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의 폐기기동 계획 연구
A Study of the Disposal Maneuver Planning for LEO Satellite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4 no.4, 2016년, pp.352 - 362  

성재동 (Aerospace System in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해동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최하연 (Aerospace System in 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한 예제로써 우주파편 완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아리랑 2호 위성의 폐기기동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상용소프트웨어인 STK$^{(R)}$와 ESA의 우주파편 분석 툴 DRAMA를 사용하였으며, 가이드라인 규정 중 '25년 규정'을 만족하는 적정 폐기고도를 산출하였고, 아리랑 2호 위성의 비제어 재진입을 가정하여 내부부품의 생존률 및 지상피해면적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제어 재진입 시 내부부품의 생존을 가정했을 때 다양한 초기궤도 오차를 수렴할 수 있는 적정 재진입 초기궤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리랑 2호 위성은 '25년 규정' 만족을 위해 최소 43km에서 최대 105km의 고도하강이 필요하며, 비제어 재진입 시 질량이 큰 물체나 내열성이 강한 부품이 생존하여 $4.3141m^2$의 피해면적을 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진입 초기궤도의 승교점경도를 129도로 설정했을 때 일정수준의 오차를 포함하더라도 가이드라인 기준을 만족하는 인명 피해확률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disposal maneuver which complies the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 was analysed for KOMPSAT-2 as an example of LEO satellite. Definition of disposal altitude which comply the '25 year rule', re-entry survivability analysis of KOMPSAT-2 parts inside and casualty area analysi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연구는 선행연구 차원에서 수행된 것으로 실제 폐기기동 계획을 수립하기에는 결과의 다양성이나 신뢰도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한 예로써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 위성의 임무종료에 대비한 적절한 폐기기동 계획수립을 위한 분석들을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아리랑 2호 위성의 폐기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적절한 폐기고도를 도출하고 비제어 재진입 시 생존률과 적정 재진입 초기궤도를 탐색하여 우주파편 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준을 만족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아리랑 2호 위성의 폐기고도 분석을 위한 궤도 및 제원은 아래 Table 1과 같다. 아리랑 2호 위성의 폐기시점은 2020년 1월 1일로 가정하였으며, 이는 현재 아리랑 2호 위성의 잔여 연료가 전체의 60% 이상 남아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장 임무수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 이때 Table 2, 3의 ‘Jacchia71’ 대기모델과 태양플럭스 불확실성이 2σ인 경우를 ‘Best Case’, 반대로 ‘Harris-Priester’ 대기모델과 태양플럭스 불확실성이 -2σ인 경우를 ‘Worst Case’라 정의하였으며, 기동은 호만 천이 기동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파편이란 무엇인가? 우주파편은 인공적으로 생성되어 더 이상 이용가치가 없는 물체를 의미하고, 인류의 지속적인 우주개발과 함께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이나 로켓 동체와 같이 크기가 큰 물체부터 폭발파편이나 연소 산화물과 같은 매우 작은 물체까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우주파편은 저궤도부터 정지궤도 영역에서 운영 중인 유인 및 무인 우주임무를 위협하고 있다.
저궤도 위성에 해당되는 ‘25년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사용되는가? 특히 저궤도 위성에 해당되는 ‘25년 규정’은 임무 종료시점으로부터 25년 이내에 저궤도 주요 궤도영역 ‘Region A’를 벗어나야 하는 규정으로 현재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주요한 항목 중 하나이다. 이를 준수하기 위해 고도를 상승시키거나 지구 대기로 재진입시켜 소각하는 방법이 있으며, 비제어 재진입 시 소각되지 않은 생존물체에 의한 인명피해 확률이 1.0E-04 이하가 되어야 하는 재진입 피해에 관한 규정 또한 중요한 가이드라인이다.
우주파편 환경악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은 우주파편 환경악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각 국의 우주기관 혹은 범국가적 단체에서는 각자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IADC의 ‘IADC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나 UN의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COPUOS)’가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라인들은 아래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IADC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IADC Action Item number 22.4, 2007. 

  2.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COPUOS)", United Nations, 2010. 

  3. Re-entry and Risk Assessment for the NASA Upper Atmosphere Recearch Satellite (UARS)", NASA Orbital Debris Program Office, 2011. 

  4.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15, Issue 2, 2011. 

  5.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15, Issue 2, 2011. 

  6. Monheim. A. L., Pritikin. L., Mayer. G., Juan. G. S., Palmer. R., Miller. K., Mitchell. S., Weiss. M., Pieper. B., "GFO: Disposal of a Power-Challenge satellite with an Attitude (Control) Problem", AIAA Space 2009 Conference & Exposition, 2009. 

  7. Alby. F., "SPOT 1 end of life disposition nameuvers", Advances in Space Research, Vol. 35, pp. 1335-1342, 2005. 

  8.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15, Issue 1, 2011. 

  9.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16, Issue 1, 2012. 

  10. Cabrieres. B., Alby. F., Cazaux. C, "Satellite end of life constraint: Technical and organisational solutions", Acta Astronautica, Vol. 72, pp. 212-220, 2012. 

  11. Seong. J. D., Min. C. O., Jeong. S. W., Lee. D. W., Cho. K. R., and Kim. H. D., "Removal trajectory generation for LEO satellites and analysis collision probability during removal maneuver", The Korea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0, No. 4, pp. 354-363, 2012. 

  12. Jeon. S. W., Min. C. O., Lee. M .H., Lee. D. W., Cho. K. R., and Bainum. P. M., "Re-entry Survivability and On-Ground Risk Analysis of Low Earth Orbit Satellite", The Korea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2, No. 2, pp. 158-164, 2014. 

  13. Jeong. S. W., Min. C. O., Lee. D. W., Cho. K. R., "Analyses for Re-entry Event and Surviv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racters of Re-entering Space Objects",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Vol. 17, No. 1, pp. 80-8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