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분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MBSR Program on Stress, Stress Coping Style, Depression, Anger and Sleep of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2, 2016년, pp.194 - 206  

박정민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최인령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Korean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K-MBSR)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and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on stress, stress coping style, depression, anger and sleep. Methods: Fifty-two women aged from 40 to 59 (26 in the experi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국내에서는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뇌파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본 선행논문이 없어 그 효과를 비교하기는 힘드나, 27명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명상의 일종인 뇌호흡 수련을 한 Shim과 Kim [26]의 연구에서도 실험군의 안정파인 α값 증가와 스트레스파인 β값의 감소가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여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로서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생리적으로도 검증되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중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한국인의 정서에 맞춘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Korean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K-MBSR) 프로그램은 대부분 질환 중심의 연구들이었고[14-16], 신체적·정신적으로 질병예방차원에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K-MBSR 프로그램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효과를 생리적 지표인 뇌파를 이용하여 검증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분노,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pre-post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Leventhal과 Cameron [17]의 자기조절 모델(self regulatory model)을 근거로 하여 중년여성들을 위한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스트레스, 우울,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노,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분노, 수면을 중재하는 간호방법으로서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심리적인 측정법과 생리적인 측정법이 있으며, 타당한 연구 결과 측정을 위해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측정도구 외에 객관적, 비침습적으로 평가 가능한 뇌파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우울, 분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뇌파상 A2값이 감소할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뇌파상 상대 α값(Relative α value)이 증가할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뇌파상 상대 고-β값(Relative high-β value)이 감소할 것이다.
  •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분노표현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상태특성분노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극적 대처가 감소할 것이다.
  •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우울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5.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이란 무엇인가? 우울증은 기분저하와 함께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하여 부정적·비관적 생각을 하는 정신장애로 우울성향 비율이 39%로 나타나는 중년여성의 심각한 우울문제는[3] 일상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취약성이높고, 역할 상실에 다른 자존감의 저하, 자식들이 품에서 떠나버려유발되는 빈둥지 증후군에서 느끼는 자신의 무가치함과 자기비하에서 오는 절망감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4].
중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년기는 인생의 발달 주기에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가장 많은 변화들을 경험하게 되는 위기의 시기로 신체적 노화로 인한 폐경을 맞으면서 정신운동기능, 감각, 생식능력, 성에 대한 정체감, 외모, 가족의 조직변화로 일어나는 빈둥지 증후군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난다. 또한 자기 자신이나 가족들에 대한 신뢰감을잃어버리는 정체감의 위기, 결혼 불만족으로 인한 절망감, 분노 등의 심리적 갈등을 겪게 된다[1].
중년 여성들의 스트레스 관련 건강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년여성의 다른 건강문제는 수면과 관련되어 있는데, 건강한 중년여성일지라도 폐경으로 인해 나타나는 갱년기 증상인 신경 내분비계, 자율신경과 면역체계의 변화를 성공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심리반응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요인들로 수면에 장애가올 수 있으며 그 중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이 정신적 요인들에 해당한다[8]. 그러므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는 중년여성들의 심리상태가 수면에 장애를 유발하는 정신적 요인이 될 수 있어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분노, 수면 등 스트레스 관련 건강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wang YS. Application of sandplay therapy in a case of a middleaged woman of depressive tendency.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2007;10(4):81-95. 

  2. Song YS. Path model analysis of stress, coping method, quality of life and spiritual maturity of middle age Christian women [dissertation]. Cheonan: Baekseok University; 2009. 

  3. Byeon WJ, Kim CK. A study on the relevant variables of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6;44(7):125-139. 

  4. Brown JD, Mankowski TA. Self-esteem, mood, and self-evaluation: Changes in mood and the way you see you.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3;64(3):421-430. 

  5. Lee Y.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middle-aged women's ang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7;16(4):411-419. 

  6. Lee PS. Correlational study among anger,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6):856-864. 

  7. Thomas SP, Atakan S.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stress, and health status of American and Turkish midlife wome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3;14(2):129-143. http://dx.doi.org/10.1080/07399339309516035 

  8. Oh JJ, Song MS, Kim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563-572. 

  9. Folkman S, Lazarus R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5;48(1):150-170. 

  10. Kang G, Oh S.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tress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2): 161-170. http://dx.doi.org/10.4040/jkan.2012.42.2.161 

  11. Park K, Jun JS, Jung SY. The effects of Korean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symptoms,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breast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3;21(3):249-262. 

  12.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2nd ed. Chang HK, Kim KH, Jang JY, translator. Seoul: Hakjisa Corp.; 2005. 

  13. Lee WK, Bang HJ.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adult women, mindfulness,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08;21(4):127-146. 

  14. Bae JH. Effects of K-MBSR program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on emotional response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0;10(11):198-208. http://dx.doi.org/10.5392/JKCA.2010.10.11.198 

  15. Yoon BS. Effect of K-MBSR on attention: CAMS-R, ANT, and sLORET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2):521-540. 

  16. Choo KS, Song HJ. Effects of K-MBSR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ping: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Psychotherapy. 2009;9(1):113-128. 

  17. Leventhal H, Cameron L. Behavioral theories and the problem of complianc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1987;10(2):117-138. http://dx.doi.org/10.1016/0738-3991(87)90093-0 

  18.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4):707-719. 

  19. Peniston EG, Marriman DA, Deming WA, Kulkosky PG. EEG alpha- theta brain wave synchronization in Vietnam theater veterans with combat relat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cohol abuse. Medical Advances in Medical Psychotherapy. 1993;6:37-50. 

  20. Kim JH, Lee CH. The relationships of configuration factors and depression of stress coping style. The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1985;7(1):127-138. 

  21.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2. Henriques JB, Davidson RJ. Left frontal hypoactivation in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1;100(4):535-545. 

  23. Chon KK, Hahn DW, Lee CH, Spielberger CD.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2(1):60-78. 

  24. Chang HK, Kim JM, Bae JH.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4):833-850. 

  25. Dykens EM, Fisher MH, Taylor JL, Lambert W, Miodrag N. Reducing di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nd other disabilities: A randomized trial. Pediatrics. 2014;134(2):e454-e463. http://dx.doi.org/10.1542/peds.2013-3164. 

  26. Shim JY, Kim YH. Effects of brain respiration training on electroencephalogram and depressive state in old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06;17(4):117-133. 

  27. You SY.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symptoms of hwa-byu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0. 

  28. Cincotta AL, Gehrman P, Gooneratne NS, Baime MJ. The effects of a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me on pre-sleep cognitive arousal and insomnia symptoms: A pilot study. Stress and Health. 2011;27(3):e299-e305. http://dx.doi.org/10.1002/smi.1370 

  29. Winbush NY, Gross CR, Kreitzer MJ.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sleep disturbance: A systematic review. Explore (New York, NY). 2007;3(6):585-591. http://dx.doi.org/10.1016/j.explore.2007.08.003 

  30. Lee KH, Park KM, Ryu MK. The effect of aromatherapy with lavender essential oil on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on o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2;6(1):2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