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의 공간지각 및 이용 특성분석 -방문자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pace Cognition and Use Characteristics on Premium Outlet Shopping Mall -Focu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Visitor's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6, 2012년, pp.486 - 496  

박태원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이덕조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박승규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부동산시장의 변화 중 리테일 분야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웃렛 쇼핑몰은 새로운 소매 환경변화를 보여주는 주요한 공간적 대상이다. 대도시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팩토리형 아웃렛과 스트리트형 아웃렛과는 달리, 프리미엄 아웃렛은 대도시 교외에 입지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입지하고 있는 신세계 첼시 프리미엄 아웃렛을 방문한 쇼핑객들이 지구차원의 단지형쇼핑공간에 대한 지각된 공간요소와 이용특성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사례지 방문자 설문 중 292부의 유효설문을 바탕으로 7개의 주된 공간지각 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구성요소는 시각적, 입지적, 쇼핑지원, 인적, 분위기, 통행편의, 테넌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요인은 단지형 아웃렛쇼핑몰의 물리적 구성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이 상품구매 욕구와 장소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위요소로서의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용자 특성과 지각을 고려한 아웃렛 쇼핑몰의 기획과 설계에 본 연구결과는 장소마케팅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retail industry has been undergoing major shifts. Outlet mall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new retail landscape. This paper seek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shopping experiences of visitors to a Premium outlet shopping mall in Shinsagae Chelsea Premium Outlet at Paj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통적으로 명품브랜드를 중심으로 교외지역에 입점하여 저층건물을 집합적으로 활용한 미국식 몰(mall)형 방식을 선호하는 첼시그룹이 명품브랜드의 비중을 낮추고 입체공간적 구조를 활용하는 변화를 주었다는 의견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세계첼시 아웃렛 파주점을 대상으로 단지 내 공간지각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교외형 프리미엄 아웃렛쇼핑몰의 구성요소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물리적 측면 외에도 테넌트의 고급화를 통하여 명품브랜드를 입점시켜 공간적 고급화와 연동되어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Premium Outlet Shopping Mall)이라는 새로운 상업공간을 창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에 대한 이용자 및 소비자 관점에서의 지각적 공간 구성요소와 이용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의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프리미엄 아웃렛쇼핑몰의 단지내 공간 지각구성요소를 이용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 주된 연구 내용이다. ‘프리미엄(Premium)’이라는 말은 미국의 첼시그룹이 아웃렛쇼핑몰을 오픈하면서 상호로 사용한 것이 효시이다.
  • 이는 기존의 건축단위 일반 아웃렛과는 구별되는 차이점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이 어떠한 구성요소로 지각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아웃렛은 어떠한 형태가 있는가? 최근 들어 부동산시장의 변화 중 리테일부동산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그중 아웃렛(Outlet)의 발전은 입지유연성을 보이며 빠르게 분화되고 있다. 아웃렛의 종주국인 미국은 대도시의 중심 쇼핑지역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1], 우리나라도 도시내 단위 건축물형태의 아웃렛과 대도시 외곽에 단지형 아웃렛이 입지하고 있다. 2007년 6월에 서울 도심부에서 약 70㎞에 위치한 경기도 여주에 신세계․첼시 프리미엄아웃렛이 개점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 도심부에서 약 35~40㎞에 위치한 경기도 파주에 2011년 3월에 신세계가 운영하는 프리미엄아웃렛이 개점하였고, 동년 12월에 롯데는 신세계의 아웃렛쇼핑몰에서 약 5.
아웃렛은 어떻게 시작하였는가? 아웃렛(Outlet)은 180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생성된 것으로 생산자들이 재고품과 결함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공장 안이나 가까운 위치에 매장을 열어 할인된 가격으로 직원과 인근 주민들에게 판매하는 형태로 출발 하였다.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은 소비자의 소비형태를 고급화·다양화 시켰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신세계첼시 프리미엄 아웃렛은 어떻게 개점되었는가? 연구대상지는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위치한 신세계첼시 프리미엄 아웃렛이다. 글로벌 유통업체 첼시그룹과 신세계그룹의 합작으로 여주점에 이어 신세계첼시 아웃렛 2호점으로 여주점 성공 후 도출된 단점을 보완하여 개점한 것이다. 테넌트 구성은 여주점에 비하여 명품브랜드의 비율을 낮추는 대신에 일반브랜드 및 어린이용품 매장 주방기기 매장 등 생활에 실용적인 매장의 수를 늘리는 변화를 추구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T. Coughlan and D. A. Soberman, "Strategic segmentation using outlet mal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22, Issue1, pp.61-86, 2005. 

