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필리핀 지역주민의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가족 및 친구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The Impact of Poverty on Self-Rated Health in Philippines: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Health Behaviors and Family and Friend Support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1, 2016년, pp.24 - 29  

김재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김도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남은우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ocio-economical status, represented by poverty, is a potent factor in predicting health status, because preventable illness and death occurs due to poverty and socio-economical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toward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verty and self-rated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직까지 필리핀 지역주민의 빈곤과 건강문제에 대하여 연구 보고한 자료가 없는 실정에서 필리핀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빈곤을 감소시키고, 국제협력사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빈곤과 건강행태, 가족 및 친구지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개인의 건강행태요인(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가족 및 친구 지지를 고려하여 빈곤과 건강상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 중 빈곤층이 많이 거주하는 Antipolo시와 Tondo시를 대상으로 그들의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강행태변수들, 가령, 흡연, 음주,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 여부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 지역주민의 빈곤과 건강행태 요인들(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포괄적으로 규명하여 향후 필리핀 대상 보건 분야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과 건강행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 지역주민의 빈곤과 주관적 건강 사이의 관계에서 개인의 건강행태 요인들(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가족 및 친구지지를 고려하여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포괄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필리핀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빈곤을 감소시키고, 국제협력사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건강을 예측하는 강력한 인자는 무엇인가? 특히 개인이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위치는 건강을 예측하는 강력한 인자이며, 회피가능한 질병과 사망도 가난으로 인해 겪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상황은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빈곤은 건강의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2].
빈곤과 건강의 상호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기존의 연구에서 빈곤과 건강의 상호관계는 여러 차례 입증되었다. 빈곤과 건강행태에 관한 Hart [3]의 연구에 따르면 빈곤계층의 경우 빈곤과 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섭생,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유지 행동보다는 상대적으로 술, 담배 등과 같은 일시적이고 부적절한 건강행태를 보였다. 또한 빈곤의 경험은 그 지속 기간에 크게 상관없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사망의 위험을 높인다[4,5].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건강불평등과 관련된 요소를 4가지의 요소로 정의하는데 4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의하면 건강불평등과 관련된 요소를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4가지 요소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건강한 행동양식, 생활양식, 경제수준, 사회적 지위, 교육, 고용과 업무환경,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물리적 환경을 포함하는 의미로 규정하고 있다. 최근 들어 건강과 사회적 결정요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스트레스, 성장과정, 소외계층, 실업, 복지, 중독 등 사회적 불평등과 사회·경제적 상황은 한 개인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특히 사회적 지지기반이 약하면 건강한삶을 기대할 수 없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ark CH. A study on analysis of health determinants and Healthy City Projects: focus on Healthy City Jinju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0. 

  2. Wilkinson R, Marmot M.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solid facts.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3. Hart N. Sociology of health and medicine Lancashire: Cauway Books; 1998. 

  4. McDonough P, Sacker A, Wiggins RD. Time on my side?: life course trajectories of poverty and health. Soc Sci Med 2005;61(8):1795-1808.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5.03.021. 

  5. Waitzman NJ, Smith KR. Phantom of the area: poverty-area residence an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1998;88(6):973-976. DOI: http://dx.doi.org/10.2105/ajph.88.6.973. 

  6. Hatch SL. Conceptualizing and identifying cumulative adversity and protective resource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ealth inequalitie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5;60 Spec No 2:130-134. DOI: http://dx.doi.org/10.1093/geronb/60.special_issue_2.s130. 

  7. Shuey KM, Willson AE. Cumulative disadvantage and black-white disparities in life-course health trajectories. Res Aging 2008;30(2):200-225. DOI: http://dx.doi.org/10.1177/0164027507311151. 

  8. Kahn JR, Fazio EM. Economic status over the life course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5;60 Spec No 2:76-84. DOI: http://dx.doi.org/10.1093/geronb/60.special_issue_2.s76. 

  9. Molarius A, Berglund K, Eriksson C, Lambe M, Nordstrom E, Eriksson HG, et al. Socioeconomic conditions, lifestyle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among men and women in Sweden. Eur J Public Health 2007;17(2):125-133. DOI: http://dx.doi.org/10.1093/eurpub/ckl070. 

