구강건조와 타액 Ph에 정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구강건조와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 장애는 없지만, 신체적 능력, 인지, 건강 등의 영역에서 예비력이 감소되는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강건조증 및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 기존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웃음치료를 적용한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는 없었지만, 노인들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중재연구로 65세 이상의 노인들의 구강건조증과, 타액pH 수치의 상관연구로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웃음 치료는 다른 중재방법보다 특별한 준비가 필요 없고, 비용이 들지 않으며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활용 가능한 장점으로 간호 중재방안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고[17], 적절한 웃음을 통한 행동 및 심리치료로 지속적으로 행복한 감정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21],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는 대체요법이라 할 수 있다 [18]. 이에 본 연구는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과 객관적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허약노인의 구강건강상태를 통해 구강건강 문제를 미리 발견하여 관리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으로 구강건강 삶의 질 개선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구강건강문제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노인의 구강건강문제는 구강의 기능, 외모 등 신체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신체화 증상(somatic symptom) 등 사회 ․ 심리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6], 구강기능에도 퇴행을 가져와 타액 분비량 감소와 구내건조증 및 구취를 발생시킨다고 한다[7]. 이러한 노인의 타액 분비 감소, 구내건조증, 구취로 인해 발생 가능한 건강문제는 구강 점막이 갈라져 통증 유발, 외상으로 세균감염의 위험 증가, 치아우식증, 구강 칸디다증 (candidiasis), 잇몸궤양 등이 발생한다고 한다[8]고 보고하고 있어 특히 허약노인의 구강건강문제 발생률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타액 분비 감소로 유발되는 구강 내 타액 분비율은 구취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타액의 pH가 저하되면 구취를 유발시킬 수 있다고 보고 하였고[9], 타액의 분비량이 감소하게 되면 타액내의 미생물의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연하 운동이 감소되어 동시에 혀에 있는 미생물과 타액내 황 함유 물질 간의 접촉 시간이 길어져 구취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10].
허약노인이란 무엇인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 및 장애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 허약노인은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취약성을 가진 노인으로, 장애발생의 취약성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주요한 기능저하 또는 장애의 발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인으로 무엇보다도 수개월 또는 수년 이내에 급격한 기능저하 및 장애의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4]의 조사에 의하면 노인 집단별 성별에서 허약노인여성이 80.
건강 상태에 따라 노인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 및 장애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 허약노인은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취약성을 가진 노인으로, 장애발생의 취약성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주요한 기능저하 또는 장애의 발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인으로 무엇보다도 수개월 또는 수년 이내에 급격한 기능저하 및 장애의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4]의 조사에 의하면 노인 집단별 성별에서 허약노인여성이 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October 29]. Available from: http:// kosis.kr/ 

  2. Kim JY, Moon WS, Lee KS, Hwang TY. Effects of oral exercise on oral function and dent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Agriculture Medical Community Health. 2015;40(3):158-170. 

  3. Kim CO, Lee HY, Ho SH, Park HS, Park CW. Effects of visiting prehabilitation program against functional decline in the frail elderly: A prospective randomized community tria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4):1293-1309. 

  4. Sun WD, Lee SY, Kim DJ, Yoon JL, Kim CW, Nam HJ. Current situations of health care service system for older persons and its policy issues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cited 2014 December 31].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main.jsp 

  5. Noh EM, Baek JU.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social impact efficac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0;10(4):233-239. 

  6. Hebling E, Pereira AC.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ritical appraisal of assessment tools used in elderly people. Gerodontology. 2007;24(3):151-161. 

  7. Jang JH, Baik SH, Kim AJ, Jung SH, Kim OS, Kim SH. The effect of xerostomia on perceived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wearing dentur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Dental Health. 2006;30(4):438-446. 

  8. Kim JH, Park JH, Kwon JS, Ahn HJ.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Korean Journal Oral Medicine. 2011;36 (1):21-24. 

  9. Jee YJ, Kim JS, Lee JH, Jeon 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0;10(2):101-107. 

  10. Brunette DM. Introduction to the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reath odour research.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2002;52(Suppl 3):177-180. 

  11. Min BM. Oral biochemistry. Seoul: Daehan Narae Pub Co; 2007. 73 p. 

  12. Jeong SJ, Yoon MS, Im DS, Jeong MS. Dental caries risk can be predicted by simply measuring the pH and buffering capacity of saliva. Journal of Korean Society Hygiene Science. 2006;6 (3):159-162. 

  13. Kim YJ, Park, KM. Effects on salivation, xerostomia and halitosis in elders after oral function improvement exerci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898-906. 

  14. Cho EA, Kim KH. Correlation among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1):69-78. 

  15. Choi ES, Lyu J, Kim H-Y.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uroQoL-5 Dimens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5;15(4):480-487.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4.480 

  16. Kim JH, Park JH, Kwon JS, Ahn HJ.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Korean Journal Oral Medicine. 2011;36(1):21-24 

  17. Takeda M, Hashimoto R, Kudo T, Okochi M, Tagami S, Morihara T, et al. Laughter and humor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for dementia patient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0;10(1):28. http://dx.doi.org/10.1186/1472-6882-10-28 

  18. Ko YJ, Hyun MY.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359-36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4.359 

  19.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Case management for frail elderly [internet].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cited 2009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20. Sun WD, Lee SH, Park JS, Bae SS, Cho YH, Kim CB, et 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8;25(1):39-53. 

  21. Bennett M P, Lengacher C.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I. Complementary therapies and humor in a clinical populatio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06;3(2):187-190. 

  22.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97;41(4):863-875. 

  23. Redman RS. Development of the salivary glands. In: Sreebny LM, editor. The salivary system. Boca Raton, FL: CRC Press; 1987. p. 2-17. 

  24. Billings RJ, Proskin HM, Moss ME. Xerostomia and associated factors in a community-dwelling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1996;24(5):312-316. 

  25. Lee JY, Lee YO, Kho HS.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05;30:383-389. 

  2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7. Sun WD, Kim HR, GO SJ, Lee SY, Kim DJ, Kim CW. et al. The correspondent strategy development of healthcare services for older persons with a view to health status cycle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Cited 2015 August 25]. Available from: http://www.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13740 

  28. Jung YH, Ko S, Kim EJ.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December. Report No: 2013-31-19. 

  29. Kim MK, Jung HM, Park GJ. Subjective xerostomia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4;8(1): 87-102. 

  30. Kim MH, Kim KW, Lee KS.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4;14(4):488-494. http://dx.doi.org/10.17135/jdhs.2014.14.4.4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