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대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식생비오톱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Biotope in Cultural Heritage Site of Odae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2, 2016년, pp.70 - 82  

김지석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이병인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식생비오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토지이용유형별로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군락분류결과,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2개 군락의 식별종은 서양민들레, 개망초, 왕포아풀로 도시화지역, 본 조사에서는 사찰지 내에 분포하는 식물이었다. 1개 군락의 식별종은 양지꽃으로 숲 가장자리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었으며, 3개 군락의 식별종은 조릿대와 신갈나무로 산림지역 분포식물이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와 DCA 기법을 활용한 서열분석을 통하여 공원문화유산지구는 사찰비오톱, 사면벌채지비오톱, 산림비오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종수, 귀화식물, 상대우점치, 유사성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사찰비오톱 우점종은 왕포아풀과 쑥이었으며,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미역줄나무, 산림비오톱은 신갈나무, 전나무, 느릅나무였다.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다른 비오톱에 비하여 출현 종수가 많았으며, 사찰비오톱은 귀화식물 출현 종수가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ultural Heritage Site of Odaesan National Park using 52 quadrats for each type of land use to figure out some characteristics of plant biotope. As we classified vegetation communities, they are six groups of communities. distinguished species in two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77년 Möbius가 제시한 생물군집의 개념을 발전시켜 생물이 서식하는 물리적인 요인의 복잡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소개된 개념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신설된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 지구 관리방안 수립 시,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의 비오톱 유형별 식생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관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원문화유산지구이란? 관리를 맡고 있는 공원관리청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공원 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로 용도지구를 지정하고 있다. 이 중 공원문화유산지구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사찰과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통사찰의 경내지 중 문화재의 보전에 필요하거나 불사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하고자하는 지역이다. 2011년 자연공원법 개정에 따라 신설된 용도지구로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비오톱이란 개념이 나온 배경은 어떠한가? 비오톱(biotope)이라는 개념은 Dahl(1908)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1877년 Möbius가 제시한 생물군집의 개념을 발전 시켜 생물이 서식하는 물리적인 요인의 복잡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소개된 개념이다. Tansley(1935)는 생태계의 개념을 정의 하면서 Dahl의 비오톱 개념을 활용하여 생물군집(군락)에 무기환경을 가한 통합체를 생태계(ecosystem)라고 하였다.
시가화 지역에서 토지이용 유형을 비오톱 유형화 기준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국내 비오톱 관련 연구를 보면, 시가화지역에서는 토지이용 유형을, 자연지역에서는 식생분포특성을 비오톱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시가화지역에서 토지이용유형을 비오톱 유형화 기준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도시 내 토지이용에 따른 생물종조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에 기초하고 있다(Lee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tkinson, I. A. E.(1985) Derivation of vegetation mapping units for an ecological survey of Tongariro National Park, North Island,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23: 361-378. 

  2. Braun-Blanquet(1932)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I x viii + 439 p. Reprint 1966. 

  3. Byun D. W., H. J. Lee and C. H. Kim(1998) Vegetation pattern and successional sere in the forest of Mt. Odae. Korean J. Ecol. 21(3): 283-290. 

  4. Chio I. K. and E. H. Lee(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Germa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3): 73-81. 

  5. Cox, T. F. and T. Lewis(1976) A conditioned distance ratio method for analyzing spatial patterns. Biometrika 63(3): 483-491. 

  6.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8 

  7. Dahl, F.(1908) Grundsaetze und grundbegriffe der biocoenotischen forshung. Zool. Anz., T. 33: 349-353. 

  8. Dorney, J. R., G. R. Guntenspergen, J. R. Keough and F. Stearns(1984)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an urban woody plant community. Urban Ecol. 8: 69-90. CrossRef 

  9. Hill, M. O.(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New York, USA. 

  10. Hong, K. H., Y. C. Choi, B. Y. Kang and Y. P. Hong(2001)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Needle Fir(Abies holophylla) seedling on the forest gap within a Needle Fir forest at Mt. Odae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0(4): 565-5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11. Hong S. H. and K. J. Lee(2008) A study on the criteria for demarcating ecological types of urban areas by the affection of ecosystems -Case study in Gangdong-gu,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 24-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12. Kariyama, S. and H. Kobatake(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 31-40 (in Japanese) 

  13. Kim C. H., J. G. Oh, N. S. Lee, Y. E. Choi and M. J. Song(2015a)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1): 6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14. Kim, H. S., C. H. Oh, Y. M. Kim, S. Y. Moon, K. H. Lee, B. K. Jeong, Y. H. Kim, D. S. Kim and H. S. Park(2009) Final report of making biotope map in Siheung City, Korea. Siheung City, 370pp. (in Korean) 

