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정제시 유무에 따른 노인과 성인의 음역대 비교
Vocal Range of Older Adults in Comparison with Young Adul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itch Cu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4, 2016년, pp.377 - 386  

홍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치료학과) ,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는 음정제시 유무에 따른 노인과 성인의 음역대를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광주시 소재의 노인복지회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85세 이하 노인 44명과 만 19세 이상 25세 이하 대학생 59명으로 총 103명이었다. 대상자는 먼저 음정을 듣지 않고 기본 발성 음도에서 점차 높은 음과 낮은 음을 발성하였고 이후 음정을 들으면서 동일하게 발성하도록 유도되었다. 연구결과, 음정제시 없이 발성 시 남성의 경우 노인이 성인에 비해 최저음의 음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 노인이 최고음과 최저음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정을 제시하는 조건에서 성인은 음정을 들을 때 최저음과 최고음이 더 확장되어 발성하였으나, 노인의 경우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제시된 음역대는 추후 노인 대상 노래부르기 활동 시 음역대 선택에 있어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ocal range between the older and young adults depending o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pitch cues. Participants were 44 older adults aged from 60 to 85 years and 59 college students aged from 19 to 25 years.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vocaliz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준 음정이 제시되지 않았을 때와 음정을 들으며 발성했을 때의 음역대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음역대 조사 방식의 제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정을 제시하지 않고 기본 발성 음도에 준하여 음역대를 조사하는 방식과 음정을 제시하여 음역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성인과 노인에게 동일한 과제를 제시하여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음정제시 없이 개인이 최저 및 최고음도를 발성 했을 때 성인과 노인 집단 간 연령과 성별에 따른 음역대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2: 음정제시 시 개인이 최저 및 최고음도를 발성했을 때 연령과 성별에 따른 성인과 노인 집단 간 음역대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로 인한 호흡과 발성 및 공명 기관의 기능 저하는 어떤 음성 변화를 가져오는가? 노화로 인한 호흡과 발성 및 공명 기관의 기능 저하는 숨참 증상(breathy), 음질 저하(weak vocal quality), 성대 기식현상(bowing of the vocal folds) 등의 음성 변화를 가져와 노인들이 말을 명료하게 전달하는 데 곤란을 겪게 한다[2]. 실제로 노인 대상 음성관련 삶의 질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을 평가한 연구에서는 노인의 22.
국내 연구에 따르면 노인이 편하게 느끼는 음역대는 무엇인가? 노인의 음역대를 연구한 국내 연구에 따르면 60대 이상 노인 76명을 대상으로 남녀 구분하지 않았을 때 노인이 편하게 느끼는 음역대가 G#3∼G#4로 보고되었다[16]. 반면에 국외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음역대가 구분 되어 조사되었으며 여성노인은 F3∼C5, 남성 노인이 G#2∼D4로 나타났다[17], 성별구분 없이 조사한 결과 A#3∼G4로 보고되기도 하였다[18].
음역대 조사를 위해 녹음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음역대 조사를 위해서는 녹음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26]. 음성을 녹음하는 과정에서 녹음실의 환경이나 기계의 상태가 녹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기도 하며, 녹음 직전에 어떤 과제를 제시하였는지가결과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음성을 녹음하기에 앞서 음도 상행 및 하행 운동 (pitch gliding)을 시켜 음성 산출을 촉진시키거나[26],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대상자들이 피로감을 느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통계청, 2014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30349&ord3 

  2. N. Roy, J. Stemple, R. M. Merrill, and L. Thomas,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Preliminary Findings," Laryngoscope, Vol. 117, pp. 628-633, 2007. 

  3. L. A. Ramig, S. Gray, K. Baker, K. Corbin-Lewis, E. Buder, E. Luschei, H. Coon, and M. Smith, "The Aging Voice: A Review, Treatment Data and Familial and Genetic Perspective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53, No. 5, pp. 252-265, 2001. 

  4. H. O. Costa and C. Matias, "Vocal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Female Subjects,"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Vol. 71, No. 2, pp. 172-178, 2005. 

  5. R. Turley and S. Cohen, "Impact of Voice and Swallowing Problems in the Elderly,"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Vol. 140, No. 1, pp. 33-36, 2009. 

  6. R. Baken, "The Aged Voice: A New Hypothesis," Journal of Voice, Vol. 19, No. 3, pp. 317-325, 2005. 

  7. P. Baltes and K. Mayer, The Berlin Aging Stu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8. 임애리, 김향희, 김수련, 유현지, "문헌분석을 통한 노화에 따른 음성의 특징과 삶의 질 변화," 재활복지, 제17권, 제1호, pp. 259-276, 2013. 

  9. S. Linville, "The Aging Voice," The ASHA leader, Vol. 9, pp. 12-21, 2004. 

  10. 우미령, 최홍식, 백승재, 남정모, 최예린, "정상 노년층의 호흡 및 발성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2권, 제4호, pp. 245-252, 2010. 

  11. 표화영, 신현섭, 송윤경, 윤영선, 이은경, 임성은, 하현령, 최홍식, "한국 성인의 정상 음성에 관한 기본 음성 측정치 연구," 음성과학, 제9권, 제2호, pp. 179-192, 2002. 

