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비 지원대상 확대에 따른 소득계층별 유아 보육비 및 사교육비 변화: 무상보육정책 시행을 중심으로
Changes in Preschool Childca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of Different Income Group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Childcare Subsidy Recipients: A Focus on Universal Childcare Polic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2, 2016년, pp.27 - 42  

정수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윤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  송지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  김대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ldcare expens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caused by target expanding the childcare subsidy policy and its relationship to household income. Methods: The study analyzed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9, befor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격한 출산율 저하의 원인은? 30명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a). 급격한 출산율 저하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고용불안정, 여성 취업 증가로 인한 결혼 및 출산에 대한 기피, 과도한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결혼 및 출산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부의 대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져 갔으며, 가정의 양육부담 완화를 위하여 아동 보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무상보육정책의 효과를 평가할 때 사교육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어떤 현상 때문인가? 또한 실제 무상보육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육비뿐만 아니라 사교육비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보육 및 교육에 대한 정부 지원금이 사교육에 재투자되는 현상을 보고해왔기 때문이다(Suh, Yang, &Son, 2012). 선행연구에 따르면 보육비 지원이 사교육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며(Min &Bae, 2014), 보육비 지원 확대 후에 오히려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Yang, 2013).
무상보육정책이란? 그 결과 2011년 11월에 5세 누리과정이 실시되었고, 2013년 3월부터 5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보육비를 지원하는 무상보육정책이 실시되었다. 무상보육정책이란 보건복지 부에서 실시하는 0-5세 보육비 지원 사업으로, 소득에 관계없이 전 계층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의 보육비를 지원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양육수당을 지급하여 부모의 자녀양육 부담경감 및 원활한 경제활동 지원하는 보육 및 교육비 지원 정책이다(J.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S. H., & Cho, S. W. (2005). The determining factors of expenditure levels for daycare and educati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41, 429-455. 

  2. Branscomb, K., & Goble, C. (2011). An exploration and comparison of infant feeding practices in home and center contexts.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1(1), 39-49. 

  3. Castles, F. G. (2010). The Oxford handbook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4. Cha, S. H., Kim, S. N., Kim, J. K., Park, S. W., Jeon, K. W., Min, B. C., & Choi, B. Y. (2010). An analysis of supplemental education and its influ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Report 2010-33). Seoul,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5. Cho, K. Y., & Yoo, J. S. (2013). Redistributive effects of free welfare (Research Report No. KERI Insight 12-09). Seoul, Korea: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6. Hong, J. L. (2013).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l child-care subsi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6(4), 95-118. 

  7. Jung, M. Y. (2012). Research on the effect of child-care facilities management by child care cost support poli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8. Kim, J. K. (2004). The factors that decide pre-school children’s using and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3), 67-86. 

  9. Kim, J. S. (2014). Childcare center parents' and director's recognition of childcare service after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poli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K. I. (2014). The influence of expansion in childcare subsidy on relieving the burden of child-rearing and women's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Focusing on difference of income brack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M. S., Jun, J. A., Ha, T. J., Kim., H. J., Oh, M. A., Jung, U. H., . . . Kim, S. S. (2013). General survey on child status (Policy Report No. 2013-92). Sejong,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2. Kim, S. H., Joo, E. S., & Hong, G. Z. (2013). An analysis on key stakeholders' preference on free child care and related policy issues: Focused on the directors and workers of child care center, and parents in Seoul. Social Welfare Policy, 40(2), 205-235. 

  13. Ku, I. H., Son, B. D., & Ahn, S. H. (2010). Social welfare policy. Paju, Gyeonggi: Nanam. 

  14. Kwon, K. L. (2011). (The) use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K. S., & Kim, J. H. (2010).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for young children by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21-38. 

  16. Lee, S. L. (2011). Consump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in the household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Human Life Sciences, 14, 117-134. 

  17. Lee, Y. J., Lee, J. W., & Kim, M. J. (2013). An analysis of change in household expenditure on childcare and educ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Nuri Curriculum' subsidies in 2012.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7(2), 166-189. 

  18. Min, S. O., & Bae, J. H. (2014). Mother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about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23(4), 263-285.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0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und management plan outline budget and jurisdiction.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Rhee, O. (2010). A critical review on the performance and changes of child care policy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1), 197-217. 

  21. Statistics Korea. (2015a). Final results of birth statistics in 2014. Daejeon, Korea: Author.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 

  22. Statistics Korea. (2015b).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trends in the first quarter 2015. Daejeon, Korea: Author.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 

  23. Suh, M. H, & Yang, M. S. (2013). An analysis of private learning expenses of young childre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9(3), 189-207. 

  24. Suh, M. H., Yang, M. S., & Son, C. K. (2012). Research on estimation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ost and countermeasures (Reserach Report No. 2012-11).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5. Yang, M. S. (2013). Changes in preschoolers' private education spending caused by expansion of childcare and education expenses subsidy (Issue Paper No. 2013-16).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