  10. Yao L, Robert SA. The contributions of race,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 and neighborhood socioeconomic context on the self-rated health trajectories and mortality of older adults. Res Aging 2008;30(2):251-273. DOI: http://dx.doi.org/10.1177/0164027507311155. 

  11. Lee CG. Health ine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J Asiat Stud 2006;49(1):66-103. 

  12. Kim YH, Cho YT. Impact of area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Korea J Popul Stud 2008;31(1):1-26. 

  13. Kim HY. Community inequalities in health: the contextual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J Sociol 2010;44(2):59-92. 

  14. Pampel FC, Rogers RG. Socioeconomic status, smoking, and health: a test of competing theories of cumulative advantage. J Health Soc Behav 2004;45(3):306-321. DOI: http://dx.doi.org/10.1177/002214650404500305. 

  15. Lynch JW, Kaplan GA, Shema SJ. Cumulative impact of sustained economic hardship on physical,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ing. N Engl J Med 1997;337(26):1889-1895.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712253372606. 

  16. Park ES, Kim SJ, Kim SI, Chun YJ, Lee PS, Kim HJ, et al.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Nurs 1998;28(3):638-649. 

  17. Kim SG.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self-reported health of the aged. J Welf Aged 2005;28:187-206. 

  18. Asian Development Bank. Metro Manila: Asian Development Bank; 2003. 

  19. Philippin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Metro Manila: Philippin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 

  20. Nam EW, Moon JY, Kim DH, Sim BR, Kim CB, KIm YJ, et al. A study of social capital, health care utilization and health life style in Metro Manila, the Philippines by difference. Int Dev Coop Rev 2014;6(1):87-107. 

  21. Nam EW, Kim DH, Moon JY, Sarita D, Chung YI, Kim PS. Review of South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implication for the Philippines. Int J Matern Child Health 2014;2(2):55-61. DOI: http://dx.doi.org/10.12966/ijmch.05.05.2014. 

  22. Peltzer K, Pengpid S. Health risk behaviour among in-school adolescents in the Philippines: trends between 2003, 2007 and 2011: a cross-sectional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5;13(1):E73. DOI: http://dx.doi.org/10.3390/ijerph13010073. 

  23. Butrick E, Peabody JW, Solon O, DeSalvo KB, Quimbo SA. A comparison of objective biomarkers with a subjective health status measure among children in the Philippines. Asia Pac J Public Health 2012;24(4):565-576. DOI: http://dx.doi.org/10.1177/1010539510390204. 

  24. Jeong AH, Kim HJ, Jeong HJ.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Filipino marriage-migrant women. J Korea Acad-Ind Coop Soc 2011;12(12):5509-5517. 

  25. Bae JS. The actual conditions of health care and problem of Filipino worker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26. Lee HI, Nam EW, Song JS. West African pregnancy experienced women's self-rated health and related factors: case of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ealth Policy Manag 2014;24(1):85-91.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4.24.1.85. 

  27. Song YL, Nam EW.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s on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9;26(3):1-13. 

  28. Shibuya K, Hashimoto H, Yano E. Individual income, income distribution, and self rated health in Japan: cross sectional analysi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BMJ 2002;324(7328):16-19. DOI: http://dx.doi.org/10.1136/bmj.324.7328.16. 

  29. Razzaque A, Nahar L, Akter Khanam M, Kim Streatfield P. Socio-demographic differentials of adult health indicators in Matlab, Bangladesh: self-rated health, health state, quality of life and disability level. Glob Health Action 2010;3:70-77. DOI: http://dx.doi.org/10.3402/gha.v3i0.4618. 

  30. Bergner M, Rothman ML. Health status measures: an overview and guide for selection. Annu Rev Public Health 1987;8(1):191-210.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ublhealth.8.1.191. 

  31. Idler EL, Benyamini 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 Health Soc Behav 1997;38(1):21-37. DOI: http://dx.doi.org/10.2307/2955359. 

  32. Idler E, Leventhal H, McLaughlin J, Leventhal E. In sickness but not in health: self-ratings, identity, and mortality. J Health Soc Behav 2004;45(3);336-356. DOI: http://dx.doi.org/10.1177/002214650404500307. 

  33. Yoon KA, Jin KN, Sung KT. Study of strai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Korean elderly. J Korea Gerontol Soc 1992;12(1);56-64. 

  34. Lee SM, Lee SC. A study o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poverty. J Korean Reg Dev 2010;19(2):153-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