  15. Kim, J. H.(1992) Analysis of successional trend by transition matrix model in the mixed broadleaved-Abis forest of Mt. Odae. Jour. Korean For. Soc. 81(4): 325-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16. Kim, J. M., Y. J. Yim and U. S. Jeon(2000) Th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cience Books. 282pp. (in Korean) 

  17. Kim, J. W(2006)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340pp. (in Korean) 

  18. Kim, Namin(2014) A Study on the Placement and Spatial Arrangement of Eunhaesa Temple Based on Theoretical Principles of Pungsu-jiri.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1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19. Kim, S. Y,(2006a) Vegetation Structure and Spatial Pattern of Some Dominant Tree Species at aMixed Forest ofAbis holophylla - Broadleaved Trees in Mt. Odae National Park.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0. Kim, Y. S., N. Y. Kim, Y. S. Kim, H. B. Lee, S. C. Kim, J. H. Kim and W. G. Park(2012a)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Jour. Korean For. Soc. 101(2): 226-2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1. Kim, J. S., T. J. Jung and S. H. Hong(2015)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Kor. J. Env. Eco. 29(3): 454-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2. Kim, J. S., J. I. Kwak and T. H. Noh(2013)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Kor. J. Env. Eco. 27(2): 209-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3. Kim, J. S., S. H. Hong and C. H. Oh(2012)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Kor. J. Env. Eco. 26(3): 313-3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4. Lee, H. J., D. W. Byun and C. H. Kim(1998)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and ordin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Odae. Korean J. Ecol. 21(3): 291-3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5. Lee, K. J., C. H. Oh, J. Y. Kim, S. H. Hong, I. T. Choi, J. W. Choi, K. S. Ki, J. I. Kwak, P. Y. Lee. J. H. Jang, S. C. Park, T. H. Noh, J. H. Yeum and J. Y. Hur(2011) Ecological Planning. Kwangilmunhwasa, Seoul, 361pp. (in Korean) 

  26. Lee, K. J., J. S. Kim, J. W. Choi and B. 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2): 173-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7. Lee, S.(2000)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II) - Site on plant community in Tongdaesan-. Jour. Korean For. Soc. 89(5): 552-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8. Lee, K. J., K. K. Oh and J. C. Jo(198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visitor's activities in Mt. Naejang Park (I) -Analysis of the vegetational structure by the ordination techniques -. Jour. Korean For. Soc. 77(2): 166-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29. Lee, S. H.(2002) A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Flora according to the Land Use Type in the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30.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2011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31. Molles, M. C.(2009) Ecology - Concepts & Applications -. McGraw-Hill Education; 4th edition, 604pp. 

  32. Motzkin, G., P. Wilson, D. R. Foster and A. Allen(1999) Vegetation patterns in heterogeneous landscapes: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environment. J. Veg. Sci. 10: 903-920. 

  33. Numata, M.(1977)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vegetation in Japan. In Vegetation Scienc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 Miyawaki and R. Tuxen, eds), pp. 161-171. Tokyo, Maruzen. 

  34. Oh, K. K., Y. K. Jee and H. Y. Shim(2005) Monit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broad-leaved forest -A case of Baekwoonsan research fores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 J. Env. Eco. 19(1): 19-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35. Oh, C. H., I. K. Choi, E. H. Lee and D. O. Lim(2010)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 in the Jeonju area. Kor. J. Env. Eco. 24(1): 37-4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The Hague: Junk 

  37. Park, B. K.(1972)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Otae, Korea.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Better Living 9: 9-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8. Petr Pyssek, Milan Chytry and Vojtech Jarosk(2009) Habitats and land use as determinants of plant invasions in the temperate zone of Europe. in Bioinvasions and Glob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6-79. 

  39. Rieley, J. O. and S. E. Page(1995) Survey, mapping, and evaluation of green space in the Federal Territory of Kuala Lumpur, Malaysia. In Urban Ecology as the Basis for Urban Planning (H. Sukopp, M. Numata, and A. Huber, eds), pp. 173-184. SPB Publishers, Amsterdam. 

  40. Sorensen, T. 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K dan Vidensk Selsk Biol Skr 5: 1-34. 

  41. Sukopp and Weiler(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 39-58. 

  42. Tansley(1935)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concepts and terms. Ecology 16: 284-307. 

  43.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Whittaker, R. H. (ed.)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part 5,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Communities, pp. 617-726. Junk, The Hague. 

  44. Whitney, G. G. and S. D. Adams(1980) Man as a marker of new plant communities. J. Appl. Ecol. 17: 431-448. 

  45. Whittaker, R. H.(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ogical Reviews 42: 207-264. 

  46. Yu, J. E., J. H. Lee and K. W. Kwon(2003) An analysis of forest community and dynamics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4): 238-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