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유치 전략을 위한 스타트업의 특성과 벤처캐피탈 투자구성의 상호연관성 연구
Interrelation Between Start-up Characteristic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Portfolio for Strategic Decision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2, 2016년, pp.63 - 73  

고영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대학원) ,  이호성 (서울과학종합대학원 IP전략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타트업은 이제 전세계적으로 산업발전에서 가장 떠오르는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죽음의 계곡을 극복하지 못하고 실패의 길로 들어선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스타트업은 벤처캐피탈에게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투자를 받기 원하고 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비즈니스는 그 자체로 보안이 중요한 영업비밀이기에 벤처캐피탈을 접근하는데 있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스타트업의 특성과 벤처캐피탈의 기존 투자 포트폴리오와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서 투자유치를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기존 유명한 해외 벤처캐피탈인 Sequoia capital, Lightspeed venture, Firstround, Khosla venture와 그들이 엔젤투자로 불리우는 seed 투자를 한 스타트업인 Dropbox, Airbnb, Snapchat, Uber, Instacart의 사례를 살펴보고 연관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벤처캐피탈은 각자 그들만의 투자 카테고리 특성을 보여줬으며 seed 투자 된 스타트업 또한 그들의 주요 카테고리에 포함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투자 시점 기준 1년간 투자된 총 244개의 기업과의 연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36.4%의 기업이 산업내 수요와 공급관계를 형성하여 해당 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상호 수직적 통합관계를 보였으며 단지 0.5%만이 수평적 통합관계를 보여주어 벤처캐피탈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데 있어서 기존 사업과의 상호 연관성에 따른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스타트업에게는 seed 투자를 위한 벤처캐피탈 유치에 있어 기존 투자된 포트폴리오와의 연관성 확인이 주요한 전략적 요인임을 확인시켜 줬으며, 벤처캐피탈에게 있어서는 위험성 감소를 위한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스타트업 포트폴리오 구성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또한 갈수록 늘어나는 기업간 분쟁에 있어 상호 방어적 지식재산(IP)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향후 사업성장을 위한 전략적 대응에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더 클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se days startup became one of the most hot issue in business world. The problem is many startup couldn't overcome the valley of death. For this reason many startup want to funded by venture capital. However startup's business is trade secret itself, so they have to make strategic approach to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기에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하여 스타트업에게는 VC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이며 이를 위해 기존 VC가 투자한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VC의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하여 VC의 전략적 의사결정 방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스타트업들이 투자자를 판단하기 위한 요인들과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위에서 밝힌바와 같이 series A에서부터는 실제 제품과 소비자가 존재하기에 어느정도 실제 검증 단계에 들어 갈 수 있지만 Seed는 그러하지 않기에 더욱더 투자를 받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에 Sequoia Capital이 투자한 Seed 단계에 있는 기업들 중 현재도 널리 알려진 Dropbox와 Airbnb를 살펴보고자 한다.
  • 스타트업의 특성상 아이디어 및 비즈니스 모델이 그들의 사업의 핵심 성공요인이기에 이를 아무에게나 널리 퍼트리기도 힘든 상황이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기존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환경분석에서 한발짝 나아가 스타트업의 투자유치에 필수적인 벤처캐피탈과의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전략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의 경우는 아직 대외적으로 사업의 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은 대외비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투자를 위해 VC에게 사업 내용을 자세히 공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하여 스타트업에게는 VC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이며 이를 위해 기존 VC가 투자한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VC의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하여 VC의 전략적 의사결정 방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스타트업들이 투자자를 판단하기 위한 요인들과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또한 수직적 관계에 있는 경우에도 벤처캐피탈의 입장에서 해당 투자 결정이 기존 포트폴리오와 후방 통합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기존 포트폴리오의 기업들에게 보다 이익이 있는 것으로, 반대로 전방 통합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투자 기업들에게 이익이 있는 것으로 분류해 보고자 하였다.
