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건의료 영역에서의 공공성 탐색
Exploratory Study of Publicness in Healthcare Sector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1, 2016년, pp.51 - 62  

민혜숙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김창엽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blicness concept in healthcare has been built to its social consensus relying on historical context, with the result that the meaning of publicness has a great diversity and heterogeneous nature in Korea. Thus it needs to be address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boundary of the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의 연구는 3년간 발행된 주요 일간지의 사설을 대상으로 ‘의료민영화 및 영리병원’에 관한 내용을 선별 후 분석하였으며, 주제 개념을 파악한 후 연결 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주제와 관련된 논란의 핵심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보건의료와 관련된 공공성의 의미가 2010년 이후 최근 5년간 대표적 매스미디어인 신문보도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공공성에 대한 언어 혹은 개념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공공성의 의미, 경계, 이질성과 변동을 추정하며, 보건의료 영역에서 본 결과가 함의하는 바를 논의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역시 텍스트 분석방법의 하나로서 개념 간의 관계를 연결망의 추출을 통해 구조화하여 텍스트 내 행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중심적인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21]. 본 연구에서는 대상 텍스트 내에서 보건의료와 관련된 공공성 개념의 출현 빈도, 네트워크 내 중요도, 타 개념과의 연결관계 등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보건의료 영역에서 공공성 개념의 다양한 의미와 이질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그 함의를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최근 5년간(2010-2014) 보건의료 관련 신문기사에서 공공 혹은 공공성 개념의 맥락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공공과 의료 혹은 공공과 의료기관의 조합이 가장 자주 등장하여 의료가 공공과 관련된 핵심 개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정부는 여전히 보건의료 공공성의 유효한 주체로 파악되었다.
  • 개념(노드)의 설정에는 확증적(confirmatory) 방법과 탐색적(exploratory)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확증적 방법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기존의 이론에 따라 연역적으로 대상 개념을 설정하는 것이다[19].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방법을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대상 개념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우리 사회에서 보건의료 분야 관련 공공성의 언어 네트워크에 대한 기존의 이론이 확실하지 않아 새로운 언어 네트워크를 귀납적으로 파악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정해진 텍스트의 범위 안에 둘 이상의 개념이 높은 빈도로 함께 출현할 경우 해당 개념이 텍스트 내 서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개념 간 연결의 측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개념의 공출현(co-occurrence) 행렬로 대변되는 근접성(proximity) 정보를 이용하여야 한다.

가설 설정

  • 최종적으로는 얻어진 공출현 매트릭스를 오픈 소스의 네트워크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에 투입하여 색인어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여 연결 중심성 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지도(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etwork map)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출현 빈도를 개념 간 연결관계로 정의하였으므로 개념 관계의 방향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 공출현 행렬을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는 언어 네트워크의 주요 지표들에는 네트워크의 크기 및 밀도, 집중도(centralization), 중심성(centrality) 등이 있으며, 이 중 중심성은 해당 개념이 전체 언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표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내 개념의 중요도를 의미하나, 중심성 분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네트워크 내의 중요도가 평가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중심성 분석으로는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분석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결 중심성은 한 개념에 연결된 다른 개념의 수가 많을수록 네트워크 내 중요도가 높다는 가정하에 해당 개념에 연결된 개념의 개수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그 외 근접 중심성 분석은 타 개념과 연결되는 거리가 짧을수록 개념의 중요도가 높아진다는 가정하에 한 개념에서 복수의 다른 개념에 연결되는 최소 거리의 역수를 산출하는 것이며, 매개 중심성 분석은 개념 간 연결관계에서 중재 역할을 하는 개념이 중요도가 높다는 가정하에 한 개념이 타 개념들 간의 연결경로 상에 위치하는 빈도를 산출한다[22,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텍스트의 특징은? 공공성 개념의 파악을 위해서는 먼저 공공성이 타 개념들과 어떠한 연결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사용 맥락을 파악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대표적 분석자료인 텍스트는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의도를 위해 유기적으로 배열된 개념의 복합체이며, 기능적으로는 의미와 가치체계의 상호 소통이 이루어지는 매개물이다[19]. 내용분석이나 근거이론과 같은 분석과정을 통하여 텍스트에 명시된 내용 혹은 이면에 내재된 내용의 분석과 추정이 가능하므로[19,20], 이를 이용하면 텍스트 내 공공 혹은 공공성이 사용된 맥락과 다양한 의미 파악에 유용하다.
공공성 개념의 파악을 위해 공공성이 타 개념들과 어떠한 연결성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사용 맥락을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분석자료는? 공공성 개념의 파악을 위해서는 먼저 공공성이 타 개념들과 어떠한 연결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사용 맥락을 파악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대표적 분석자료인 텍스트는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의도를 위해 유기적으로 배열된 개념의 복합체이며, 기능적으로는 의미와 가치체계의 상호 소통이 이루어지는 매개물이다[19]. 내용분석이나 근거이론과 같은 분석과정을 통하여 텍스트에 명시된 내용 혹은 이면에 내재된 내용의 분석과 추정이 가능하므로[19,20], 이를 이용하면 텍스트 내 공공 혹은 공공성이 사용된 맥락과 다양한 의미 파악에 유용하다.
공공성이란? 공공성은 사회구성의 포괄적 질서[1], 혹은 사회적 관계를 조직하는 원리의 철학으로서[2], 세대를 관통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것 이라기보다 역사적 맥락에서 사회적 합의의 수준과 내용에 따라 구축되어 온 가치적 개념에 해당한다[1,3]. 따라서 공공성의 의미는 당대의 사회적 조건과 시대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고, 새로운 필요에 따라 그 의미와 포괄성을 다시 검토하고 규정하는 작업이 반복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DY. Transition of modernity and restructuring of publicness: logic of social constructive publicness and structure of micro publicness. Korean Soc 2012;13(1):3-61. 