  2. 이아람, 유태순, "패션 아울렛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브랜드 충성도 및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제60권, 제2호, 2010. 

  3. 신종칠, 정진석, 백민석, "프리미엄아웃렛 이용객의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pp.401-412, 2011. 

  4. 전태유, "아웃렛의 점포선택속성이 소비감정, 관계품질,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1권, 제3호, 2009. 

  5. 박진제, 이진화, "AHP 기법을 이용한 의류 쇼핑소비자의 선호점포 유형과 점포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36권, 제2호, pp.138-151, 2012. 

  6. 강명수, 신종칠, "시장민감성분석을 활용한 프리미엄 아웃렛 시장권역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3권, 제1호, 2011. 

  7. 신종칠,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아웃렛 쇼핑센터 개발대안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85-499, 2012. 

  8. 김 훈, "유통업태간 시장 경쟁구조 분석 및 재래시장의 경쟁력", 상업교육연구, 제22권, pp.313-331, 2008. 

  9. 권순기, 손상기, "韓.美간 아웃렛 스토어(Outlet Store)의 경쟁력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3호, pp.252-278, 2005. 

  10. J. T. Hathaway and J. C. Hughes, "Factory Outlet Malls : The Example of Prime Outlets at Grove City,"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pp.189-195, 2000. 

  11. A. Holdnak,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Shopping Patterns At A Tourist Focused Outlet Center," Proceedings of the 2005 northeastern recreation research symposium, pp.161-166, 2005. 

  12. J. J. Sierra and M. R. Hyman, "Outlet mall shoppers' intentions to purchase apparel: A dual-process perspectiv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8, Issue 4, pp.341-347, 2011. 

  13. G. Whyatt, "Which factory outlet centre? The UK consumer's selection criteria,"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5, Issue 4, pp.315-323, 2008. 

  14. Tamas Sikos T, "Key to the success of the outlet shopping centers located in optimal site," Hungarian Geographical Bulletin, Vol.58, No.3, pp.181-200, 2009. 

  15. 小?正稔(Kojima Masatoshi), "米國におけるファクトリ?.アウトレットモ?ルの擴 散と メ?カ?のマルチチャネル政策", Aomori Public College journal of management & economics, Vol.1, No.1, pp.14-25, 1996. 

  16. Xingo Jiang and Yiqun Wang, "The Rise of Factory Outlet Centers in Mainland China," International Council of Shopping Centers, Retail Property Insights, Vol.17, pp.1-8. 2010. 

  17. K. E. Reynolds, Jaishankar Ganesh, and M. Luckett, "Traditional malls vs. factory oultets : comparing shopper typologies and implications for retail strateg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5, Issue 9, pp.687-696, 2002. 

  18. Dr. G. S. Shergill and Y. Chen, "Customer Perceptions of Factory Outlets Stores Versus Traditional Stores,"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Vol.26, Issue 1, pp.77-96, 2005. 

  19. 유민태, 이덕조, 박태원, "프리미엄 아웃렛쇼핑몰의 공간구성요소 분석", (사)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07-315, 2012. 

  20. http://www.premiumoutlets.com/centers/ 

  21. http://www.delco.co.kr/page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