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치료 과정 중인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우울 및 회복탄력성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Infertility treatment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1, 2016년, pp.93 - 104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남현아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  윤미선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infertile women during infertility treatment. Methods: As a descriptive study, we surveyed 129 infertile women in 1 fertility center from November 2014 to January 2015. Th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우울 및 회복탄력성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 정도가 난임 여성의 부정적 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임 부부에게 배란유도,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 등의 방법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게 하는가? 생식기술의 발달은 배란유도,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임신의 가능성을 높여 주어 난임 부부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그러나 임신에 성공하기까지 오랜 시간적 소모와 경제적 부담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임신이 확실히 보장되지 않음으로 인해 난임 대상자들은 개인적 관계적 측면에서의 불확실성과 불안을 경험하고 우울, 난임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Kim & Kim, 2010). 난임 여성들은 난임에 대한 의학적 검사 초기의 면담 시 비밀의 노출, 경제적 부담, 작업시간의 손실 및 규정된 성교 시간의 엄수, 진단에 앞서 성교에 임해야하는 요구 등의 치료기간 동안 겪는 어려움으로 인해 남편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 치료 과정 중 겪는 긴장감및 과민성, 치료 후 임신을 기다릴 때까지의 기대감 및 불안감, 치료를 실패했을 때의 좌절 등 다양한 형태의 비합리적인 사고와 다양한 감정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Lee, 2008).
난임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만혼과 늦은 출산 등이 난임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Min, Kim, & Cho, 2008)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재, 한국의 난임 여성은 15만 명에 달하고 있다. 난임의 원인은 배란장애 15%, 난관및 복강내 병변 30~40%, 남성측 요인 30~40%, 그외는 대부분 원인불명 요인으로 평가된다(Choi, 2010).
현재 한국의 난임 여성은 몇명정도 되는가?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만혼과 늦은 출산 등이 난임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Min, Kim, & Cho, 2008)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재, 한국의 난임 여성은 15만 명에 달하고 있다. 난임의 원인은 배란장애 15%, 난관및 복강내 병변 30~40%, 남성측 요인 30~40%, 그외는 대부분 원인불명 요인으로 평가된다(Choi,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nnett, S. M., Litz, B. T., & Maguen, S. (2005). The scope and impact of perinatal los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 180-187. 

  2. Brandes, M., van der Steen, J. O., Bokdam, S. B., Hamilton, C. J., de Bruin, J. P., Nelen, W.L. & Kremer, J. A. (2009). When and why do subfertile couples discontinue their fertility care? A longitudinal cohort study in a secondary care subfertility population. Human Reproduction, 24(31), 3127-3134. 

  3. Chachamovich, J., Chachamovich, E., Fleck, M. P., Cordova, F. P., Knauth, D., & Passos, E. (2009). Congruence of quality of life among infertile men and women: findings from a couple-based study. Human Reproduction, 24(9), 2151-2157. http://dx.doi.org/10.1093/humrep/dep177 

  4.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381-399. 

  5. Choi, Y. M. (2010). Current status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Korea.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3(12), 1052-1077. 

  6. Connor, K. M., & Davidson, J. R.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7. Cousineau, T. M. & Domar, A. D. (2007).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21, 293-308. 

  8. Davies, M. J., Moore, V. M., Willson, K. J., Van Essen, P., Priest, K., Scott, H., Mgmt, B., Haan, E. A., & Chan, A. (2012).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the risk of birth defec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6, 1803-1813. 

  9. Gameiro, S., Boivin, J., Peronace, L. A., & Verhaak, C. M. (2012). Why do patients discontinue fertility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of reasons and predictors of discontinuation in fertility treatment. Human Reproduction Update, 18, 652-669. 

  10. Hargreave, M. I., Jensen, A., Toender, A., Andersen, K. K., & Kjaer, S. K. (2013). Fertility treatment and childhood cancer risk: a systematic meta-analysis. Fertility & Sterility, 100(1), 150-161. 

  11. Herrmann, D., Scherg, H., Verres, R., von Hagens, C., Strowitzki, T., & Wischmann, T. (2011). Resilience in infertile couples act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infertility-specific distress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s, 28(11), 1111-1117. 

  12. Hwang, N. M. (2003). A study on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and coping strategies for infertility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13 

  13. Hwang, N. M. & Jang, I. S. (2015).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level of couple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6(3), 179-189. 

  14. Kim, J. H. (2011). Resilience. Seoul: Wisdomhouse. 

  15. Kim, J. H. & Shin, H. S. (2013).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312-320. 

  16. Kim, M. O. (2014).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2), 163-172. 

  17. Kim, M. O. & Kim, S. (2010). Development of an uncertainty scale for infertile wome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4), 370-380. 

  18. Lee, E. K. & Park, J. A. (2013). Ego-resilience and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293-303. 

  19. Lee, S. O. & Choi, Y. H. (2014). Influences of family environment risk factors and ego resilience on the early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484-494.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484 

  20. Lee, Y. J. (2008). An ethnography on infertile women's grief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1.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22. Min, S. W., Kim, Y. H., & Cho, Y. R. (2008).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1(3), 19-32. 

  23. Moon, S. Y. (2011). Study on resilience and the deviant behavior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4. Newton, C. R., Sherard, W., & Glavac, I. (1999).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measuring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Fertility and Sterility, 72(1), 54-62. 

  25. Park, J. M. (2000). The effect of the relaxing technique on the degree of stress of infertile women during in vitro proced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7.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New York: Broadway Books. 

  28. Sexton, M. B., Byrd, M. R., O’Donohue, W. T., & Jacobs, N. (2010). Web-based treatment for infertility-related psychological distress. Arch Womens Mental Health, 13, 347-358. 

  29. Valsangkar, S., Bodhare, T., Bele, S., & Sai, S. (2011).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ital, sexual satisfaction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an.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4(2), 80-85. http://dx.doi.org/10.4103/0974-1208.860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