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level,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on life satisfaction: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4, 2016년, pp.89 - 100  

김대명 (광양보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 사회적지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희망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희망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은 중간 정도이며, 읽기는 높은 반면에 듣기와 말하기는 낮게 나타났다. 희망의 매개 역할을 통계적으로 검증해본 결과, 희망은 한국어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희망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의 희망에 언어교육뿐만이 아니라 그들에게 가족과 이웃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주노동자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공동체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이와 함께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on hop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influ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이 경험하는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희망 및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는 이주노동자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모형검증 결과는 선행연구들을 경험적으로 지지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주노동자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선행조건으로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를 높여주고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도록 공동체 환경을 만들도록 하고, 희망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시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 신성자(2012)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희망이 높아지고, 이주노동자의 사회적지지와 의사소통은 독립적 및 상호작용을 통하여 희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상담시 이주노동자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갖게 함으로 이주노동자 상담 프로그램에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도록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희망과 생활 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모형검증 결과는 선행연구들을 경험적으로 지지해 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희망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해 [Fig. 1]과 같이 이론적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의 생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Diener(1984)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종길(1992)의 연구에서 사용된 SWLS(Satisfaction With LifeScale) 척도 5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의 한국 생활에서의 만족감이라는 주관적인 느낌을 측정하기 위하여 SWLS 척도의 일부 문항을 한국 실정에 맞도록 표현을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만족도 척도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는 .
  • 본 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지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구조적 측면은 이주노동자들이 ‘누구’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는지 지지를 제공하는 주체를 파악하였고, 기능적 측면은 사회적 지지의 성격이 어떠한 ‘내용’인지, 즉,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를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는 이주노동자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이주노동자의 포괄적 삶의 질 향상을 돕기 위한 지원 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사회적 지지 및 모국인 단체와의 접촉빈도와 삶의 질[14], 시민단체 지지, 공공기관 지지, 동족집단 지지, 가족 지지[15],사회적 적응과 자국인 지지[16] 등이 각각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사회적 지지는 이주노동자의 생활 만족도를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가정을 제시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약 몇 명인가? 한편, 세계화 시대에 국경을 초월하는 국제이주는 일반적인 현상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한국으로의 이주도 나타나고 있다. 2015년 12월 기준으로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189만명을 넘었으며, 이들 중에 약 60만명의 외국인이 취업자격으로 한국에 체류하고 있다[3].
이주노동자의 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나라는 1980년대말부터 이주노동자의 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산업 구조의 변화로 노동력이 부족하고, 일반 노동자의 임금 수준이 향상되면서 중소기업의 인력 채용에 어려움이 발생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가 이주노동자 고용 정책을 실시하였다[1].
이주노동자의 입국을 허용하게된 계기는? 우리나라는 1980년대말부터 이주노동자의 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산업 구조의 변화로 노동력이 부족하고, 일반 노동자의 임금 수준이 향상되면서 중소기업의 인력 채용에 어려움이 발생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가 이주노동자 고용 정책을 실시하였다[1]. 1990년대 초반 산업기술연수제도의 도입으로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인들이 기피하는3D(Dirty, Dangerous, Difficult) 업종에 일하면서 한국의 산업현장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하고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ye-Yeon Ju, "The effects of news frame for migrant workers and their worldviews on audience's biased attitude", MA.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2. 

  2. Kye-Min Yang, "The influence of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perceived economic Level on the attitude of immigrant employe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Vol. 24, No. 1, pp. 111-128, 2010. 

  3. Ministry of Justice, Immigration Immigration Policy center home page, www.immigration.go.kr, 2013. 

  4. Jang-Seop Lee, "Korean culture issues and foreign workers -Theoretical Direction and challenges-", Outline of the cultural policy, Vol. 8, pp. 162-175, 1996. 

  5. Hye-seung Yang,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Korean Media Consumption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Migrants Workers in Korea",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1, pp. 55-95, 2012. 

  6.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o establish guidelines for Migration and Human Rights Survey", 2011. 

  7. Mi-Hee Ban, "Stres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Master's degree,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8. Young-Hye Kim, "A Study on the Welfare Condition of Foreign Workers and the Way to Solve their Problems", MA.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2001. 

  9. Seung-Gil Lee,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the foreign workers, and industrial insurance processing", MA.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01. 

  10. Ying, Y. , "Immigration satisfaction of Chinese Americans: An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24, pp. 3-16, 1996. 

  11. Bo-Mi Kim, "Life Satisfaction among Children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MA.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2. Hyun Choi,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f the Korean-Chinese in their Adaptation to the Korean Life with focus on Social Support",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2008. 

  13. Sung-Ja Shin, "The Correlates of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 in Korea-Focusing on Social Isolation, Stress, Coping Patten and Social Support-", Faith & Scholarship, Vol. 17, No. 3, pp. 211-244, 2012. 

  14. Joung-Ju Yun, "A study on a factor influencing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life", MA.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2004. 

  15. Sun-Hwa Kim, "The Study on the influencing of Acculturation Stress among Foreign Migrant Wokers in Korea", MA.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5. 

  16. Eun-Hee Jung, "Influ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migrant workers' psychosocial adaptation: focusing on Daegu metropolitan area", MA.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17. Sang-Sun Choi,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90. 

  18. Mi-Jin Kim, Gyun-Young Kang,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9-47, 2015. 

  19. Eun-Yeon Lee, Kyung-Hee Shon,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job stress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87-9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