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렛의 제품 가치가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 Value of Outlet Stor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원문보기

유통과학연구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v.14 no.4, 2016년, pp.93 - 101  

최순화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Dongduk Women's University) ,  정연승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  김문섭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As more consumers pursue high quality products at reasonable prices, Korean retail companies are increasing investment in expanding their outlet stores.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outlet business, there has been very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s' outlet shopping behav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울렛에서 판매하는 상품 가치에 집중해 소비자가 인지하는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적절성, 사회적 가치가 만족도와 나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아울렛이 저렴한 가격을 강조하거나 대대적 할인행사를 펼치는 가격 위주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가격의 합리성, 적절성은 이미 아울렛을 방문하는 많은 소비자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아울렛 제품의 가치를 거듭 부각하는 것은 마케팅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본 연구는 아울렛을 실제 방문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아울렛 제품 가치와 아울렛 만족도, 충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아울렛 쇼핑의 전반적 만족도를 설명하는 변수를 제품 가치에 국한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가치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아울렛의 실제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지하는 제품 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렛 업체들은 실용성과 유명 브랜드를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를 주요 핵심고객으로 설정 하고 있으며, 최근 조사에서도 소비자들이 아울렛을 방문하는 가장 주된 이유가 상품 요인으로 파악된 바 있다(Shin et al.
  • 제품의 실용적, 감성적 혜택을 아우르는 소비자 가치는 의사 결정의 전 과정에 걸쳐 영향력을 미친다(Bolton & Drew, 1991; Homer & Kahle, 1988; Pitts & Woodside, 1983). 본 연구는 아울렛이라는 특정 유통 환경 속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제품 가치에 집중하여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울렛 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 가치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울렛 업체들에게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아울렛 쇼핑을 통해 소비자가 얻게 되는 핵심 가치인 제품 가치(product value)가 아울렛에 대한 만족도를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아울렛 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유통매장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특정 매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 으로 형성된 만족도가 매장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매장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Dick & Basu, 1994; Macintosh & Lockshin, 1997; Suh et al.
  • 이와 함께 아울렛 유통 환경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울렛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아울렛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가치가 아울렛 만족도와 나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 본 연구는 아울렛이라는 특정 유통 환경 속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제품 가치에 집중하여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아울렛 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 가치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Sweeney & Sourtar(2001)는 소비자가 인지하는 가치는 반드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거나 경험하지 않더라도 평가가 가능하며 만족은 제품, 서비스를 구매 또는 사용한 후 평가한 결과 이므로 독립적인 개념이라고 설명한다.
  • 아울렛 쇼핑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즐거움을 느낀 소비자는 호감을 유지하며 해당 아울렛을 반복적으로 방문하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이야기를 전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장 만족도와 충성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할 뿐 아니라 아울렛 소비자의 충성도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울렛 업체들에게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아울렛 쇼핑을 통해 소비자가 얻게 되는 핵심 가치인 제품 가치(product value)가 아울렛에 대한 만족도를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제품 가치를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적절성, 제품의 사회적 가치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각 차원이 만족도를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아울렛 쇼핑을 통해 소비자가 얻게 되는 핵심 가치인 제품 가치(product value)가 아울렛에 대한 만족도를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제품 가치를 제품의 성능 품질, 가격 적절성, 제품의 사회적 가치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각 차원이 만족도를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연구의 개념을 도식화하면 [Figure 1]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2> 아울렛 제품의 가격 적절성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아울렛 제품의 사회적 가치는 소비자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아울렛 제품의 성능 가치는 소비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아울렛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울렛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아울렛은 제조업체의 재고 또는 이월 상품을 정상 판매가의 30~70% 할인한 가격대로 판매하는 할인점 형태의 유통 업태를 일컫는다(Shin et al., 2011).
아울렛의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 , 2011). 아울렛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 입장에서는 상품 수급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원리로 설명된다(Kim & Hwang, 2006).
한국 유통 기업이 찾은 새로운 성장 동력은 무엇인가?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소비부진이 장기화되는 추세 속에서 한국 유통기업들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 중이다. 특히 고품질 제품을 선호하면서도 실용성을 추구하는 합리적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유명 브랜드 제품을 할인 가격으로 판매하는 아울렛 사업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이다. 최근에는 대형 유통기업의 아울렛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한국 아울렛 시장은 2013년 9조 9,249억 원에서 2014년 11조 2천억 원, 2015년 12조 7,000억 원 규모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Apparel News,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Marketing letters Agarwal, Manoj K. 7 3 237 10.1007/BF00435740 

