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3, 2019년, pp.286 - 297  

나수양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박한종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labor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was mediated by burnout an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Methods: A total of 227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recruited from March 21 to May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 본 연구에서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경력이 이직 의도 및 감정고갈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경력에 따라 소진의 정도가 다르다고 한 선행연구[17] 결과를 참조하여, 경력이 이직 의도 및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가설적 모형에 소진과 이직의도 정도는 총 경력기간에 의해 통제되었다.
  •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란 조절효과와 매개효과가 통합된 개념으로 간접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경우, 즉 간접효과가 조절변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의미한다[19].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의 제언[10,18]과 도구개발자의 권고[11]에 따라 감정노동[10,18]과 소진[11]을 전체개념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하부요인들로 구분하여 감정노동이 소진을 매개로 한 이직의도로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Jang과 Kim [18]은 감정노동의 하부요인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만을 변수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내면행위도 별도로 검증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 이와 같이 오센틱 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간호 연구분야에서 오센틱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인 감정노동, 소진과 함께 연구된 경우는 매우 미미하였으며, 이들 관계에서의 오센틱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워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소진 사이에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더불어 감정노동이 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로 가는 경로에서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아 이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감정노동이 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리더부하 교환관계[18]와 변혁적 리더십을 포함한 고성능 작업시스템[4]이 보고되었으나 오센틱 리더십이 위와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소진을 통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경로에서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오센틱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감정노동을 통한 소진에 대한 이직의도의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의 정도, 이직의도 및 간호사가 지각하는 상사의 오센틱 리더십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중재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및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반간호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으로 이직의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Grandey [10]의 감정조절모형과 Jourdain과 Chênevert [22]의 JD-R 모델을 토대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소진을 통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오센틱 리더십에 의해서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Figure 3과 같다.
  • 하지만 간호 분야 및 국외연구에서 감정노동과 소진 사이의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소진과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간호사들의 표면행위가 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와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중재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소진을 통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경로에서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오센틱 리더십의 수준에 따라 감정노동을 통한 소진에 대한 이직의도의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란 조절효과와 매개효과가 통합된 개념으로 간접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경우, 즉 간접효과가 조절변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의미한다[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감정노동의 업무를 부담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는? 간호사는 기존의 전통적인 간호업무수행 외에도 자신의 감정을 상품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정노동의 업무를 부담하며 고객만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는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등 다양한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문제를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감정노동이란 자신이 느끼는 실제 감정과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표현 규범 간에 차이가 존재할 때,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나 관리를 의미한다[8].
감정노동이 무엇인가요? 간호사는 기존의 전통적인 간호업무수행 외에도 자신의 감정을 상품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정노동의 업무를 부담하며 고객만족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는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등 다양한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문제를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감정노동이란 자신이 느끼는 실제 감정과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표현 규범 간에 차이가 존재할 때,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나 관리를 의미한다[8].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별 감정노동 실태조사에 의하면 감정노동의 정도를 5점 만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간호사는 4.
상사의 오센틱 리더십이 소진의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은?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소진의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의 리더가 진정성을 더 많이 지닐수록 간호사들의 표면행위가 심리적인 상실상태인 소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더 많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andey [10]의 모형에서는 상사의 지지가 감정노동의 선행인자로서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JD-R 모델[22]에서는 상사의 지지가 소진의 선행인자로서 감정고갈을 줄여준다고 하였다[17]. 또한 국외 선행연구[13]에서는 오센틱 리더십이 선행인자로 소진의 감정고갈을 줄여준다고 보고되어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간호 분야 및 국외연구에서 감정노동과 소진 사이의 오센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Work environment of nurses and treatment improvement countermeasure [Internet]. Sejong: MOHW; c2018 [cited 2018 Jun 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2. Lee SY. Expansion of hospital staff: Top priority for promoting patient safety. Seoul: Public Policy Institute for People; c2015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www.ppip.or.kr/board_BHCY31/1138. 

  3. Cheng C, Bartram T, Karimi L, Leggat SG. The role of team climate in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ur: Implications for nurse reten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12):2812-2825. https://doi.org/10.1111/jan.12202 

  4. Lee MA, Kim E. Influences of hospital nurses' perceived reciprocity and emotional labor on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intent to leav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364-374. https://doi.org/10.4040/jkan.2016.46.3.364 

  5. Bartram T, Casimir G, Djurkovic N, Leggat SG, Stanton P. Do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ur,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A study of Australian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7):1567-157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5968.x 

  6. Zhang Y, Feng X.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hysicians from urban state-owned medical institutions in Hubei,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1;11:235. https://doi.org/10.1186/1472-6963-11-235 

  7. Karimi L, Leggat SG, Donohue L, Farrell G, Couper GE. Emotional rescue: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ur on well­being and job­stress among community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1):176-186. https://doi.org/10.1111/jan.12185 

  8. Hochschild A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79;85(3):551-575. https://doi.org/10.1086/227049 

  9. Han S. Current status of emotional labor by occupation.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2013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www.krivet.re.kr/ku/da/kuBDCVw.jsp?gnG7-E520130008. 

  10. Grandey A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0;5(1):95-11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11.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81;2(2):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12. Jin Y, Song KC.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and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ors,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2;15(2):1-36. 

  13. Laschinger HKS, Wong CA, Grau AL.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newly graduated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bullying, burnout and retention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10):1266-127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5.012 

  14. Maslove L, Fooks C. Our health, our future: Creating quality workplaces for Canadian nurses: A progress report on implementing the final report of the Canadian Nursing Advisory Committee [Internet]. Ottawa (ON): Canadian Policy Research Networks; c2004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www.cwhn.ca/en/node/25288. 

  15. Avolio BJ, Gardner WL, Walumbwa FO, Luthans F, May DR.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2004;15(6):801-823. https://doi.org/10.1016/j.leaqua.2004.09.003 

  16. Shirey MR. Authentic leaders creating healthy work environments for nursing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6;15:256-267. 

  17. Yun J. Authentic leadership of head nurs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6. p. 1-70. 

  18. Jang J, Kim H. Surface ac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leader-member exchang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6;29(7):1129-1150. https://doi.org/10.18032/kaaba.2016.29.7.1129 

  19.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8. p. 1-112, 393-468. 

  20. Cottingham MD, Erickson RJ, Diefendorff JM. Examining men's status shield and status bonus: How gender frames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2015;72(7-8):377-389. https://doi.org/10.1007/s11199-014-0419-z 

  21.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s://doi.org/10.2307/259161 

  22. Jourdain G, Chenevert D. Job demands-resources,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the nursing prof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6):709-722.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9.11.007 

  23. Cho YK.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3. p. 1-128. 

  24.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p. 541-598. 

  25. Wayne SJ, Shore LM, Liden RC.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7;40(1):82-111. https://doi.org/10.5465/257021 

  26. Lee J, Kwak WJ. The effect of supervisor’s turnover intention on subordinate’s turnover intenti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urnover intention, LMX and PO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017;24(3):117-136. 

  27. Lyons TF. Role clarity, need for clarity, satisfaction, tension, and withdrawal.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971;6(1):99-110. https://doi.org/10.1016/0030-5073(71)90007-9 

  28. Brotheridge CM, Lee 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3;76(3):365-379.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29. Seo MR. The psychometric validation of Emotional Labor Scale with staff nurses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3. p. 1-26. 

  30. Walumbwa FO, Avolio BJ, Gardner WL, Wernsing TS, Peterson SJ.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2008;34(1):89-126.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8913 

  31. Kim MR, Seomun GA.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93-101.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9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