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로라이프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1 no.2, 2016년, pp.111 - 120  

이효원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나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DEPSL)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DEPSL was develope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감각체험 활동을 통해 감각 발달과 함께 식재료 및 음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친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넷째, 조리 및 조형 활동을 통해 수업에의 흥미를 이끌어내고 일상생활에서 실제 적용 가능하도록 하여 지식과 행동의 변화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 활동주의 이론에 근거한 FIB(Fun Integrated Behavior) 접근법에 의하면 교육의 내용은 아동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어야하고(Fun), 교육내용이 실제 생활이나 다른 교과에 통합적이어야 하며 (Integrated), 행동의 변화를 유도(Behavior) 할 수 있어야 한다(Kutnick & Kington 2005). 따라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이야기하기 활동으로 수업 참여에의 동기를 유발하고, 감각체험을 통해 학습하며, 조리 및 조형 활동을 통해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아동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TPB)의 보완 변수인 지식(Knowledge)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을 통한 지식수준 증가의 유무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식수준의 증가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행동의 간접 영향 요소가 되는지 그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셋째, 개발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설정된 목표와 주제, 그리고 교육 내용 및 방법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이야기 톡톡 오감 만족 슬로라이프 교육”이라 명명하고, 5회 차의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에 사용될 교육 자료를 함께 개발하였다. 넷째, 실행 단계에서는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 또한, 프로그램은 그 대상인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게끔 다양하고 흥미로운 활동 중심의 교육 방법을 반영하여 교육의 효과를 상승시키고자 하였다. 매 차시 교육은 교수-학습 활동안을 바탕으로 활동이 전개 되는데, 첫째, 프로그램의 도입 단계에서는 ‘느림이’라는 달팽이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함께 이야기하기 활동을 통해 아동의 집중력을 높이고 수업 참여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였다.
  • 사라져가는 밥상머리 교육의 필요성을 재고함으로써 올바른 인성의 함양을 육성하고자 하며, 다양한 활동 중심의 교육을 통해 아동의 장기적인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 및 주체적인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앞서 확장된 개념의 계획행동이론(TPB)의 변수를 이용하여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판정하였다.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TPB)의 경로모형을 사용하여 변수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나머지 변수들이 결국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 모델 검증의 목적이다.
  • 연구에서는 계획행동이론(TPB)의 보완 변수인 지식(Knowledge)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을 통한 지식수준 증가의 유무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식수준의 증가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행동의 간접 영향 요소가 되는지 그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결과 값의 이론 모형에 대한 적합도 분석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연구에서는 교육군의 사후조사의 결과값을 이용해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는데, 이는 교육군의 사후조사 결과 값이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해보였으며 따라서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실제 실천 행동을 예측할 수있기 때문이다. 적합도 분석 결과를 보면 χ2 =7.
  • 슬로라이프는 인간이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관련된 일상의 모든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파악된다. 연구에서는 그 가치를 식생활과 연계시켜 슬로라이프의 철학을 반영한 식생활의 실천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계획행동이론(TPB)의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변수는 개인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기는 주변 사람들이 특정 행동을 해야 한다 혹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 일종의 지각된 사회적 압력을 의미한다. 연구에서는 주변 사람들이 연구 대상자에게 특정 식행동을 실행해야 한다고 여기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슬로라이프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적용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DDIE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체계적인 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계획행동이론(TPB)의 또 다른 보완 변수인 지각된 행동중요도(Perceived behavioral importance) 변수는 행동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중요성을 의미한다. 연구에서는 특정 식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여부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행동 의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범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및 가정에서 활용 가능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은 5차시의 교육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동 개인에 있어 건강한 식습관을 고취시키는 것을 가장 기본 목표로 하여 나아가 가족식사를 통해 가정에서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지역사회의 환경과 농업의 소중함을 인식하며 궁극적으로 전통음식을 통해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까지 어우르는 내용으로, 사람·음식·문화의 가치를 아는 어린이 육성을 목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한 교육군에 있어서 슬로라이프 식생활과 관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변수의 점수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슬로라이프 식생활에 관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TPB)의 독립변수들은 행동 의도 변수를 설명한다.
  • 가설 3: 슬로라이프 식생활에 관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TPB)의 지각된 행동통제, 지각된 행동 중요도 및 행동 의도는 행동 변수를 설명한다.
  • 따라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에 대한 지식,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 의도, 행동중요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한 교육군에 있어서 슬로라이프 식생활과 관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변수의 점수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활발한 사회참여로 인해 아동기의 식생활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아동에게서도 그 예외는 아니다. 여성의 활발한 사회참여로 인해 맞벌이 가정이 증가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의 아이들은 균형 잡힌 건강한 가정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드물어졌다. 또한 과거에 중시하던 가정에서의 밥상머리 교육도 그 역할이 점차 축소되어 아동비만의 문제점과 부정적 인성 발달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Kim 2011).
아동기의 식생활은 왜 중요한가? 올바른 정신은 건강한 신체발달에서 비롯되며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바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아동기 식생활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아동기는 식생활을 습득하는 최초의 시기로써 이 시기에 확립되는 식습관은 평생의 건강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Kyeon et al. 2006).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어떤 문제가 생기고 있는가? 하지만 최근 첨단 기술과 더불어 세계화의 물결과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우리의 식생활 또한 점점 서구화 되어가고 있다. 균형 잡힌 우수한 전통식을 대신하여, 간편식이나 패스트푸드 위주의 고열량·고지방 식사가 우리의 식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맞벌이 가족과 일인가구 증가로 인해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 등이 잦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 Behav. Hum. Decis. Process., 50:179-211 

