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평생교육 학습자의 목표지향성, 교수실재감,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Teaching Presence, Approaches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Learners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6 no.2, 2016년, pp.137 - 144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정애경 (인천재능대학교 유아교육과) ,  최미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목표지향성, 교수실재감,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B, C 대학교 부설 원격평생교육원 학습자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첫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교수실재감은 심층학습접근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은 피상학습접근에 부적 영향을, 교수실재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층학습접근은 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피상학습접근은 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심층학습접근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여섯째, 피상학습접근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교수실재감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심층학습접근방식을 선택하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높여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oal orientation, teaching presence, approaches to lea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the web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5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cente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온라인 교육환경은 면대면 학습 환경에 비해 교수실재감이 낮기 때문에 이러닝 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보장과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교수·학습 상황에 대한 실재감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학습자의 심층적 몰입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Corbetta & Shulman, 2002)[9]. 따라서 교수실재감을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맥락 변인으로 선정하여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원격평생교육원 교육과정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Biggs가 제안한 3P 모형을 통해 학생요인으로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을, 교수맥락으로 교수실재감을 영향변인으로 보고, 해당변인과 학습접근방식과의 관계, 그리고 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증진시키는 기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ggs가 제안한 3P 모형을 통해 학생요인으로써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교수맥락으로써 교수실재감을 영향변인으로 보고, 해당변인과 학습접근방식과의 관계, 그리고 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의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기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초기구조모형에서 교수실재감→피상학습접근의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삭제해도 모형의 부합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임을 가정하고 이들 경로를 초기구조모형에서 삭제시켜 간명한 수정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격평생교육의 장점은? 원격통신교육에서부터 시작된 원격평생교육은 최신공학 기술의 발달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사이버대학이나 KOCW(Korea Open CourseWare) 등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원격평생교육은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교육과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도중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반복학습을 통해 보완할 수 있어 각광을 받고 있다. 2013년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이 49,053개(36.
Ames와 Archer(1988)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을 지닌 학습자는? Ames와 Archer(1988)[5]는 목표지향성을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 중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을 지닌 학습자는 새로운 지식습득을 통한 자아개발을 목적으로 학습과정에서자신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하며(Witkow & uligini, 2007)[6], 노력뿐만 아니라 학습의 내재적 가치를 중요시한다(Ames, 1992; Meece & Holt,1993)[5][7]. 본 연구 환경에서는 원격을 통해 학습과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면대면 학습과 달리 경쟁의식이 적고, 경쟁보다는 자기개발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을 학습접근방식을 예측하는 학생요인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Biggs(1993)가 제안한 학습과정 모형은? Biggs(1993)[2]는 학습과정을 사전단계(Presage), 학습과정단계(Process), 학습결과단계(Product)로 도식화한3P(Presage-Process-Product) 모형을 제안하였는데, 사전단계로 학생요인과 교수맥락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과정단계의 학습접근방식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결과단계에서는 학습접근방식이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Biggs, 200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2013. 

  2. J. Biggs, "From theory to practice: A cognitive systems approach.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12, no.1, pp. 73-85. 1993. 

  3. J. Biggs,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2nd ed.)". Berkshire. UK: Open University Press, 2003. 

  4. Ames, C. "Classrooms: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pp. 261-271, 1992. 

  5. Ames, C and Archer, J,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0, no. 3, p. 260, 1988. 

  6. Witkow, M. R and Fuligni, A. J, "Achievement goals and daily schoo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with Asian, Latino, and European American backgroun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9, no.3, p. 584. 2007. 

  7. Meece, J. L. and Holt, K, "A pattern analysis of students' achievement go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pp. 582-590, 1993. 

  8. Garrison, D. R and Cleveland-Innes, M, "Facilitating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learning: Interaction is not enough.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9, no.3, pp. 133-148. 2005. 

  9. Corbetta, M and Shulman, G. L. "Control of goal-directed and stimulus-driven attention in the brai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vol. 3, no. 3, pp. 201-215. 2002. 

  10. Marton, F and Saljo, R. "On Qualitative Differences in Learning: I-Outcome and process", British Journal of Edycational Psychology, vol. 46, no. 1, pp. 4-11. 1976. 

  11. Baeten, M., Kyndt, E., Struyven, K and Dochy, F. "Using student-centred learning environments to stimulate deep approaches to learning: Factors encouraging or discouraging their effectivenes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ol 5, no. 3, pp. 243-260, 2010. 

  12. Biggs, J. B,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and Studying. Research Monograph",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Ltd., Radford House, Frederick St., Hawthorn 3122, Australia. 1987. 

  13. Diseth, A and Kobbeltvedt, T, "A mediation analysis of achievement motives, goals,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0, no.4, 671-687, 2010. 

  14. Picciano, A. G, "Beyond student perceptions: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 6, no. 1, pp. 21-40, 2002. 

  15. Shea, P. J and Pickett, A. M and Pelz, W. E, "A follow-up investigation of 'teaching presence' in the SUNY Learning Network",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 2, pp. 61-80. 2003. 

  16. Richardson, J. C and Newby, T, "The role of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 20, no. 1, pp. 23-37, 2006. 

  17. Entwistle, N and Hanley, M. and Hounsell, D, "Identifying distinctive approaches to studying". Higher education, vol. 8, no. 4, pp. 365-380, 1979. 

  18. Lawless, C. J and Richardson, J. T, "Approaches to studying and perceptions of academic quality in distance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 44, no. 2, pp. 257-282, 2002. 

  19. Yang, Y. F and Tsai, C. C, "Conceptions of and approaches to learning through online peer assessment", Learning and Instruction, vol. 20, no. 1, pp. 72-83, 2010. 

  20. Elliot, A. J and McGregor, H. A, "A $2{\times}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0, no. 3, pp. 501-519, 2001. 

  21. Garrison, D. R., Cleveland-Innes, M and Fung, T, "Student Role Adjustment in Online Communities of Inquiry: Model and Instrument Validation",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eks, vol. 8, no. 2, pp. 61-74, 2004. 

  22. Biggs, J. B., Kember, D., and Leung, D. Y, "The revised two factor study process questionnaire: R.SPQ.2F",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1, no. 1, pp. 133-149, 2001. 

  23. R.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0. 

  24. S. Mo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Hakjis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