  2. 아시아마케팅저널 안광호 10 2 99 

  3. Psychological Bulletin Anderson, James C. 103 3 411 10.1037/0033-2909.103.3.411 

  4.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Babin, Barry J. 20 4 644 10.1086/209376 

  5.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Bagozzi, Richard P. 16 1 74 10.1007/BF02723327 

  6. Marketing Letters Batra, Rajeev 2 2 159 10.1007/BF00436035 

  7.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Bearden, William O. 9 2 183 10.1086/208911 

  8. Journal of Marketing Bloch, Peter H. 47 3 69 10.1177/002224298304700308 

  9.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Bolton, Ruth N. 17 4 375 10.1086/208564 

  10. Journal of Marketing Chaudhuri, Arjun 65 2 81 10.1509/jmkg.65.2.81.18255 

  11. Journal of Retailing Cronin, J. Joseph 76 2 193 10.1016/S0022-4359(00)00028-2 

  12.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Dhar, Ravi 37 1 60 10.1509/jmkr.37.1.60.18718 

  13.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Dick, Alan S. 22 2 99 10.1177/0092070394222001 

  14.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Diep, Vien Chau Stephanie 15 5 399 10.1016/j.jretconser.2007.10.002 

  15. 유통과학연구 한상호 13 10 101 

  16. Journal of Marketing Hirschman, Elizabeth C. 46 3 92 10.1177/002224298204600314 

  17.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Holbrook, Morris B. 14 3 404 10.1086/209123 

  18.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Holbrook, Morris B. 9 2 132 10.1086/208906 

  19.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Holt, Douglas B. 22 1 1 10.1086/209431 

  20.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Homer, Pamela M. 54 4 638 10.1037/0022-3514.54.4.638 

  21. Journal of Marketing Keller, Kevin Lane 57 1 1 10.1177/002224299305700101 

  22. 아시아마케팅저널 김재일 6 3 27 

  23. 한복문화 김진영 9 3 95 

  24. 아시아마케팅저널 김모란 14 1 99 http://dx.doi.org/ 

  25.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Lee, Moon-Kyu 11 1 39 

  26.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Macintosh, Gerrard 14 5 487 10.1016/S0167-8116(97)00030-X 

  27. Journal of Retailing Mathwick, Charla 77 1 39 10.1016/S0022-4359(00)00045-2 

  28.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Maute, Manfred F. 14 2 219 10.1016/0167-4870(93)90001-2 

  29.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Na, In-Kyung 10 2 

  30.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Netemeyer, Richard G. 57 2 209 10.1016/S0148-2963(01)00303-4 

  31.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Oliver, Richard L. 20 3 418 10.1086/209358 

  32. Journal of Retailing Oliver, Richard L. 73 3 311 10.1016/S0022-4359(97)90021-X 

  33.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Parasuraman, Ananthanarayanan 25 2 154 10.1007/BF02894351 

  34. 한국의류학회지 박혜원 28 7 950 

  35. 유통과학연구 박인수 4 2 65 

  36.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박윤지 50 7 81 http://dx.doi.org/10.6115/khea.2012.50.7.081 

  37.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Patterson, Paul G. 8 5 414 10.1108/09564239710189835 

  38.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Pitts, Robert E. 119 1 37 10.1080/00224545.1983.9924440 

  39. Journal of Marketing Richins, Marsha L. 47 1 68 10.1177/002224298304700107 

  40.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Sheth, Jagdish N. 22 159 10.1016/0148-2963(91)90050-8 

  41.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신종칠 11 11 401 

  42.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Singh, Jagdip 1 41 

  43.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Sirakaya-Turk, Ercan 68 9 1878 10.1016/j.jbusres.2015.01.016 

  44. Journal of Marketing Steenkamp, Jan-Benedict E. 70 3 136 10.1509/jmkg.70.3.136 

  45.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Story, John 23 7 406 10.1108/07363760610712948 

  46. Journal of Retailing Sweeney, Julian C. 75 1 77 10.1016/S0022-4359(99)80005-0 

  47. Journal of Retailing Sweeney, Jillian C. 77 2 203 10.1016/S0022-4359(01)00041-0 

  48. Journal of Brand Management Vigneron, Franck 11 6 484 10.1057/palgrave.bm.2540194 

  49. Journal of Retailing Westbrook, Robert A. 16 1 78 

  50.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Wiedmann, Klaus-Peter 7 7 333 

  51.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Woodside, Arch G. 9 4 5 

  52. Journal of Consumer Studies Yi, You-Jae 12 1 53 

  53. Journal of Marketing Zeithaml, Valarie A. 52 3 2 10.1177/002224298805200302 

  54. Journal of Marketing Zeithaml, Valarie A. 60 2 31 10.2307/12519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