  12. H. Goy, D. N. Fernandes, M. K. Pichora-Fuller, and P. van Lieshout, "Normative Data for Younger and Older Adults," Journal of Voice, Vol. 27, No. 5, pp. 545-555, 2003. 

  13. I. Guimaraes and E. Abberton, "Fundamental Frequency in Speakers of Portuguese for Different Voice Samples," Journal of voice, Vol. 19, No. 4, pp. 592-606, 2005. 

  14. 전희숙, 김효정, 신명선, "장 노년기 성인의 유창성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 318-326, 2011. 

  15. N. Roy, J. Stemple, R. Merrill, and L. Thomas,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Preliminary Findings," The Laryngoscope, Vol. 117, pp. 628-633, 2007. 

  16. 임영란, 한국 노인의 가창성역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7. R. S. Moore, M. J. Staum, and M. Brotons, "Music Preferences of the Elderly: Repertoire, Vocal Ranges, Tempos, and Accompaniments for Singing,"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29, pp. 236-252, 1992. 

  18. M. A. Greenwald and R. S. Salzberg, "Vocal Range Assessment of Geriatric Cl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Vol. 16, pp. 172-179, 1979. 

  19. L. T. Kuhn, G. Wachhaus, R. S. Moore, and J. E. Pantle, "A Comparative Survey of Undergraduate Non-music Major Vocal Ranges with Textbook Song Rang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cal Rang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Music Education National Conference, Chicago, 1978(4). 

  20. P. Liu, Z. Chen, J. A. Jones, D. Huang, and H. Liu, "Auditory Feedback Control of Vocal Pitch During Sustained Vocalization: A Cross-Sectional Study of Adult Aging," PLoS ONE, Vol. 6, No. 7, pp. 1-8, 2011. 

  21. H. Liu, N. M. Russo, and C. R. Larson, "Age-Related Differences in Vocal Responses to Pitch Feedback Perturbations: A Preliminary Study,"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27, No. 2, pp. 1042-1046, 2010. 

  22. W. S. Brown, R. J. Morris, H. Hollien, and E. Howell,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Age and Professional Singing," Journal of Voice, Vol. 5, pp. 310-315, 1991. 

  23. M. B. Higgins and J. H. Saxman, "A Comparison of Selected Phonatory Behaviors of Healthy Aged and Young Adults," Journal of Speech Hearing Research, Vol. 35, pp. 1000-1010, 1991. 

  24. L. C. Teles-Magalhfies, M. I. Pegoraro-Krook, and R. Pegoraro, "Study of the Elderly Females' Voice by Phonetography," Journal of Voice, Vol. 14, No. 3, pp. 310-321, 2000. 

  25. L. Heylen, F. L. Wuyts, F. Mertens, M. de Bodt, and P. H. Van de Heyning, "Normative Voice Range Profiles of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Vol. 16, pp. 1-7, 2002. 

  26. E. Ma, J. Robertson, C. Radford, S. Vagne, R. El-Halabi, and E. Yiu, "Reliability of Speaking and Maximum Voice Range Measures in Screening for Dysphonia," Journal of Voice, Vol. 21, pp. 397-406, 2007. 

  27. R Speyer, G. H. Wieneke, I. van Wijck-Warnaar, and P. H. Dejonckere, "Effects of Voice Therapy on the Voice Range Profiles of Dysphonic Patients," Journal of Voice, Vol. 17, pp. 544-556, 2003. 

  28. P. Larrouy-Maestri and D. Morsomme, "Criteria and Tools for Objectively Analysing the Vocal Accuracy of a Popular Song,"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39, pp. 126-129, 2014. 

  29. P. Larrouy-Maestri, Y. Leveque, D. Schon, A. Giovanni, and D. Morsomme, "The Evaluation of Singing Voice Accuracy: A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Journal of Voice, Vol. 22, No. 2, pp. 1-5, 2013. 

  30. P. Gramming, J. Sundberg, S. Ternstrom, R. Leanderson, and W. H. Perkins,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Voice Pitch and Loudness," Journal of Voice, Vol. 2, pp. 118-126, 1988. 

  31. A. R. Reich, J. A. Mason, R. R. Frederickson, and R. S. Schlauch, "Factors Influencing Fundamental Frequency Range Estimates in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43, No. 3, pp. 429-238, 1989. 

  32. E. Lauri, P. Alku, E. Vilkman, E. Sala, and M. Sihvo, "Effects of prolonged oral reading on time-based glottal flow waveform parameters with special references to gender differences," Fol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49, No. 5, pp. 234-246, 1997. 

  33.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의 표준화 연구, 제1편: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28권, pp. 125-135, 1989. 

  34. M. Cannizzaro, B. Harel, N. Reilly, P. Chappell, and P. J. Snyder, "Voice Acoustical Measurement of the Severity of Major Depression," Brain and Cognition, Vol. 56, pp. 30-35, 2004. 

  35. C. Sobin and H. A. Sackeim, "Psychomotor symptoms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4, pp. 4-17, 1997. 

  36.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현, 윤도준, 정근재,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정상집단을 중심으로 ( I )," 신경정신의학, 제25권, 제23호, pp. 487-502, 1986. 

  37. 신민섭, 김중술, 박광배, "한국판 Beck 우울 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한국심리학회, 제12권, 제1호, pp. 71-81,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