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의 '영인은형(令人隱形)' 해석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Meaning of 'Youngin Eunhyung' in Dongeui-Boga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7 no.1, 2016년, pp.53 - 61  

장인수 (우석대학교 한의학대학 한방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t has been some controversy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 including 'Youngin Eunhyung' that was listed in the classic, Dongeui bogam (first published 16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nother assumption to interpretate the meaning of 'Youngin Eunhyung'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한의학에서의 귀신의 존재에 대해서 언급해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는 질병에 있어서 귀신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였다.
  • 저자는 여러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영인은형(令人隱形)’이라는 문장의 해석이 기존의 견해와는 다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지견(知見)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초는 무엇인가 ? 두 번째로 언급된 약재는 ‘통초(通草)’인데, 옛 문헌에서 말하는 통초는 오늘날의 ‘목통(木通 Akebia quinata DECNE)’을 말한다4). 목통의 性味는 寒苦有毒하며, 瀉火行水, 通利血脈, 治小便赤澁의 효능을 지니고 있으며, 성분은 akeboside, betulin, myoinositol을 함유하고 있고, 강한 이뇨작용과, 항염증작용, 그리고 gram 양성균 및 음성균에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은형과 관련하여 동의보감에서 언급된 약재는 무엇인가 ? ‘은형’과 관련하여 동의보감에서 언급된 약재는 견담(犬膽), 통초(通草), 계심(桂心)이다. ‘견담(犬膽)’은 개의 쓸개를 말하며, 과거에는 흔하게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은 약재로 쓰이지 않는다.
안과질환은 30대가 넘어서면 어떻게 나타나는가 ? 당시는 오늘날처럼 안경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도 아니었다. 30대 후반이 넘어서면 대부분의 사람이 시력이 저하되며, 백내장을 비롯한 안과 질환은 물론이고,시야를 가리게 하는 비문증 (myodesopsia), 시야흐림 (blurred vision) 등은 특수한 질병이 아니라 나이 들면 누구나 겪게 되는 필연적인 것이었던 옛 시절임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안과 염증성 질환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인 처방을 폭넓게 활용하여, 일반적인 시력 약화와 노안(老眼)으로 인한 ‘시야흐림’의 모든 증상에 적용하려고 하였던 의도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eo Jun. Dongeui bogam (First edition in 1610). Seoul: Namsandang. 2001: 597, 697, 738. 

  2. Yu SJ. How to be the invisible man in Dongeui bogam. 2009. Available at: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8/28/2009082801245.html. Accessed accessed Febrary 28, 2016 

  3. Li SZ. Bencao gangmu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First edition. Seoul: Iljungsa. 1991:2719. 

  4. Ju YS. Ungok Special Herbology Vol. 1. Seoul: Seorimjae. 2004:445, 451, 490-1. 

  5. Chen CR. Explanatory diagrams of Chinese herbology. Vol.2. Seoul: Song-ak. 1988:88-91. 

  6. Chen Cunren. Explanatory diagrams of Chinese herbology. Vol.3. Seoul: Song-ak. 1988:272-5. 

  7.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medical pharmacology. Korean medical pharmacology. Seoul:Shinil books. 2015:150-8, 658-9. 

  8. Kim HJ, Do EJ, Lee G.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Papers and Patent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29(1):101-3. 

  9. Kim HC. Zhenglei bencao, the Pharmacopoeia have been using by Dr. Heo Jun, in Chosun dynasty. 2011. Available at: URL: http://www.akomnews.com/?p284630, Accessed Feb 28, 2016. 

  10. Tang SW. Zhenglei bencao (Categorized Pharmacopoeia). First edition. Seoul: Iljungsa. 1992: 317, 564. 

  11. Meng S. Shiliao bencao (Pharmacopoeia for Healing through Nutrition). First edition. Seoul:Iljungsa. 1992: 24. 

  12. Shin DW, Kim NI, Yeo IS. Reading ins a book, Dongeui bogam. Seoul:Dulneok. 1999: 628, 682. 

  13. Muller JL. Love potions and the ointment of witches: historical aspects of the Nightshade alkaloids. Clin Toxicol. 1998;36(6):617-27. 

  14. Wang JS, Wang WY. Nanjing jizhu. First edition. Southwe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2008:31-2. 

  15. Long BJ. Introduction to Huangdi Neijing. Translation Ed. Seoul:Nonjang. 1988:52-55. 

  16. Yang SY. Dongeui bogam and the invisible man. 2 years after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2011. Available at: URL: http://cnbnews.com/m/m_article.html?no144226. Accessed Feb 28, 2016. 

  17. Shin DW. Heo J, a man in Chosun dynasty. Seoul:Hangyoresinmun. 2001:77-81, 83-85, 211-214. 

  18.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Dysosma versipellis. Available at: URL: http://www.koreantk.com/ktkp2014/medicine/medicine-view.view?medCdM0000461. Accessed Feb 28, 2016. 

  19. Wikipedia. Dysosma. Available at: URL: https://en.wikipedia.org/wiki/Dysosma. Accessed Feb 28, 2016. 

  20. Kim DJ. The investigation of the distribution of Hyangyak and the Geographics of the King Sejong. In Korean medical history. Seoul: Tamgudang. 1981:208-214. 

  21. Park SJ. Talk about the science in Dongeui bogam. Seoul: Bao Publishing. 2015: 97-8. 

  22. Park SJ. the Eunhyung method. Minjokeuhaksinmun. 2011. Available at: URL: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70. Accessed Feb 28, 2016. 

  23. Kang YS. Studying Dongeui bogam for not to be an invisible man. 2009. Available at: UR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212571. Accessed Feb 28, 2016. 

  24. Kim NI. To treat your heart firstly, to treat your illness. 2013. Available at: URL: http://www.kukey.com/news/articleView.html?idxno19257. Accessed Feb 28, 2016. 

  25. Heo J. (Translated by Heo Min). Sangyeok Dongeui bogam Vol.2. First edition. Daegu: Education Division of Dongyang Jonghaptongsin College. 1969:41. 

  26. Heo J. (Translated by the Korean Dongeui bogam Translation Committee). Gukyeok Jeungbo Dongeui bogam. First edition. Seoul: Namsandang. 1969: 946. 

  27. Heo J. (Translated by Dongeuihak Research Institute). Dongeui bogam Vol. 3. First edition. Seoul:Yeogang Publishing. 1994:22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