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고등학생의 자기 통제력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조절효과 연구
Influence of self-control on stress manage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2, 2016년, pp.269 - 275  

이가령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control on stress manage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22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from December 1, 2014 to February 20,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자기 통제력의 관련성을 파악한 후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자기통제력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며 고등학생들이 스스로 자기 통제력을 파악할 수 있고,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과도한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더구나 현대사회에서 고등학생들은 학업과 더불어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있어 다른 시기와는 다른 특유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과도한 스트레스는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6], 스트레스는 신체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실제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다양한 신체화 경향을 유발 시킬 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7] 건강실천지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기도 했다[8]. 또한 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신체 건강을 악화시키고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9-11], 청소년기의 스트레스로부터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자기 통제력을 형성하지 못했을경우 어떠한 경향이 있는가? 또한 개인 스스로 상황적인 요구에 적합하게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능력으로 미래에 더 좋은 결과나 장기적인 만족추구를 위해 일시적인 순간의 욕구나 충동에 의한 행동을 줄이고 즉각적인 만족을 자제시키는 능력을 말한다[2]. 자기 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자신이 처한 때와 장소에서 즉각적이고 손쉬운 욕구충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앞으로 자신의 행위가 가져올 장기적인 손실을 무시하거나 실제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3].
자기 통제력이란 무엇인가? 자기 통제력은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 눈앞의 유혹이나 충동을 억제하거나 그것에 저항하는 능력, 단기적인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을 말하며, 때로는 자기 조절이라고 한다. 올바른 자기 통제력의 형성은 미래를 위한 중요한 시기에 놓인 청소년들에게 자아를 형성하고 자기 자신의 삶의 질을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는 능력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ong SH, Shin HS, Lee SJ. The Relationship among peer support, family strength and self-control in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3; 25(3) 79-91. 

  2. Park SY. Influence of Stres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on Adaptation to School Life(Modify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Control[Master's thesis]. Chung-Buk: Univ. of Education, 2013. 

  3. Song GH, Jo GP.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ral Self, Self-Control, Empathy, and Mor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3; 13(3): 23-44. 

  4. Lee MA. A study on spiritual formation of youth in postmodernism environment.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14; 42: 29-61. 

  5. Shin HS, Khu BY. Stress coping and Its Relationship to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1; 9(1): 189-225. 

  6. Kim JY, Lee DE, Jung YK. The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 participation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in youth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 24(3) 99-126. 

  7. Hong MH.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in local gobernment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471-83. 

  8. Kim YA.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of adolescence[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00. 

  9. Beehr TA. Perceived situational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role ambiguity and role strain. J Appl Psychol 1976; 61: 35-40. 

  10. Keinan G, Ben-zur H, Zilka M, Carel RS. Anger in or out, which in healthier an attempt to reconcile inconsistent findings. Psychol Health 1992; 7: 83-98. 

  11. Choi J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oral health statu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4): 555-61.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4.055. 

  12. Hwang DH, Yun HG, Hwang TY.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oral symptoms in health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4): 519-26.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4.519. 

  13. Yoon HJ, Kim SS. Factor associated with oral health-w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5; 15(6): 1117-23.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6.1117. 

  14. Kang GA.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cancer. Journal of nursing query 1997; 6(2): 67-89. 

  15. Jung YU. A study of the Relation of Stress to Oral Health-Related of Life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of Chungnam. J Dent Hyg Sci 2014: 14(2): 158-66. 

  16. Lee YK, Kwon HJ. Correlations among eating habits, behaviors for dental health and dental caries of juveniles.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3): 419-24.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19. 

  17. Kim JH, Lee DW. A study on strain and juvenile delinquency. K Institute of Criminology 1996; 3: 13-165. 

  18. Kim HS.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1998. 

  19.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994; 11(1): 3-11. 

  20. Jung EJ, Yoon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control to stress-copying styl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13: 13(3): 238-45. 

  21. Jung YJ. A study of the relation of stress to oral health-related of life in male school studentsof chungnam. J Dent Hyg Sci 2014: 14(2): 158-66. 

  22. Kwon HJ, Yoon MS. Relationship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J Dent Hyg Sci 2015: 15(6): 825-35.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6.825. 

  23. Nam HM, Ok S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2001: 39(7): 37-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