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2014년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2014 o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2, 2016년, pp.89 - 106  

강솔잎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양우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진재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전승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창 개방형 조간대는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대조차, 개방형 연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고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며 계절별 편차가 작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characterized by macro-tidal range, an open-coast type, and sand substrate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sedimentary facie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G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물은 주로 모래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방형 해안의 표층 퇴적물은 몬순계절풍의 영향에 따라 파랑에너지가 강화되는 겨울과 파랑에너지가 약화되는 여름으로 구분되는 이원적 계절변화를 보인다. 본 연구는 개방형 대조차 환경인 고창 조간대에서 2014년 사계절 표층 퇴적물의 입도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고창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2014년 시·공간적 변화를 밝히고, 이러한 변화의 특성을 파랑과 조석 요인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토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빈이란? , 2004). 해빈(beach)은 연안을 따라 파랑과 바람에 의해 형성된 거력부터 모래 크기 범위의 미고결 퇴적물이 쌓인 퇴적 환경이다(Davis and Fitzgerald, 2004; Pilkey et al., 2011; Hobbs, 2012).
조간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 2011; Hobbs, 2012). 조간대(intertidal flat)는 조석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질의 특성에 따라 암반, 갯벌, 모래 조간대로 분류된다(Klein, 1985; Carter and Woodroffe, 1994; Masselink and Gehrels, 2014). 최근 파랑과 조석의 영향이 상호작용하는 연안 환경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Allen and Duffy, 1998; Li et al.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의 결과는 어떠한가?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len, J.R.L. and Duffy, M.J., 1998, Temporal and spatial depositional patterns in the Severn Estuary, SW Britain: intertidal studies at spring-neap and seasonal scales, 1991-1993. Marine Geology, 146, 147-171. 

  2. Blott, S.J., 2010, GRADISTAT Version 8.0: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by sieving or laser granulometer. Instructions on the use of the GRADISTAT program, 5 p. 

  3.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4. Boak, E.H. and Turner, I.L., 2005,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a review.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1, 688-703. 

  5. Carter, R.W.G. and Woodroffe, C.D., 1994, Coastal evolution: late Quaternary shoreline morpho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17 p. 

  6. Chough, S.K., Lee, H.J., Chun, S.S., and Shinn, Y.J., 2004, Depositional processes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the Yellow Sea: a review. Geosciences Journal, 8, 211-264. 

  7. Dalrymple, R.W., 2010, Tidal depositional systems. In James, N.P. and Dalrymple, R.W. (eds.), Facies models 4. Geological Society of Canada, Newfoundland and Labrador, 201-231. 

  8. Davis, R.A.Jr.,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lag, New York, 716 p. 

  9. Davis, R.A.Jr. and Fitzgerald, D.M., 2004, Beaches and coasts. Blackwell Publishing, Malden, USA, 419 p. 

  10. Davis, R.A.Jr. and Hayes, M.O., 1984, What is a wave 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30. 

  11. Fan, D., 2012, Open-coast tidal flats. In Davis, R.A. Jr. and Dalrymple, R.W. (eds.), Principles of tidal sedimentology. Springer, Dordrecht, 187-229. 

  12. Fan, D., Li, C., Wang, D., Wang, P., Archer, A.W., and Greb, S.F., 2004, Morphology and sedimentation on open-coast intertidal flats of the Changjiang Delta, Chin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81, 23-35. 

  13.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USA, 170 p. 

  14.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15. Heward, A.P., 1981, A review of wave-dominated clastic shoreline deposits. Earth Science Review, 17, 223-276. 

  16. Hobbs, C.H., 2012, The beach book: science of the shor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5 p. 

  17. Kang, S.I., Ryang, W.H., and Chun, S.S., 2015, Characteristics of surface topography variation on the Gochang beach,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 533-542. (in Korean) 

  18. Klein, G. deV., 1985, Intertidal flats and intertidal sand bodies. In Davis, R.A. Jr. (ed.),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lag, New York, 187-224. 

  19.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13, Tidal bench mark. http://sms.khoa.go.kr/koofs/tbm/tbm.asp?tl_id502 (May 10th 2015) 

  20.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2013-2014, Tidal deviation calculation table. http://www.khoa.go.kr/koofs/kor/tide/tide.do (January 21th 2016) 

  2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2, Study on the coastal geology of west coast and the terrestrial wetlands: I. Study on the coastal geology of west coast. KR-03(final)-04, 242 p. (in Korean) 

  2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3-2014a, Coastal wave buoy of marine data. http://data.kma.go.kr/svc/dts/sea/seaFargoBuoyRltmDtaReqstList.do?lrgClssCdSEA&mddlClssCdSEA03 (January 13th 2016) 

  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3-2014b, Monthly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ystem data.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data_yearly.jsp (May 10th 2015) 

  24. Lee, B.J., and Lee, S.Y., 2001, Geological report of the Gochang sheet, scale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7 p. (in Korean) 

  25. Lee, H.J., Jo, H.R., Chu, Y.S., and Bahk, K.S., 2004, Sediment transport on macrotidal flat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significance of wind waves and asymmetry of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 821-832. 

  26. Li, C., Wang, P., Fan, D., Dang, B., and Li, T., 2000, Open-coast intertidal deposits and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individual laminae: a case study from eastcentral China. Sedimentology, 47, 1039-1051. 

  27. McLaren, P. and Bowles, D., 1985, The effects of sediment transport on grain-size distribution.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5, 457-470. 

  28. Masselink, G. and Gehrels, R., 2014, Coastal environments and global change.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438 p. 

  29. Oh, J.K. and Kum, B.C., 1998,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macrotidal beach in Mongsanpo,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310-317. (in Korean) 

  30. Pilkey, O.H., Neal, W.J., Kelley, J.T., and Cooper, J.A.G., 2011, The world's beaches: a global guide to the science of the shore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83 p. 

  31. Reading, H.G., and Collinson, J.D., 1996, Clastic coasts. In Reading, H.G. (ed.), Sedimentary environments: processes, facies and stratigraphy, Blackwell Science, Oxford, p. 154-231. 

  32. So, K.S., Ryang, W.H., Choi, S.L., and Kwon, Y.K.,, 2012,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497-509. (in Korean) 

  33. So, K.S., Ryang, W.H., Kang, S.I., and Kwon, Y.K., 2010,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Dongho beach, Gochanggu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708-719. (in Korean) 

  34. So, K.S., Ryang, W.H., and Kwon, Y.K., 2009,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yeongsasipri tidal flat, Gochanggun, SW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 181-188. (in Korean) 

  35. Udden, J.A., 1914, Mechanical composition of clastic sediments. Bulletin o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5, 655-744. 

  36.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ournal of Geology, 30, 377-392. 

  37. Yang, B.C. and Chun, S.S., 2001, A Seasonal model of surface sedimentation on the Baeksu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5, 251-262. 

  38. Yang, B.C., Dalrymple, R.W., and Chun, S.S., 2005, Sedimentation on a wave-dominated, open-coast 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summer tidal flat-winter shoreface. Sedimentology, 52, 235-252. 

  39. Yang, B.C., Dalrymple, R.W., Chun, S.S., and Lee, H.J., 2006, Transgressive sedimentation and stratigraphic evolution of a wave-dominated macrotidal coast, western Korea. Marine Geology, 235, 35-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