  2. Bae HB. 2014. The effects of family meal education program on family meal environ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 sense of competence.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94 

  3. Cha JA, Yang IS, Lee SJ, Chung LA. 2007. Effect-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ers. J. Korean Soc. Food Cult., 22(4):383-392 

  4. Choi JM, Rha HB. 2008. A study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statu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physical science major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 Nutr., 13(1):24-33 

  5. Choi JY, Ryu SH. 2010. Effect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 J. Korean Pract. Arts Educ., 23(2):319-33 

  6. Jeong YM. 2014. Effect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improving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n upper grades schoolchildren.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50-54 

  7. Kang JH. 2007.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1-25 

  8. Kim EM. 2013. The effects of mother'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green food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90-96 

  9. Kim IA. 2011. The influence of LOHAS and green dietary life on the preference in traditional food and health.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60-67 

  10. Kim MS. 2011. The effect on dietary habits, personality and food neophobia by family meals participation.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p 15, 55-64 

  11. Kyeon YK, Jang YA, Kim JW. 2006.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J. Nutr. Health, 39(8):808-816 

  12. Lee CH. 2008.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DDIE model. Korean J. Technol. Educ., 8(1):131-146 

  13.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f nutrition educ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2):16-29 

  14. Min EH. 2012. Effect of GREEN Dietary Lif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Master's degree thesis,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p 29-31 

  15. Min EH, Ryu SH. 2012. Effect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J. Korean Pract. Arts Educ., 18(4):45-60 

  16. Molenda, M., Pershing, J.A., Reigeluth, C.M. 1996. Designing instructional systems. In R. L. Craig (Ed.), The ASTD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 (4th ed.). New York: McGraw-Hill, pp 266-293 

  17. Park BK. 2013. Tast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ts therapeutic effect in school children. Bachelor's degree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pp 63 

  18. Peter Kutnick, Alison Kington. 2005. Children's friendships and learning in school: Cognitive enhancement through social interaction?. British J. Educ. Psychol., 75(4):521-538 

  19. Prelip M, Kinsler J, Thai CL, Erausquin JT, Slusser W. 2011. Evaluation of a School-based multicomponen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young children'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J. Nutr. Educ. Behav., 44(4):310-318 

  20. Roberto, A. J., Meyer, G., Boster, F. J. 2001. Predicting adolescents' decisions about fighting: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mm. Res. Rep., 18(4):315-323 

  21. Ryu K, Han H. 2010. Predicting tourists' intention to try local cuisine using a modified theory of reasoned action: The case of new orleans. J. Travel. Mark., 27(5):491-506 

  22. Seo EH. 2013. The effects of gree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p 72-75 

  23. Seo EH, Lee M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J. Korean Manag. Assoc., 30(2):27-46 

  24. Shen, S., Schuttemeyer, A., Braun, B. 2009. Visitors'intention to visit world cultural heritage sites: An empirical study of Suzhou, China. J. Travel. Tour. Mark., 26(7):722-734 

  25. Yoon IK, Lee KA, Chung MK, Jang MH, Lee SJ. 2010.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materials for milk education for the children II-comparision of the effects of the milk education on th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Pract. Arts Educ., 23(1):29-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