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and Peer Interaction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2, 2016년, pp.41 - 55  

우수정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and peer interaction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e data of 953 49~55 month old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에 대해서는 에 제시하였다.
  •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흔하게 외부로 보여지기 시작하는 공격성과 주의집중의 어려움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외현화 문제행동의 감소 및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추후연구에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지만, 유아들의 문제행동 가운데 하나인 내재화 문제행동을 함께 다루어 봄으로써 전반적인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 정문자와 김문정(2004)의 연구에서도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의 양육행동 가운데 특히 외현화 문제행동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지는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변인으로 나뉘어져 이루어져 오던 연구들과 달리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외현화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부모를 비롯하여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영향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관련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예방에 도움을 주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 및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통해서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또래 상호작용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줄 것임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동안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온 연구들을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방안모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아울러, 주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이루어진 가운데 아버지의 경우에 있어서도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Youngblade & Belsky, 1992), 강나현(2009)의 연구결과를 보면 아버지가 유아에게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유아의 또래관계가 보다 긍정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부모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는데 대체적으로 어머니와 아버지를 함께 살펴보기 보다는 개별적으로 살펴 본 연구들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이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의 특징은? 이처럼 유아기에는 문제행동 가운데서도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부정적인 정서를 외부로 표출하는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Gilliom & Shaw, 2004),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은 이후 연령이 증가한다 해도 문제행동의 정도가 줄어들지 않을 뿐더러 지속적인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이 발현되는 유아기 초기의 조기 개입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남소현, 김영희, 2000). 이러한 외현화 문제행동은 이후의 사회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과도 연관되어지며(윤현수, 강지현, 오경자, 2011;Preddy & Fite, 2012; Tomblin, Zhang, Buckwalter & Catts, 2000),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도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Kupersmidt & Coie, 1990) 외현화 문제행동 예방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서 보다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서 온정성이 높을수록 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 유아의 문제행동은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아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함께 생활하는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서 온정성이 높을수록 유아는 외현화 문제행동을 덜 나타내었다(박혜미, 2010; Bulkley & Chao, 2003; Patrick, Snyder, Schrepferman, & Snyder, 2005;Rose-Krasnor, Rubin, Booth, & Coplan, 1996). 특히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던 유아일수록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에 따른 외현화 문제행동 감소의 정도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Denham, Workman, Cole, Weissbrod, Kendziora, & Zahn-Waxler, 2000).
또래관계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주로 놀이 상황에서 이루어지기에 이러한 놀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유아는 사회화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해 나가게 된다(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 & Sutton-Smith, 1998). 이 때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경우 또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또래관계가 원만할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Vandell & Hembree,1994)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듯이,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같은 부정적 결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강병재(2010)의 연구에서도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었으며, 놀이방해와 놀이단절과 같은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을 보이는 유아의 경우 문제행동을 더 나타내고 있었다(Fantuzzo & McWayne,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나현 (2009).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병재 (2010).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4), 93-110. 

  3. 강지현, 오경자 (2011).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1-21. 

  4.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수정, 곽금주 (2013). 3세부터 7세까지 어머니의 애정/온정적 양육태도의 변화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주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19. 

  6. 남소현, 김영희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오인과 아동의 외면적.내면적 적응: 성별중심. 생활과학연구논총, 3, 17-28. 

  7. 박주희, 이은해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8. 박혜미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남녀 유아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혜경, 박성연 (200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8), 87-98. 

  10.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 서울: (주)휴노컨설팅. 

  11. 윤현수, 강지현, 오경자 (2011).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안정성: 1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2), 617-627. 

  12. 양은호, 최혜순 (2013).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43-162. 

  13. 이순자, 유수옥 (201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변인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6), 127-157. 

  14. 이찬숙, 현은자 (2008).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변인과 부모 양육태도. 유아교육연구, 28(3), 51-70. 

  15. 장영애, 이영자 (2009). 취학 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19-629. 

  16. 장재숙, 백경임 (2002). 어머니 양육태도, 아동의 자아개념이 아동의 친구 및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8), 1-10. 

  17. 정문자, 김문정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 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5), 11-27. 

  18. 정미경 (200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20.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21.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and Families. 

  22.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23. Bulkley, J., & Chao, R. (2003). Adolescent perceptions of how parents should behave: Consequences for academic, behavioral, and emotional adjustment.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24. Denham, S. A., Workman, E., Cole, P. M., Weissbrod, C., Kendziora, K. T., & Zahn-Waxler, C. (2000). Prediction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rom early to middle childhood: The role of parental socialization and emotion ex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1), 23-45. 

  25. Eisenberg, N., Fabes, R. A., Shepard, S. A., Guthrie, I. K.,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2), 513-534. 

  2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27.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28. Fantuzzo, J., & McWayne, C.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play interactions in the family context and dimensions of school readiness for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1), 79-87. 

  29. Gilliom, M., & Shaw, D. S. (2004). Codevelopment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2), 313-333. 

  30.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31. Kupersmidt, J. B., & Coie, J. D. (1990). Preadolescent peer status,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s predictors of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1(5), 1350-1362. 

  32. Mize, J., & Pettit, G. S. (1997). Mothers' Social Coaching, Mother-Child Relationship Styl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the Medium the Message? Child Development, 68(2), 312-323. 

  33. Mize, J., & Pettit, G. S. (2010). The mother-child playgroup as socialisation context: a short term longitudinal study of mother-child-peer relationship dynamic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10), 1271-1284. 

  34. Parke, R. D. (2002). Fathers and families.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Being and becoming a parent (pp.27-73). Mahwah, NJ: Erlbaum. 

  35. Parke, R. D., & Buriel, R. (2008). Socialization in the family: Ethn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In W. Damon & R. M. Lerner (Eds.),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An advanced course. NJ: John Wiley & Sons. 

  36. Patterson, G. R., Dishion, T. J., & Yoerger, K. (2000). Adolescent growth in new forms of problem behavior: Macro-and micro-peer dynamics. Prevention Science, 1(1), 3-13. 

  37. Patrick, M. R., Snyder, J., Schrepferman, L. M., & Snyder, J. (2005). The joint contribution of early parental warmth, communication and tracking, and early child conduct problems on monitoring in lat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6(5), 999-1014. 

  38. Pleck, J. (2010). Paternal involvement: Revised conceptualization and theoretical linkages with child outcome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pp. 58-93). Hoboken, NJ: Wiley. 

  39. Preddy, T. M., & Fite, P. J. (2012). Differential associations betwee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4(2), 182-190. 

  40. Rose-Krasnor, L., Rubin, K. H., Booth, C. L., & Coplan, R. (1996). The relation of maternal directiveness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to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09-325. 

  41. Tomblin, J. B., Zhang, X., Buckwalter, P., & Catts, H. (2000). The association of reading disability, behavioral disorders, and language impairment among second-grade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4), 473-482. 

  42. Vandell, D. L., & Hembree, S. E. (1994). Peer social status and friendship: Independent contributors to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Merrill-Palmer Quarterly 40(4), 461-477. 

  43. Wood, J. J., Emmerson, N. A., & Cowan, P. A. (2004). Is early attachment security carried forward into relationships with preschool peer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2), 245-253. 

  44. Yuongblade, L. M., & Belsky, J. (1992). Parent-child antecedents of 5-year-olds’ close friendships: A longitudinal analysis. Developmantal Psychology, 28(4), 700-7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