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5, 2020년, pp.201 - 218  

최인숙 (원광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과) ,  채진영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6 teachers recruited from Seou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성인기의 친밀한 관계 경험인 성인애착과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본 국내의 선행연구(김은정, 권정혜, 1998; 원진희, 장문선, 2014; 이지연, 임성문, 2006; 제주현, 김영근, 2018)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살펴보고 있어 특정직군인 영유아교사의 친밀한 관계 경험과 우울과의 관계를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애착을 연인이나 배우자 등의 정서적으로 친밀한 대상과의 관계 경험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친밀관계경험을 불안과 회피라는 2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사회, 성격, 임상 심리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자기자비(Krieger, Altenstein, Baettig, Doerig, & Holtforth, 2013)가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 자기자비 및 우울 수준이 어떠한지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과 우울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영유아 교사의 불안정애착을 불안과 회피애착 2개 유형으로 구분한 친밀관계경험을 독립변인, 우울을 종속변인, 자기자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은? 우울은 한 개인의 전반적인 안녕과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이다(Cacioppo, Hughes, Waite, Hawkley, & Thisted, 2006). 우울은 일시적으로 슬프거나 침울한 기분을 기반으로 부정적인 생각과 신체상태와 행동을 수반하기도 한다(김철희, 2017).
아동기에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성인은 어떤 상태를 보이는가? 이때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관점을 발달시키고 자신이 형성한 대인관계에 대해서도 초기의 경험을 토대로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아동기에 안정적으로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성인은 친구나 연인 등 의미있는 타자와의 관계에서도 상대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경험하기 어렵고 불안이나 지나친 의존상태를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애착체계로 인해 쉽게 우울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교직은 자신의 감정을 직업 내에서의 규칙에 따라 관리해야하는데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하지만 교직은 자신의 감정을 직업 내에서의 규칙에 따라 관리하는 감정노동(Hochschild, 1983)으로 직무의 대상인 영유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자신의 감정과는 별개로 적절한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 이처럼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고 때로는 억눌러야 하는 상황은 교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한상근, 2016)에서 203개 직업에 종사하는 현직자 5,6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감정노동 수준을 5점을 만점으로 했을 때 유치원 교사가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doi:10.17315/kjhp.2008.13.4.012 

  2. 김병직, 오경자 (2013). 성인 애착 불안/회피 차원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한 정서 조절의 차별적 경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19-548. 

  3.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신실, 유금란 (2014).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27-45. doi:10.35151/kyci.2014.22.1.002 

  5. 김은영, 이지은 (2015). 대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345-358. doi:10.15703/kjc.16.3.201506.345 

  6. 김은정, 권정혜 (1998).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성인기 애착관계형성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7(1), 139-153. 

  7. 김철희 (201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4, 139-166. 

  8. 김현정, 손정락 (2006).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45-361. 

  9. 민하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10. 민하영 (2011). 유아보육 및 교육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쉽과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 교사 우울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2(5), 1-12. 

  11.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123-139. doi:10.15842/kjcp.2013.32.1.007 

  12. 성형모, 김정범, 박영남, 배대석, 이선희, 안현의 (2008). 한국어판 백 우울 설문지 2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4(2), 201-212. 

  13. 원진희, 장문선 (2014). 애착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사회지향성 및 자율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41-361. 

  14. 이수민, 양난미 (2016). 상담에서의 자기자비에 대한 개념정의와 개관. 상담학연구, 17(5), 85-108. doi:10.15703/kjc.17.5.201610.85 

  15. 이용주 (2015).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보수와 승진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231-150. 

  16. 이은지, 서영석 (2014). 불안전 성인애착 (애착불안, 애착회피) 과 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 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413-439. 

  17. 이지연, 임성문 (2006).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4), 969-984. 

  18. 임선영, 이은정, 정성원, 김희철, 정철호, 전태연 등 (2011). 한국판 벡 우울 척도 2판의 타당화 연구. 대한불안의학회지, 7(1), 48-53. 

  19. 제주현, 김영근 (2018). 성인애착유형과 우울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인지행동치료, 18(2), 139-157. doi:10.33703/cbtk.2018.18.2.139 

  20. 조숙영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이 영유아 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53-574. 

  21. 진현정, 이기학 (2009). Self-Compassion Scale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7(2), 1-20. doi:10.35151/kyci.2009.17.2.001 

  22. 최형성 (2016). 보육교사의 우울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71-90. 

  23. 한상근 (2016).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32, 5-27. 

  24. 홍길회, 정혜진 (201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63-280. 