  • 물론 수직적 관계에 있는 경우 상호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지만 투자유치를 위해 벤처캐피탈에 접근하는 스타트업의 입장에서는 해당 사업에 보다 유리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벤처캐피탈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요인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보다 세분화된 연관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탈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서로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탈과 스타트업의 상호 연관성 분석을 위해 현재 early-stage 스타트업에 초점이 맞춰진 글로벌 벤처캐피탈 중 초기투자에 대한 집중도와 최근 ICT분야 기업투자의 가시적 성과를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Sequoia Capital, Khosla Ventures, Light Speed, First Round 4개사와 이들이 seed 단계에 투자하여 지금 성공에 이른 Dropbox, Airbnb, Uber, Instacart와의 사례를 통해 상호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의 벤처캐피탈이 전략적 투자와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국내외 투자를 유치하려는 스타트업에게 자신들에게 우호적이며 동반자가 될 수 있는 벤처캐피탈을 찾기 위해서는 기 투자된 포트폴리오의 카테고리와 자신들의 사업과의 연관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방향적 증거를 보여 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Early Stage 벤처캐피탈들이 투자한 성공적인 Seed사업과 기 투자된 투자 포트폴리오와의 비교를 통해 상호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회사의 포트폴리오 구성과 각 사업과의 관계는 평균 36.
  • 앞서 연구방법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Seed 단계의 기업을 중점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위에서 밝힌바와 같이 series A에서부터는 실제 제품과 소비자가 존재하기에 어느정도 실제 검증 단계에 들어 갈 수 있지만 Seed는 그러하지 않기에 더욱더 투자를 받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 여기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단계 투자에 놓여있는 스타트업과 VC와의 관계에 집중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를 확보한 스타트업의 경우 이미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검증이 되었기에 VC에게 있어서 의사결정이 훨씬 용의하기 때문이다.
  • Sequoia Capital은 Dropbox에 2007년 9월 1일 Seed에 120만 달러를 투자하였다. 연구는 투자 시점 전 1년간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투자사와의 연관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투자된 사업을 살펴보면 [Figure 5]에서 보이는바와 같이 Sequoia Capital은 2006년 9월 1일부터 2007년 9월 1일 까지 총 73개의 기업에 투자하였다.
  • Uber는 2009년 설립된 스마트폰 기반 운송수단 서비스 회사이다. 이동을 원하는 고객과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전 인증된 운전기사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4년 기준 100개 이상 도시에서 서비스 중이다.
  • 본 연구는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탈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서로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탈과 스타트업의 상호 연관성 분석을 위해 현재 early-stage 스타트업에 초점이 맞춰진 글로벌 벤처캐피탈 중 초기투자에 대한 집중도와 최근 ICT분야 기업투자의 가시적 성과를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Sequoia Capital, Khosla Ventures, Light Speed, First Round 4개사와 이들이 seed 단계에 투자하여 지금 성공에 이른 Dropbox, Airbnb, Uber, Instacart와의 사례를 통해 상호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은 크게 2단계로 이루어지며 첫번째 단계에서는 벤처캐피탈의 투자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 구성 및 그에 따른 성향을 분석하고 두번째 단계에서 이러한 스타트업의 투자 포트폴리오와 대상 스타트업의 상호연관성 분석을 통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한편 각 벤처캐피탈의 기존 투자 포트폴리오와 투자 스타트업 사업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위한 기준은 기업 다각과 전략의 통합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포트폴리오와 투자 스타트업과의 연관성은 상호 산업의 수직적 통합관계(Vertical Integration)에 있는 경우와 수평적 통합관계 (Horizontal Integration)에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타트업의 성공사례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2014년 미국에서만 503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 졌으며 2015년에는 이의 50%가 넘는 약 840억 달러의 투자가 이뤄질것이라 전망되고 있다(Ryu, 2015). 클라우드 서비스의 대중화를 불러일으킨 Dropbox, 이동 수단에 혁신을 가져온 Uber, 기업의 전유물이던 숙박에 혁신을 불러일으킨 Airbnb, On-demand 서비스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Instacart 모두 이러한 스타트업 열풍과 함께 등장 한 기업들이며 지금 이 순간에도 매일 수백여개의 새로운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열풍은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과거 벤처열풍이 뜨거웠던 2001년만여개에서 2015년 3월 기준 3만개를 넘어섰다(Shin, 2015).
스타트업의 열풍에서 현실은 어떠한가? 이러한 스타트업의 열풍과 더불어 성공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만큼 실패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 중 아이디어에서 사업화까지 이루어지는 일련을 뜻하는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에서 90%에 달하는 기업들이 실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Gompers & Lerner, 2001).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출발하는 스타트업에게 이러한 죽음의 계곡은 지나갈 수밖에 없는 과정이며 seed 펀딩 및 이에 따르는 Series A 펀딩이 얼마나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냐에 따라 이 과정을 지나갈 수 있느냐의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스타트업의 죽음의 계곡을 지나갈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스타트업의 열풍과 더불어 성공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만큼 실패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 중 아이디어에서 사업화까지 이루어지는 일련을 뜻하는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에서 90%에 달하는 기업들이 실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Gompers & Lerner, 2001).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출발하는 스타트업에게 이러한 죽음의 계곡은 지나갈 수밖에 없는 과정이며 seed 펀딩 및 이에 따르는 Series A 펀딩이 얼마나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냐에 따라 이 과정을 지나갈 수 있느냐의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Kang(2014)의 연구에서도 국내 창업기업들의 창업 2년차에는 성장에 필요한 자금의 16%만이 내부자금으로 조달되었고, 28%는 외부부채로, 나머지 66%가 외부 자본 및 기타로 조달되었음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B Insights,(2014). 2013 Seed Investing Snapshot: Seed Venture Capital Financing Hits Four-Year High, JANUARY 3, 2014 

