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on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5, 2018년, pp.797 - 806  

김재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성태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예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배수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신혜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조정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설희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luence of stress on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72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assessing the impac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기존 연구에서 구강건강 관련 각 요인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있지만 일부 변인의 관계만으로 복잡한 현상의 총체적 설명은 한계가 있어 다수 변인들의 작용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스트레스가 구강건강,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주원인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집단별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법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말하는 우리나라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인가? 대학생은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고 사회적 역할을 준비하기 위한 진로탐색, 전공학습 수행 및 가치관을 확립해 나가는 시기이다[1-3]. 이 과정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입시위주 교육으로 진로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의 대학생의 경우 대학 진학 후 진로를 재탐색하고 졸업 후 취업을 준비하기 위한 스펙 쌓기에 집중하며, 학점관리, 대인 관계 형성 등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다[4].
스트레스 대처력이 낮은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은 대학생은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탐색과 준비를 하고[5]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높은 성숙도를 나타내며 사회적 지지체계를 통해 스트레스 환경을 극복한다[ 6].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력이 낮은 경우 스트레스를 감당하지 못하고 무력감, 분노 등의 감정을 표출하며 음주, 흡연 등의 문제행동을 나타내어[7] 스트레스 대처력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가성구취의 주원인으로 스트레스를 꼽은 이유는 무엇인가? 스트레스는 구취, 구강 작열감, 구강건조증과 연관성이 있고, 주관적 구강건조감은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우울감, 긴장 등의 중요요인으로 제시되었는데[31], 구강건조감은 구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자각구취도가 높다고 하였다[32]. 구취는 진성구취와 객관적 증상이 없고 타인에 의해 지각되지 않으나 자신에게 구취가 있다고 느끼는 심리적 가성구취가 있는데, 가성구취자의 경우 우울증 및 스트레스 지수가 정상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34]. 그러므로 스트레스는 진성구취 뿐만 아니라 가성구취의 주원인으로 작용되며, 구취가 발생된다고 느끼는 경우 사회생활,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올바른 구취 인식과 스트레스 관리 교육이 필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JU, Hong MH, Kim YS. Impact of stress on physical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J Korea Acad Indust Cooper Soc 2013;14(10):4919-26. https://doi.org/10.5762/KAIS.2013.14.10.4919 

  2. Lim AY, Lee SH, Jeon YJ, Yoo RK, Jung HY. Job-Seeking Stres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J Korean Med Sci 2018;33(19):e149. https://doi.org/10.3346/jkms.2018.33.e149 

  3. Kong M, Kang YJ.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life stresse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focus on the college of pyongtaek city. Korean J Rehabil Psychol 2012;19(1): 1-22. http://uci.or.kr/G704-SER000009521.2012.19.1.002 

  4. Sim YJ, Yoo SH.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happenstance cop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J Edu Inno R 2018;28(2):423-43. 

  5. Kim JH, Choi B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KAYW 2015;17(4):143-69. https://doi.org/10.19034/KAYW.2015.17.4.07 

  6. Park SY, Kim JI. A mediation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work value,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KALCI 2017;17(10):507-33.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0.507 

  7. Jeong JE, Jeong CY. The caus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5;47(1):79-96. https://doi.org/10.23840/agehrd.2015.47.1.79 

  8. Kim EY, Yu HS.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essors, stress management behaviors, and the behavior contents among Korean, Japanese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JOEC 2018;24(1):193-211.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193 

  9. Cho MJ, Lee E, Youm YS, Kim HC, Jung EK, Kim JK, et 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oral dryness in the elderly in a rural region: a pilot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7;41(4):243-9. https://doi.org/10.11149/jkaoh.2017.41.4.243 

  10. Cho MK, Cho YH. Comparisons of the effects of a-solution and 0.9% normal saline oral gargling on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Biological Nur Sci 2014;16(2):141-9. https://doi.org/10.7586/ jkbns.2014.16.2.141 

  11. Hong MH.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ry mou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symptoms on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1):136-45. 

  12. Tae IH, Kim ST, Ahn HJ, Kwon JS, Choi JH. Interaction between pain aspect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t disorder J Oral Med Pain 2008;33(2):205-16. 

  13. Jeo ES. Effect of self awareness of halitosis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12):607-14. 

  14. Vali A, Roohafza H, Keshteli AH, Afghari P, Javad Shirani M, Afshar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litosis and psychological factors. Int Dent J. 2015;65(3):120-6. https://doi.org/10.1111/idj.12153 

  15. Wang J, He L. Comparison of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chinese patients with or without halitosis complaints. Chin J Dent Res 2018;21(1):69-76. https://doi.org/10.3290/j.cjdr.a39920. 

  16. Yoshino K, Suzuki S, Ishizuka Y, Takayanagi A, Sugihara N, Kamijyo H.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ymptoms in male financial workers in Japan. Ind Health 2017;55(2):119-26. https://doi.org/10.2486/indhealth.2016-0120 

  17. Ozdinc S, Ata H, Selcuk H, Can HB, Sermenli N, Turan F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determined by Fonseca anamnestic index and associated factors in 18- to 27-yearold university students. Cranio 2018: 8:1-6. https://doi.org/10.1080/08869634.2018.1513442 

  18. Lee EH, Park SJ. Validity and application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J Educ Res 2012:10(2):69-93. https://uci.or.kr/G704-SER000010453.2012.10.2.002 

  19. Seo EG.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its risk factors among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rea, 2010. 

  20. Lee SY.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treatments. department of dentistry[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15. 

  21. Chon SY. Physical and mental factors of subjective halitosis symptom[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13. 

  22. Jang YH. A study on comparison affecting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anger-control ability and emotional-clarity[Master's thesis]. Incheon: Univ. of Inha, 2017. 

  23. Ryu JI, Jung SH. Prevalence of the oral impacts on daily performance (OIDP) in elderly population, Gangneung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7;31(2):205-13. 

  24. Seo YS, Kim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perceptions, cop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major fields. JKDAS 2016;18(1):525-35. http://uci.or.kr/G704-000930.2016.18.1.039 

  25. Ko YH, Park YH.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senior stidents' employment stress. J Digital Convergence 2018;16(1):73-83. https://doi.org/10.14400/JDC.2018.16.1.073 

  26. Back SS, Ha EH, Ryo EN, Song MS.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on suicidal ideatio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2;18(4):157-63. 

  27. Kim SH, Choi YN.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healthcare related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1):27-3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27 

  28. Yoo JH, Kang SH, Baek SH, You TM, Kim JB. Effect on explanation of pathogenesis and stress management as primary care of TMJ disorder. J Korean Asso Oral and Maxillofacial Sur 2002;28(5):358-63. 

  29. Jeong EY, Kim MR.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3):381-90.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381 

  30. Natu VP, Yap AU, Su MH, Irfan Ali NM, Ansari A.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quality of life, emotional states and sleep quality in South-East Asian youths. J Oral Rehabil 2018:45(10):756-63. https://doi.org/10.1111/joor.12692 

  31. Bergdahl M, Bergdahl L.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2000;79:1652-8. 

  32. Chung JS, Park HS, Na DW, Noh EK, Choi CH, Park J.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2010;34:534-42. 

  33. Jang SW, Kim JS, Kim JU, Son JY, Baek SH, Choi J, Ryu BH. Comparison characreristic on psychological status between genuine and pseudo halitosis. Korean J Orient int Med 2013:34(4):405-11. 

  34. Park HJ, Han SM.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 Acad Indust Cooper Soc 2016;17(1):264-73.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