  25.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244. doi:10.1037/0022-3514.61.2.226 

  26. Bernard, L. K., & Curry, J. F. (2011). Self-compassion: Conceptualizations, correlates, and interven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5(4), 289-303. doi:10.1037/a0025754 

  27. Beck, A. T., Steer, R. A., & Brown, G. K. (1996).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28.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29.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30.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31. Brown, G. W., & Harris, T. (1978).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A study of psychiatric disorder in women. London: Tavistock 

  32. Cacioppo, J. T., Hughes, M. E., Waite, L. J., Hawkley, L. C., & Thisted, R. A. (2006). Loneliness as a specific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Psychology and Aging, 21(1), 140-151. doi:10.1037/0882-7974.21.1.140 

  33. Coates, D., & Wortman, C. B. (1980). Depression maintenance and interpersonal control. In A. Baum & J. Singer (Eds.), Advanc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2 (pp. 149-182). Hillsdale, NJ: Erlbaum. 

  34. Coyne, J. C. (1976). Toward an interactional description of depression. Psychiatry, 39(1), 28-40. 

  35. Dagan, O., Facompre, C. R., & Bernard, K. (2018).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36, 274-290. doi:10.1016/j.jad.2018.04.091 

  36. Davidovitz, R., Mikulincer, M., Shaver, P. R., Izsak, R., & Popper, M. (2007). Leaders as attachment figures: Leaders' attachment orientations predict leadership-related mental representations and followers' performanc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4), 632-650. doi:10.1037/0022-3514.93.4.632 

  37. Fraley, R. C., & Shaver, P. R. (2000). Adult romantic attachment: Theoretical developments, emerging controversies, and unanswered ques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4(2), 132-154. doi:10.1037/1089-2680.4.2.132 

  38.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doi:10.1037/0022-3514.78.2.350 

  39. Hankin, B. L., Kassel, J. D., & Abela, J. R. (2005).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specificity of emotional distress symptoms: Prospective investigations of cognitive risk and interpersonal stress generation as mediating mechanism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1), 136-151. doi:10.1177/0146167204271324 

  40.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1.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 of California Press. 

  42. Jeon, L., Buettner, C. K., & Snyder, A. R. (2014). Pathways from teacher depression and child-care quality to chil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2(2), 225-235. doi:10.1037/a0035720 

  43. Joeng, J. R., Turner, S. L., Kim, E. Y., Choi, S. A., Lee, Y. J., & Kim, J. K. (2017). Insecure attachment and emotional distress: Fear of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as mediato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2, 6-11. doi:10.1016/j.paid.2017.02.048 

  44. Kim, Y. H., & Kim, Y. E. (2010).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multi-dimensional teacher self-efficacy and ECE center climate and depression severity in teachers as contributing fac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5), 1117-1123. doi:10.1016/j.tate.2009.06.009 

  45. Krieger, T., Altenstein, D., Baettig, I., Doerig, N., & Holtforth, M. G. (2013). Self-compassion in depression: Associa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rumination, and avoidance in depressed outpatients. Behavior Therapy, 44(3), 501-513. doi:10.1016/j.beth.2013.04.004 

  46. Maughan, A., Cicchetti, D., Toth, S. L., & Rogosch, F. A. (2007). Early-occurring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negativity in predicting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socioemotional difficult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5), 685-703. doi:10.1007/s10802-007-9129-0 

  47. Murray, D., Cox, J. L., Chapman, G., & Jones, P. (1995). Childbirth: Life event or start of a long-term difficult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6(5), 595-600. doi:10.1192/bjp.166.5.595 

  48.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doi:10.1080/15298860309032 

  49.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doi:10.1080/15298860309027 

  50. Neff, K. D. (2012). The science of self-compassion. In C. K. Germer & R. Siegel (Eds.), Compassion and wisdom in psychotherapy (pp. 79-92). New York: Guilford Press. 

  51.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doi:10.1016/j.jrp.2006.03.004 

  52.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3), 225-240. doi:10.1080/15298860902979307 

  53. Raque-Bogdan, T. L., Ericson, S. K., Jackson, J., Martin, H. M., & Bryan, N. A. (2011). Attachment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Self-compassion and mattering as medi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2), 272-278. doi:10.1037/a0023041 

  54. Rudolph, K. D., Hammen, C., Burge, D., Lindberg, N., Herzberg, D., & Daley, S. E. (2000). Toward an interpersonal life-stress model of depression: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stress gener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2), 215-234. doi:10.1017/s0954579400002066 

  55. Wei, M., Heppner, P. P., & Mallinckrodt, B. (2003). Perceived coping as a mediator between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4), 438-447. doi:10.1037/0022-0167.50.4.438 

  56. Wei, M., Liao, K. Y., Ku, T. Y., & Shaffer, P. A. (2011). Attachment, self-compassion, empath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Journal of Personality, 79(1), 192-220. doi:10.1111/j.1467-6494.2010.00677.x 

  57. Wei, M., Mallinckrodt, B., Larson, L. M.,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depressive symptoms, and validation from self versus othe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368-377. doi:10.1037/0022-0167.52.3.368 

  58. Yasar, H., & Demir, S. (2015).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s' depress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1(1), 1-8. doi:10.12973/ijem.1.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