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전증 융합연구를 위한 MCS 녹아웃동물의 활용방안
Evaluation of MCS Knockout Animal for Epilepsy Mode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2, 2016년, pp.53 - 59  

황규석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김옥희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김철희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전증은 뇌신경세포의 과흥분으로 인한 발작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며, 최근 대단위 환자유전체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뇌전증 발병의 원인으로서 유전자적 요인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및 뇌전증 증상을 가지는 Miles-Carpenter syndrome (MCS)의 원인유전자에 대한 녹아웃동물을 활용하여 뇌전증 연구모델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는 억제성 GABA신경세포의 결손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움직이는 표현형을 나타내며, 이는 뇌전증 환자에서 보여지는 발작증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뇌전증 연구모델로 개발하기 위해, 기존에 알려진 뇌전증 치료제인 레티가빈을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에 처리하여 약효를 평가하였으며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MCS 녹아웃동물이 향후 뇌전증 기전연구를 위한 동물모델로서의 융합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pilepsy is a neurological disease characterized by recurrent seizures. Though the exact causes for epilepsy are unknown, genetic mutations, especially altered gene functions, have been implicated as key causative components of epilepsy. We recently identified a causing gene for the Miles-Carpen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전증의 원인에 관한 연구에서 억제성 GABA신경세포의 불균형과 뇌전증의 관계가 밀접하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5], 본 연구에서는 GABA신경세포 결손의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를 이용하여 뇌전증 모델동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한편, 뇌전증은 자폐증을 함께 동반하는 경우도 많으며,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자폐증 연구도 시작되고 있다.
  • 본 연구는 뇌전증의 분자기전에 관련한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를 활용하여, 뇌전증의 원인치료가 가능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을 확립하고자 한다. 먼저,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에서 기존에 알려진 뇌전증 치료제의 약효를 평가함으로써, 뇌전증 모델동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생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전증의 분자기전에 관련한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를 활용하여, 뇌전증의 원인치료가 가능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을 확립하고자 한다. 먼저,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에서 기존에 알려진 뇌전증 치료제의 약효를 평가함으로써, 뇌전증 모델동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생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약물 처리에 따른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의 행동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유 수영을 관찰하기 위해, 5일째의 wild-type (WT) 과 MCS 녹아웃 제브라피쉬를 배아 배지안의 슬라이드 글라스에 위치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전증이란 무엇인가? 뇌전증 혹은 간질 (epilepsy)은 만성적인 뇌신경 장애로, 2회 이상 되풀이되는 간질성 발작 (epileptic seizure)을 일으키는 증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전 연령에 걸쳐서 1,000명중 5~10명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1]. 발작은 뇌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신호 활동으로 인하여 신경계에 이상 흥분상태가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하며, 그 원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뇌전증 발병의 원인과 관련된 유전자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하지만, 최근 대단위 환자유전체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뇌전증 발병의 원인으로서 유전자적 요인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뇌전증 발병에 관련된 유전자는 뇌신경계의 이온채널 (ion channel), GABA (gamma-aminobutylric acid), GPCR (G proteincoupled receptor)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현재까지 뇌전증 치료제로 무엇이 사용되고 있는가? 현재까지 뇌전증 치료제는 항경련제, 마취제, 근육이완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원인치료가 아닌 대체요법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환자의 약 60%가 한 가지 치료제를 복용하고, 약 5~10%의 환자는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발작 증세를 완화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 Pandolfo, "Genetics of Epilepsy", Seminars in Neurology, Vol. 30, No. 5, pp. 506-518, 2011. 

  2. S. F. Berkovic, J. C. Mulley, I. E. Scheffer, and S. Petrou, "Human Epilepsies: Interaction of Genetic and Acquired Factors", Trends in Neurosciences, Vol. 29, No. 7, pp. 391-397. 2006. 

  3. S. Nadkarni and O. Devinsky, "Psychotropic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Epilepsy Currents, Vol. 5, pp. 176-181. 2005. 

