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직업적성 및 책임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2, 2016년, pp.57 - 72  

채진영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59 teachers in ECEC were recruited from 19 daycare cent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김헤라(2014)는 보육교사의 적성의 하위요인과 과학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간의 부분적인 영향 관계를 보고하였으나 과학교수에 관한 효능감으로 국한지어 살펴보았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적성과 효능감의 영향관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부모를 대신하여 영유아의 일과 중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영유아의 발달 및 일상생활 습관 형성, 다양한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 하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은 질적인 보육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효능감의 차이여부와 직업적성과 책임감이 효능감을 예측하는 요인이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전에 실시된 연구와는 달리, 보육교사의 직업적성, 책임감 및 효능감에 대한 각 변인을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 이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질적인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적성과 책임감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앞서 언급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 결론을 도출하며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국내에서 최근에 보육교사 또는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효능감을 측정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과학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수정하여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 교수효능감으로 나누어 살펴보거나(권량희, 이진희, 2015;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 2013) 하위요인 구분 없이 단일요인으로 살펴보았다(김안나, 2014).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Emmer와 Hickman(1991)의 도구를 사용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의사결정에 관련된 학급운영능력에 대한 효능감과 교수행동을 의미하는 교수효능감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또 다른 각도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최근 실시된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측정한 결과, 연령, 경력, 학력 등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어, 연령이 높고, 근무경력이 오래되었고, 학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15). 이렇게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효능감의 차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므로 이를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 J 지역의 어린이집 1군데를 임의 선정하여 원장에게 연구에 관한 설명 및 협조 요청을 한 후 동의를 받아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 문항의 내용이 애매모호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이 있는지 물어본 결과,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기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할 기관을 임의로 선정하여 원장으로부터 연구에 대한 협조를 받아 총 19개의 기관에 우편을 통해 질문지를 발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효능감이란? 질 높은 보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이 되는 것 중 하나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일 것이다. 교사효능감이란 교사로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하고 교사 자신의 행동 및 학습자의 배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신념으로 간주되며(Klassen, Tze, Betts, & Gordon, 2011),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있어 결정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한석실, 임명희, 2003). 또한 학습자가 배움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동기부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적절한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도와 줄 수 있다는 교사의 확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Guskey & Passaro, 1994).
교사효능감을 훈육을 포함한 교사의 학급운영능력과 교수효능으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Emmer와 Hickman (1991)은 교사효능감을 훈육을 포함한 교사의 학급운영능력과 교수효능으로 나누어 살펴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전자는 좀 더 의사결정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교수 행동에 가까워서 개념적으로나 행동적인 면으로나 두 요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학습자의 배움과 성취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능력인 교사효능감을 전체적으로 ‘높다’ 또는 ‘낮다’라고 하는 것보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영유아기의 특징은? 생애 이른 시기부터 보육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가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는 보육기관에서의 질적인 보육 제공이 사회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영유아기는 짧은 기간에 비해 많은 발달이 일어나는 생애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 대신 영유아의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내는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발달에 있어 부모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Rudasill & Rimm-Kaufman, 2009)하므로 수준 높은 보육을 제공해야만 한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행동과 사고의 모델이 되며, 영유아는 그들의 주변 사람들과 적응하는 방법과 그들을 둘러싼 주변 환경, 나아가서는 세상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교사를 통해 습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량희, 이진희 (2015).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93-107. 

  2.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3.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5), 209-227. 

  4. 김안나 (2014). 유치원교사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사교육연구, 53(3), 447-459. 

  5. 김헤라 (2014).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43-58. 

  6. 김현지 (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경, 조복희 (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한국아동학회지, 33(5), 221-246. 

  8. 박수경 (2013). 보육교사 적성과 보육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배문조, 박세정 (2013).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485-494. 

  10.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보육통계. 

  11. 보건복지부 (2015). 보육교사의 보육 스트레스 조절 상담 프로그램 개발. 

  12. 이성희, 박영신 (200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31-50. 

  13. 이세나 (200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21. 

  14. 진규철 (1996). 학교의 사회적 조직과 교사효능감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4(1), 367-384. 

  15. 한석실, 임명희 (2003).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16.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 (2013).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4), 95-117. 

  17. Cronbach, L. J., & Snow, R. E. (1977). Aptitudes and instructional methods: Handbook for research of interactions.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18. Emmer, E. T. & Hickman, J. (1991).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and disciplin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1(3), 755-765. 

  19. Guskey, T. R. (1984). The influence of change i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up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2), 245-259. 

  20. Guskey, T. R. (1988). Teacher efficacy, self-concept, and attitud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nov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1), 63-69. 

  21. Guskey, T. R. & Passaro, P. D. (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627-643. 

  22. Halvorsen, A. L., Lee, V. E., & Andrade, F. H. (2009). A mixed-method study of teachers’ attitudes about teaching in urban and low-income schools. Urban Education, 44(2), 181-224. 

  23. Kaplan, R. M. & Saccuzzo, D. P. (2012).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Issues (8th Ed.), CA; Wadsworth Publishing. 

  24. Klassen, R. M., Tze, V. M. C., Betts, S. M., & Gordon, K. A. (2011).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3(1), 21-43. 

  25. Korkmaz, I. (2007). Teachers’ opinions about the responsibilities of parents, school, and teachers in enhancing student learning. Education, 127(3), 389-399. 

  26. Lauermann, F. & Karabenick, S. A. (2011). Taking teacher responsibility into account(ability): Explicating its multiple components and theoretical status. Educational Psychologist, 46(2), 122-140. 

  27. Lauermann, F., & Karabenick, S. A. (2013). The meaning and measure of teac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outcom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0, 13-26. 

  28. Lenk, H. (2007). Global technoscience and responsibility: Schemes applied to human values, technology,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Vol. 3). Berlin, Germany: Lit Verlag. 

  29. Rudasill, K. M., & Rimm-Kaufman, S. E.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2), 107-120. 

  30. Tschannen-Moran, M., Hoy, A. W.,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31. Winter, D. G. (1991). A motivational model of leadership: Predicting long-term management success from TAT measures of power motivation and responsibility. The Leadership Quarterly, 2(2), 67-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