  2. Shin J. The public in Korean society. Citiz World 2007;11:18-39. 

  3. Hong ST. Civil publicnes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Democr Soc Policy Stud 2008;13:72-97. 

  4. Kim CY. Publicness of healthcare in Korea: path dependency or moderniz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cial History fall conference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Social History; 2012 [cited 2016 Jan 22]. Available from: http://www.cykim.pe.kr/KSSH_PubHe2012Oct19.pdf. 

  5. Oh Y. Issues on the optimal level of public health sector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5;25(1):37-71. 

  6. Lee SY. Changes and outlook in health care in 2009. Health Welf Policy Forum 2009;1:20-27. 

  7. Yoon TH. Health policy-centering public and market function. Trends Welf 2008;(111):17-22. 

  8. Lee SH. Modernity and the dilemma of publicness: concepts and thoughts. Democr Soc Policy Stud 2008;13:13-45. 

  9. Kang EJ. Alternatives in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ector in health care. Health Welf Policy Forum 2004;10:57-67. 

  10. Kim J. Where can we find "publicness" in Korea health policy? Korean J Public Health 2013;50(2):113-127. 

  11. Shin YJ. The historical context and policy implications of health care privatization policy and social response in South Korea. J Crit Soc Policy 2010;(29):45-90. 

  12. Kim CY. Expansion of public health care and democratic publicness: proceedings of the seminar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ternet]. Seoul: The Health Welfare Social Cooperative; 2014 [cited 2016 Jan 22]. Available from: http://www.cykim.pe.kr/PubDemo_2014Apr18.pdf. 

  13. Byun JO. Health cooperative-healthcare movement for publicness in healthcare of private sector. Soc Crit 2003;35:221-237. 

  14. Kim M, Min HJ. A study of the role and style of the role execution of health-and-medical-service-related NGOs: perspectives from civic group actors. Korean Policy Sci Rev 2005;9(1):49-71. 

  15. Synn J. The search for the role of the health cooperatives in reforming national health care system. Korean Soc Secur Stud 2014;8:151-182. 

  16. Public Health Care Law, Law No.11247 (Feb 1, 2012). 

  17. Shin YJ. What does the publicness means for us? Proceedings of the Monthly Discussion; 2001; Seoul, Korea. Seoul: Hanyang University; 2001. 

  18. Yang YK. The establishment of "publicness" concept for the enhancement of healthcare "publicness". The Korean Doctors' Weekly. 2014 May 24. 

  19. Park CS, Jung JW. Text network analysis: sharing meanings among stakeholders of the policy through a socio-cognitive network analysis. J Gov Stud 2013;19(2):75-110. 

  20. Danowski JA.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 Commun Sci 1993;12:198-221. 

  21. Paranyushkin D. Text network analysis [Internet]. Palo Alto (CA): Issuu Inc.; 2010 [cited 2013 Dec 25]. Available from: http://issuu.com/deemeetree/docs/text-network-analysis. 

  22. Choi YC, Park SJ.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Korean Public Adm Rev 2011;45(1):123-139. Cited from Cho J.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Korean Soc Inform Manag 2011;2028(2014):2065-2083. 

  23. Paranyushkin D. Identifying the pathways for meaning circul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Berlin: Nodus Labs; 2011. 

  24. Cho J.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Korean Soc Inf Manag 2011;28(4):65-83. 

  25. Lee SK, Jeong S, Kim HG, Yom YH.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nursing science. J Korean Acad Nurs 2011;41(5):623-63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23. 

  26. Kim M, Noh S, Ryu E, Shin S. Research trend analysis of do-not-resuscitate decision: based on text network analysis. Asian Oncol Nurs 2014;14(4):254-264. DOI: http://dx.doi.org/10.5388/aon.2014.14.4.254. 

  27. Kim YH. Analysis of connection centrality degree of hot terminologies according to the discourses of privatizaiton of health care. J Korean Content Assoc 2012;12(8):207-214. 

  28. Seale C. Health and media: an overview. Sociol Health Illn 2003;25(6):513-531. DOI: http://dx.doi.org/10.1111/1467-9566.t01-1-00356. 

  29. Chekar C. Framing health issues in mass media: a discourse analysi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1. 

  30. Gollust SE, Lantz PM. Communicating population health: print news media coverage of type 2 diabetes. Soc Sci Med 2009;69(7):1091-1098.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9.07.009. 

  31. Park HW, Leydesdorff L.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 Korean Data Anal Soc 2004;6(5):1377-1387. 

  32. Kam M, Song M. A study on differences of contents and tones of arguments among newspapers using text mining analysis. J Intell Inf Syst 2012;18(3):53-77. 

  33. Choi HJ. A study on the diversity of Korean newspapers: analyzing the tendencies of covering three major issues. Korean J Commun Stud 2010;6:399-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