  2. Cochrane, J. H.(2005). The risk and return of venture capital,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75(1), 3-52. 

  3. CrunchBase,(2015). Venture Investment, Retrieved November 12, 2015 from https://www.crunchbase.com/#/home/index. 

  4. Dean, B. V. & Giglierano, J. J.(1990). Multistage financing of technical start-up companies in silicon valle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5(6), 375-389. 

  5. Dorf, B. & Blank, S.(2012). The Startup Owner's Manual: The Step-By-Step Guide for Building a Great Company, K&S Ranch. 

  6. First Round Capital(2015). Companies,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firstround.com/companies. 

  7. Gompers, P. A. & Lerner, J.(2001). The Money of invention how venture capital creates new wealth, Massachusetts: Harvard Business Press Books. 

  8. Kang, W.(2014). Study on Financing and Liquidity in Early-Stage SMB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5), 1-11. 

  9. Kanniainen, V. & Keuschnigg, C.(2000). The Optimal Portfolio of Start-Up Firms in Venture Capital Finance, CESifo Working Paper, 381, 1-11. 

  10. Khosla Ventures(2015). Portfolios,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www.khoslaventures.com/portfolio/all-companies. 

  11. Kim, T.(2014). The Role of Venture Capital in the Creation of New Venture Firms: Time-series Analysi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Industri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101-108. 

  12. Klich, T. B.(2015, February 19). VC 100: The Top Investors in Early-Stage Startups. Entreprenuers, Retrieved from http://www.entrepreneur.com/article/242702. 

  13. Korean Venture Business Association(2014). Venture Business Situation,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venture.or.kr/kova/allboard/index.jsp?head6&task_nameventure&modeventure&incview¬ice_id7185 

  14. Lee, A.(2013). Welcome To The Unicorn Club: Learning From Billion-Dollar Startups, Techcrunch, from http://techcrunch.com/2013/11/02/welcome-to-the-unicorn-club/. 

  15. Lightspeed Venture Partners(2015). Enterprise Portfolios,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lsvp.com/enterprise/. 

  16. Ries, E.(2011). The Lean Startup: How Today's Entrepreneurs Use Continuous Innovation to Create Radically Successful Businesses, New York: Crown Business 

  17. Ryu, B. C.(2015, August 9). VC the best investments since the dotcom craze that does not cool U. S. venture. Bridgenews, Retrieved from URL. 

  18. Schramm, W.(1971). Notes on Case studies of instructional media projects, Working paper for the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Washington, DC. 

  19. Sequoia(2015). Investment,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s://www.sequoiacap.com/companies. 

  20. Shin, S. M.(2015, January 22). 30,000 venture business. Etnews, Retrieved from URL. 

  21. Yin, R. K.(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ousand Oaks, Sage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