  4. J. Y. Lee, W. S. Choi, S. H. Eun, B. L. Eun, Y. S. Hong, and J. W. Lee, "Use of Herbal Medicine in Epileptic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1, No. 4, pp. 451-419. 2008. 

  5. J. H. Miles and N. J. Carpenter, "Unique X-Linked Mental Retardation Syndrome with Fingertip Arches and Contractures Linked to Xq21. 31",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Vol. 38, No. 2-3, pp. 215-223. 1991. 

  6. M. May, K. S. Hwang, J. Miles, C. Williams, T. Niranjan, S. G. Kahler, P. Chiurazzi, K. Steindl, P. J. Van Der Spek, S. Swagemakers, J. Mueller, S. Stefl, E. Alexov, J. I. Ryu, J. H. Choi, H. T. Kim, P. Tarpey, G. Neri, L, Holloway, C. Skinner, R. E. Stevensson, R. I. Dorsky, T. Wang, C. E. Schwartz, and C. H. Kim, "ZC4H2, an XLID Gene, is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a Specific Subset of CNS Interneurons", Human Molecular Genetics, Vol. 24, No. 17, pp. 4848-4861. 2015. 

  7. M. Westerfield, "The Zebrafish Book: a Guide for the Laboratory of Zebrafish (Danio rerio)", University of Oregon Press. 2000. 

  8. C. Thisse and B. Thisse, "High-Resolution in situ Hybridization to Whole-Mount Zebrafish Embryos", Nature Protocol, Vol. 3, No. 1, pp. 59-69. 2008. 

  9. Y. Kimura, C. Satou, and S. Higashijima, "V2a and V2b Neurons are Generated by the Final Divisions of Pair-Producing Progenitors in the Zebrafish Spinal Cord", Development, Vol. 135, No. 18, pp. 3001-3005. 2008. 

  10. M. I. Coates., "Limb Evolution: Fish fins or tetrapod limbs - a simple twist of fate?", Current Biology, Vol. 5, pp. 844-848. 1995. 

  11. P. A. Forcelli, C. Sopera, A. Lekhkara, K. Galea, and A. Kondratyeva, "Anticonvulsant Effect of Retigabin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in Rats", Epilepsy Research, Vol. 101, pp. 135-140. 2012. 

  12. Ma, L. H., Gilland, E., Bass, A. H. & Baker, R. "Ancestry of motor innervation to pectoral fin and forelimb", Nature Communiction, Vo. 1, No. 49, pp. 1-8. 2010.. 

  13. Ma, L. H., Grove, C.L., Robert Baker, "Development of oculomotor circuitry independent of hox3 genes", Nature Communication, Vol. 5, No. 4221, pp. 1-12. 2013. 

  14. J. N, "Pathway-driven discovery of epilepsy genes", Nature Neurosciences, Vol. 18, No. 3, pp. 344-350. 2015. 

  15. M. Cunningham, J. H. Cho, A. Leung, G. Savvidis, S. Ahn, M. Moon, P. K. J. Lee, J. J. Han, N. Azimi, K. S. Kim, V. Y. Bolshakov, and S. Chung, "hPSC-Derived Maturing GABAergic Interneurons Ameliorate Seizure and Abnormal Behavior in Eplieptic Mice", Cell Stem Cell, Vol. 15, pp. 559-573. 2014. 

  16. Young-Lim Lee, "Limitations of neurobiological approach convergent to neuropsychiatry: DCD and two visual systems theo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 225-234, 2015. 

  17. Jong-Uk Kim, Sang-Cheol Park, Dae-Yong Je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179-185, 2015. 

  18. Sang-Min Jun, "The Complex Effects of the Purposes of Using Mobile Phones o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471-482, 2015. 

  19. Kyung-A Jung, Bong-Whan Kim, "The Differences of the Ego-Resilience and Disagreement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99-308, 2015. 

  20. Gui-Jung Kim, Jung-Soo Han,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Brain Computer Interface(BCI) Games using Brain Wav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 177-184, 2015. 

  21. Min-Kyeong Kim,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ress, Depression, Family Resilienc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7, pp. 205-210, 2016. 

  22. Kyoung-Mi Yang,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7, pp. 113-12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