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빈곤 저소득 임차가구의 특성 및 주거문제: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Housing Deficits of Low-Income Renter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Focused on the 2014 Korea Housing Survey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2, 2016년, pp.155 - 164  

이현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housing deficits and expectations for support programs of low-income renter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in order to provide housing polic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formation. Microdata of the 2014 Korea Housing Survey was utilized as secondary data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준의 주거에 거주할 권리인 주거권의 보장은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뿐만 아니라 해당 가구가 속한 사회의 경제적 생산성과 안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빈곤 실태와 가구 및 주거 특성, 주거복지 지원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고찰하여 이들의 주거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 정책 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에서 정의한 소득 하위 40%의 저소득 임차가구 중 민간 임대주호에 거주 중인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중 일반가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주거실태조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국가통계조사 중 주택과 관련된 가장 종합적인 자료를 포함한 공신력있는 조사로 2006년에 주택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 제6조를 근거로 당시 주택정책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 주관으로 처음 실시되었으며, 2015년 주거기본법 제정 이후 주거실태조사의 법적 근거가 주거기본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로 변경되었다.
  • 하지만, 기존 연구 중 저소득가구의 상대적인 주거 수준을 조명한 연구는 있으나,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빈곤 문제나 주거복지 지원정책에 대한 요구도 등을 공신력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빈곤 실태와 가구 및 주거 특성, 주거복지 지원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고찰하여 이들의 주거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 정책 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a)A non-house living quarter refers to living quarters not classified as a house under the Housing Law of Korea. Non-house living quarters in the official report of the 2014 Korea Housing Survey (KHS) included officetel uni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권의 보장의 의미는 무엇인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준의 주거에 거주할 권리인 주거권의 보장은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뿐만 아니라 해당 가구가 속한 사회의 경제적 생산성과 안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빈곤 실태와 가구 및 주거 특성, 주거복지 지원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고찰하여 이들의 주거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 정책 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주거빈곤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6]가 주장한 바와 같이 주거환경의 물리적 수준과 생활 행태는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생산성과 사회 활력과도 연관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주거환경은 가구원에게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 뿐만 아니라[7], 가족생활[14]과 아동의 발달[15]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범죄 노출 위험성과도 연관[23]되는 등 주거의 질적 수준이 거주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주택 자원배분의 불균형에서 기인한 사회적 갈등과 주거불안은 해당 사회의 안정과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등[2] 개별 가구의 주거문제가 미치는 사회적 파급력도 크다.
주거권이란 무엇인가? ‘주거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최소한의 주거생활을 보장받을 권리이다[2, 24]. 1991년 UN의 사회권규약위원회에서는 주거권의 내용을 구체화한 적절한 주거(adequate housing)가 갖추어야 할 일곱 가지 필수적인 요건을 발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ook, C. C., Steggell, C. D., Suarez, A., & Yust, B. L. (2006). Housing affordability. In J. L. Merril, S. R. Crull, K. R. Tremblay, Jr., L. L. Tyler, & Carswell, A. T. (Eds.), Introduction to housing (pp. 225-255).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 Ha, S., Lee, S., Hwang, J., Jeon, H., Seo, W., Seo, J., et al. (2013). The housing welfare policy. Seoul: Pakyoungsa. 

  3. Harkness, J., & Newman, S. J. (2005). Housing affordability and children's well-being: Evidence from the national survey of America's families. Housing Policy Debate, 16 (2), 223-255. http://dx.doi.org/10.1080/10511482.2005.9521542 

  4. Jin, M. (1999). An empirical study on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multi-family dwell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2014). The state of the nation's housing 2014. Retrieved February 21, 2016, from http://www.jchs.harvard.edu/research/publications/state-nations-housing-2014 

  6.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2015). The state of the nation's housing 2015. Retrieved February 21, 2016, from http://www.jchs.harvard.edu/research/publications/state-nations-housing-2015 

  7. Kim, D. B., Yoo, B. S., & Shin, S. M. (2012).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 (4), 1041-1061. 

  8. Kwon, J. W. (2014, September). Assessment of young persons' housing situation and cooperative housing model: Focusing on a case of Min-dal-peng-i house. Paper presented at the 2nd LH-Housing Seminar (hope housing for young persons and beginning-stage workers), Seoul, Korea. 

  9. Kwon, J. W., & Lee, E. J. (2013, July). Housing poverty report of young persons. Paper presented at the 3rd Housing Welfare Conference, Daejeon, Korea. 

  10. Lee, H. J. (2015). Comparisons of young renter households' housing situation by locations reflected in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 (1), 81-90. http://dx.doi.org/10.6107/jkha.2015.26.1.081 

  11. Lee, H. J. (2015). Enactment of the housing foundation law and roles of housing welfare professionals.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015, 15-32. 

  12. Lee, H. J. (2015). Housing costs of beginning-stage career young rent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 (1), 71-79. http://dx.doi.org/10.6107/JKHA.2015.26.1.071 

  13. Lee, H. J., & Choi, B. (2015). Housing challenges of very low-income households reflected in the 2012 Korea housing survey. Asia-Pacific Network for Housing Research Conference Book, 1, 246. 

  14. Lim, J. (2011).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 (1), 279-304. http://dx.doi.org/10.16999/kasws.2011.42.1.279 

  15. Lim, S. H. (2010). Process analysis of housing poverty influences on child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 (4), 377-402.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2013 Korea housing survey: Research report.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2014 Korea housing survey: Research report.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Minimum housing standard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nouncement 2011-490). Seoul: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9. Newman, S. J. (2008). Does housing matter for poor families? A critical summary of research and issues still to be resolved.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7 (4), 895-925. http://dx.doi.org/10.1002/pam.20381 

  20.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09).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Retrieved February 21, 2016, from http://www.ohchr.org/Documents/Publications/FS21_rev_1_Housing_en.pdf 

  21. Park, J. M., Oh, U., & Yi, G. (2015). A typology of housing vulnerability based on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6 (2), 101-123. http://dx.doi.org/10.16999/kasws.2015.46.2.101 

  22. Pollack, C. E., Griffin, B. A., & Lynch, J. (2010). Housing affordability and health among homeowners and rente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9 (6), 515-521. http://dx.doi.org/10.1016/j.amepre.2010.08.002 

  23. Schwartz, A. F. (2010). Housing policy in the United State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24.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07). Housing welfare. Seoul: Gyomoon Publishers. 

  2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s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2015). Codebook for the American housing survey, public use file: 1997 and later. Retrieved February 21, 2016, from http://www.census.gov/programs-surveys/ahs/tech-documentation/codebooks/ahs-codebook.html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Health principles of housing. Retrieved February 21, 2016,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1989/9241561270_eng.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