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기반 만성질환 관리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방안
Strategy of Research for Developing Model of Community Based Non-Communicable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1, 2016년, pp.1 - 3  

박윤형 (보건행정학회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non-communicable disease (NC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population ageing, and the change in consumption and lifestyle patterns. Cancer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hypertensive diseases have been the major causes of deaths in the Republic of Korea since 1983. N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중 비용 효과적으로 유용한 정책을 ‘best buys’로 추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통계센터에서 만성질환의 기준을 무엇으로 하고 있는가? 만성질환은 ‘경과가 길고 저절로 낫지 않으며,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통계센터(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는 3개월 이상의 이환기간을 만성질환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만성질환을 감염성 질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비감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 NCD)이라고 표현하고 있다[2].
WHO가 2000년부터 주도한 만성질환에 대한 중점적인 정책은 무엇인가? WHO는 2000년부터 만성질환에 대해 중점적인 정책을 주도해왔다. 2003년에 담배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체결, 2004년에 신체활동과 영양지침, 2008년에 음주 감소전략 등을 총회에서 의결하였고 유엔 고위회담에서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정치적 선언(political declaration of the highlevel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o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을 결의하였다[6]. 결의에 따라 각 국가들은 4가지 주요 만성질환, 즉 심혈관질환, 암, 만성호흡기질환 및 당뇨병의 위험요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만성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질환은 ‘경과가 길고 저절로 낫지 않으며,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통계센터(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는 3개월 이상의 이환기간을 만성질환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3. Park YH. Development of strategy for scale-up community based hypertension/diabetes management program.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4. Breslow 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1980;9(4):469-483.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80)90042-0. 

  5. Belloc NB,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972;1(3):409-421.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72)90014-x. 

  6. United Nations. Political declaration of the high-level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o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New York (NY): United Nations; 2011. 

  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2020 Action plan for the glob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plan 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9. Lee KS. Development of 3rd phase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cardio-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16-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0. Bodenheimer T, Wagner EH, Grumbach K. Improving primary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JAMA 2002;288(14):1775-1779. DOI: http://dx.doi.org/10.1001/jama.288.14.1775. 

  11. Park YH. Strategy for non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J Korean Med Assoc 2014;57(10):808-814.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4.57.10.808.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novative care for chronic condition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13. Kang HJ. Regional disparity of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its determinants. Health Policy Manag 2016;26(1):12-23.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6.26.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