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2, 2015년, pp.193 - 202  

한미영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민숙 (창원 삼성병원) ,  배주영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김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Methods: Participants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ere 208 nurses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s in Busan and Masan.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공감만족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았고 공감피로가 높을수록 소진은 높 았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임상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공감만족, 공감피로와 통제 변수 중 근무부서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61%였다.
  • 하지만 포괄적 소진예방과 중재를 위해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심리적 요인과 외부적 환경적 요인을 함께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공감 피로, 공감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소진의 예방과 중재의 근거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신체가 불건강한 간호사가 온전한 간호를 제공하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소진은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될 때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후군으로 소진된 간호사는 탈진, 좌절, 우울, 환자에 대한 냉담함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1,2]. 또한 임상간호사는 업무특성상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 소진에 민감한 직업이며, 간호사의 소진은 높은 이직률과 간호의 질저하로 이어지므로[3] 지속적 관리가 요구된다.
간호사의 소진에 지속적 관리가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진은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될 때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후군으로 소진된 간호사는 탈진, 좌절, 우울, 환자에 대한 냉담함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1,2]. 또한 임상간호사는 업무특성상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 소진에 민감한 직업이며, 간호사의 소진은 높은 이직률과 간호의 질저하로 이어지므로[3] 지속적 관리가 요구된다.
간호근무환경측정을 위한 K-PES-NWI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간호근무환경은 장소의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개인이 지각하는 물리적 환경, 동료 간 상호작용, 병원의 정책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5], 본 연구에서는 Lake가 개발한 간호근무환경측정도구(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5]를 Cho, Choi, Kim, Yoo와 Lee[15]가 국내의 간호상황에 맞게 수정한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K-PES-NWI)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병원 운영에 간호사 참여’ 9문항,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9문항,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의 지지’ 4문항,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4문항,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 3문항으로 5개 하부영역 29문항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Cho 등[15]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iter MP, Maslach C. Nurse turnover: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331-339.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04.x 

  2.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Internet]. 2010 [cited 2013 November 15]. Available from: ProQOL.org 

  3. June KJ, Byun SW.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Society. 2009;15(3):305-313. 

  4. Park YM, Yoon HM. Influences of role conflict, workloa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elf-efficacy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1;36:289-322. 

  5. Klopper HC, Coetzee SK, Pretorius R, Bester P.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ritical care nurses in South Afric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 685-69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350.x 

  6.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 25(3):176-188. 

  7. Bogaert PV, Clarke S, Roelant E, Meulemans H, Heyning PV. Impacts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burnout on nurse-reported outcomes: A multi-level modelling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1664-167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9.3128.x 

  8. Liu K, You LM, Chen SX, Hao Y, Zhu XW, Zhang LF,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work environment and nurse outcomes in Guangdong, China: A nurse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1476-148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991.x 

  9. Kim HJ, Yom Y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S-C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259-269.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59 

  10. Coetzee SK, Klopper HC.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0;12:235-24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0.00562.x 

  11. Sung KW, Jo KH. Perceived hurts and forgiveness in clinical nurses-the status and influencing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28-436. 

  12. Burston PL, Stichler J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8):1819-1831. 

  13. Charlescraft AS, Tartaglia A, Dodd-McCue D, Baker S. When caring hurts: A pilot study supporting compassion-fatigued pediatric critical care nurses. Chaplaincy Today. 2010;26(2): 16-25. 

  14. Lee JM, Yom YH.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3;19(5):689-697.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89 

  15. Cho EH, Choi MN,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16. Kim HJ.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11 

  17. Ko JW, Seo YJ. Work reward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Korea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2;12(13):77-98. 

  18.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9. 

  19.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4):414-42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20. Kim S, Kim JH, Park JY, Suh EY, Yang HJ, Lee SY, et al.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145-155. 

  21. Kim HJ, Choi HJ.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3):320-328. 

  22. Yom, YH, Kim, HJ.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the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870-87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70 

  23. Potter P, Deshields T, Divanbeigi J, Berger J, Gipriano D, Norris L, et al.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Prevalence among oncology nurs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0;14(5):56-62. 

  24. Kim KS, Han YH.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 (2):121-129.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2.121 

  25. Hong HJ, Sung MH.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staff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Focusing on 119 rescuers in Busan and Gyeongn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164-173. http://dx.doi.org/kjohn.2012.21.2.164 

  26.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69-8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69 

  27. Jun YJ, Sung MH. Effects of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self-esteem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ED). Kore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2):80-88.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2.80 

  28. Ko YK. Relationship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o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2):207-2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